농협은행, ‘생산적 금융 대전환’ 선도 위해 TF 신설

2025년 10월 3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1개
수집 시간: 2025-10-30 16:36:17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디지털타임스 2025-10-30 15:18:24 oid: 029, aid: 0002990446
기사 본문

[NH농협은행 제공] NH농협은행은 생산적 금융 대전환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를 신설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지난 1일 NH농협금융지주의 ‘생산적 금융 활성화’ TF 신설에 따른 후속으로 농협은행 차원의 실행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이번 TF는 △국민성장펀드 참여 △첨단전략산업에 대한 투·융자 확대 △소상공인·자영업자 및 금융소외 계층에 대한 포용금융 등 전 부문에 걸친 생산적 금융 대전환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 농협은행은 농협 고유의 농업금융 역량을 기반으로 농식품 펀드 확대 및 농축산․지역 혁신기업 지원을 강화해 첨단산업뿐만 아니라 농업과 지역경제의 균형 성장을 도모할 계획이다. 이청훈 투자금융부문 부행장은 “농협은행은 농업을 근간으로 하고 있어 이미 생산적 금융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며 “국가경제 성장과 미래산업 육성을 뒷받침하는 생산적 금융 선도은행으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뉴스1 2025-10-30 15:25:10 oid: 421, aid: 0008574570
기사 본문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 발표 후 첫 회의…회장 직접 주재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지난 9월 29일 ‘우리금융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 CEO 합동 브리핑’에서 생산적·포용금융에 80조원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우리금융그룹 제공) (서울=뉴스1) 김근욱 기자 =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를 지속 가능하고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자본 안정성과 건전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자본비율 관리 및 자산 리밸런싱 △AI 기반 경영시스템의 대전환 △전담 조직 신설 및 인력 확충 등을 철저히 이행할 것을 당부했다. 우리금융은 지난 29일 서울 중구 본사에서 '제1차 첨단전략산업금융협의회'를 열고, 생산적·포용금융 80조 원 투입을 목표로 한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의 실행 방안을 논의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협의회는 임 회장이 직접 주재했으며, 은행·보험·증권·카드·자산운용 등 주요 9개 자회사 대표가 참석했다. 생산적 금융 부문에서는 △국민성장...

전체 기사 읽기

머니S 2025-10-30 15:57:14 oid: 417, aid: 0001110195
기사 본문

NH농협은행은 생산적 금융 대전환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를 30일 신설했다. 사진은 서울 중구에 위치한 농협은행 본사./사진=NH농협은행 NH농협금융에 이어 핵심 게열사인 농협은행이 생산적 금융 대전환 대열에 본격 합류한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농협은행은 은행 차원의 생산적 금융 대전환 실행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담 TF를 꾸렸다. 이는 지난 1일 농협금융지주의 생산적 금융 활성화 TF 신설에 따른 후속 조치다. 이번 TF는 ▲ 국민성장펀드 참여, ▲ 첨단전략산업에 대한 투·융자 확대 ▲ 소상공인, 자영업자 및 금융소외 계층에 대한 포용금융 등 전 부문에 걸친 생산적 금융 대전환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농협은행은 농협 고유의 농업금융 역량을 기반으로 농식품 펀드 확대 및 농축산?지역 혁신기업 지원을 강화해 첨단산업뿐만 아니라 농업과 지역경제의 균형 성장을 도모할 계획이다. 투자금융부문 이청훈 부행장은"NH농협은행은 농업을 근간으로...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30 06:05:00 oid: 277, aid: 0005671643
기사 본문

생산적 금융이 반드시 성공하기 위한 전문가 제언 "자체 신용평가 역량 키워 기업대출 확대해야" "부동산 대출 위주 성장에서 투자 중심으로 체질 개선 필요" "벤처투자 위험가중치 하향 등 과감한 정책 지원을" 편집자주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국민적 불만이 커지고 있다. 소득은 정체된 반면 집값은 치솟아 주거 안정성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이 같은 부동산 시장 불안의 근본 원인으로는 금융권의 과도한 부동산 금융이 지목된다. 금융회사가 기업이나 첨단산업 등 생산적인 분야에는 자금을 공급하지 않고 부동산 담보대출 등 비생산적 부문에 집중하면서 시장에 과도한 신용이 풀려 부동산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재명 정부가 '생산적 금융 대전환'을 경제정책의 핵심 목표로 내세운 것도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해외에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금융회사들이 반성의 움직임을 보이며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생산적 금융이 정착하기 위해...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