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노출도 높을수록 청년 고용 줄었다”…50대 고용은 오히려 증가

2025년 10월 3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8개
수집 시간: 2025-10-30 16:25:2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헤럴드경제 2025-10-30 14:16:09 oid: 016, aid: 0002550106
기사 본문

한은 ‘AI확산과 청년고용 위축’ 보고서 서울의 한 채용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부대행사관 부스를 둘러보고 있는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인공지능(AI)에 많이 노출된 업종에서 청년 고용 감소가 두드러졌다는 한국은행의 분석이 나왔다. 50대는 오히려 AI 노출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고용이 늘어 대조를 보였다. 한은은 30일 발간한 ‘AI 확산과 청년고용 위축’ 보고서에서 “국내 노동시장에서 AI 도입 초기 주니어 고용은 줄고 시니어 고용은 늘어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대표적 생성형 AI 도구인 챗GPT가 출시된 2022년 11월 이후 15~29세 청년층의 고용 흐름을 국민연금 가입자 수를 통해 분석했다. AI 노출도를 1~4분위로 구분해 비교한 결과 분석 기간 청년 고용 감소는 주로 AI 노출이 잦은 3~4분위의 업종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업종을 중심으로 50대는 고용이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2022년 7월~2025년 7월 청년층 일자리는 21만1...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0-30 15:27:00 oid: 032, aid: 0003405568
기사 본문

한은 보고서···3년간 청년 일자리 21만개 감소 컴퓨터 프로그래밍·출판업 등서 뚜렷하게 줄어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출현 이후 AI에 많이 노출된 업종일수록 청년 고용이 크게 줄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단순 컴퓨터 프로그램밍이나 출판 디자인·교열 등의 업무를 AI가 빠르게 대체한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조직관리 등의 역할을 맡은 50대 이상 시니어 고용은 상대적으로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국민연금 가입자 수를 활용해 AI 확산이 청년층(15~29세) 일자리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30일 발표했다. 한은은 연령대별 취업자 수를 AI 노출도 분위(1~4분위)로 구분해보면 오픈AI의 챗GPT가 출시된 2022년 하반기 이후 관측되는 청년고용 감소가 주로 노출도 상위(3~4분위) 업종에서 발생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최근 3년간(2022년 7월~2025년 7월) 청년층 일자리가 21만1000개 감소했는데 이 중 절대 다수인 20만8000개(98.6%)가 AI 노출도 상위...

전체 기사 읽기

한국일보 2025-10-30 16:01:14 oid: 469, aid: 0000894769
기사 본문

최근 3년간 15~29세 일자리 21.1만 개 감소 대부분 프로그래밍·출판업 등 AI 高노출 업종 반면 50대 일자리 20.5만 개 오히려 증가해 "저연차 단순 업무들 대체 쉬운 탓 고용 줄어" 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보고서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확산이 청년층 고용 감소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진달래 기자·챗GPT 인공지능(AI) 도입으로 가장 먼저 일자리를 잃은 건 청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연차 직원이 주로 맡는 정형화된 지식업무부터 AI로 대체하기 쉽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보고서 'AI 확산과 청년고용 위축: 연공편향 기술변화를 중심으로'를 보면, 최근 3년간(2022년 7월~2025년 7월) 15~29세 청년층 일자리가 21만1,000개 감소했는데 그중 98.6%(20만8,000개)가 AI 노출도가 높은 업종 이었다. 대표적 생성형 AI인 챗GPT 출시(2022년 11월)를 기점으로 고용 흐름을 국민연금 가입자 수를 통해 분석...

전체 기사 읽기

조세일보 2025-10-30 13:46:15 oid: 123, aid: 0002370940
기사 본문

출판·전문서비스·정보서비스업 등 청년고용 최대 23.8% 급감 AI, ‘주니어 정형 업무’ 대체…시니어, ‘맥락·관리 역량’으로 버텨 한은 “노출도 높더라도 보완도 높은 일자리 사라지지 않을 것” “보완도 높은 직무 중심 재설계, 청년층 대상 AI 협업 교육 필요” ◆…한국은행은 30일 'BOK이슈노트: AI 확산과 청년고용 위축-연공편향(seniority-biased) 기술변화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표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제공 AI 확산이 본격화된 지난 3년간 우리나라의 청년 일자리가 21만개 넘게 사라졌다. 감소한 일자리의 98.6%가 인공지능(AI) 노출도가 높은 산업군에서 발생했다. 반면 50대 고용은 20만9000개 증가, 그중 70% 가까이가 오히려 AI 고노출 업종이었다. AI가 단순 업무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주니어는 줄고 시니어는 늘어나는' 연공편향 현상이 국내 노동시장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30일 'BOK이슈노트: AI 확산과 청...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