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도약기금 5.4조원 장기 연체채권 첫 매입…34만명 대상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이재명 정부의 ‘새도약기금’을 통해 1차로 34만명이 빚 탕감을 받았습니다. 이달 초 출범한 새도약기금은 7년 이상·5000만원 이하 장기 소액 연체 채권을 정부가 일괄 매입한 뒤 소각하는 채무탕감 제도입니다. 새도약기금은 한국자산관리공사 및 국민행복기금이 보유한 5.4조원 규모, 34만명의 장기 연체채권을 매입했다고 오늘(30일) 밝혔습니다. 기관별로는 한국자산관리공사 3.7조원(22.9만명), 국민행복기금 1.7조원 (11.1만명)입니다. 이번 연체채권 매입에 따라 추심은 즉시 중단되며, 매입 채권 중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 취약계층 채무는 별도 상환능력 심사 없이 연내 소각될 예정입니다. 그 외 채권은 철저한 상환능력 심사를 실시한 후 개인 파산에 준하는 수준으로 상환능력을 상실한 경우 1년 이내 소각하고, 그 외 상환능력이 현저히 부족한 경우는 채무조정을 추진합니다. 앞서 한국자산관리공사 및 국민행복기금은 지난주부터 새도약기금 매입 대상 채무자에게 채권 양도 예정 사실을 통지...
기사 본문
새도약기금, 캠코·국민행복기금 채권 첫 매입 매입 채권 추심 즉시 중단, 상환 능력 따져 소각 11월부터 은행 등 금융기관 채권도 매입 시작 7년 미만 연체자·채무조정 진행자 대상 지원도 이억원(왼쪽 다섯 번째) 금융위원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새도약기금 출범식에서 현판 제막을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소상공인과 취약층의 오래된 빚 탕감을 위해 만들어진 이재명 정부의 ‘배드뱅크’ 새도약기금이 5조4,000억 원 규모의 장기 연체채권을 처음 매입했다. 새도약기금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국민행복기금이 보유한 7년 이상, 5,000만 원 이하 개인·개인사업자 무담보채권을 매입했다고 30일 밝혔다. 매입 규모는 캠코 보유분 3조7,000억 원 국민행복기금 1조7,000억 원을 더해 5조4,000억 원이고, 대상 채무자는 34만 명(캠코 22만9,000명, 국민행복기금 11만1,000명)이다. 연체채권 매입 즉시 해당 채권에 대한 추심은...
기사 본문
이억원 금융위원장(오른쪽 네번째)이 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새도약기금 출범식에서 정정훈 한국자산관리공사장 등 참석자들과 현판 제막을 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뉴스1 새 정부 배드뱅크인 새도약기금이 장기 연체채권을 매입하기 시작하며 본격적인 빚 탕감에 착수했다. 새도약기금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국민행복기금이 보유한 장기 연체채권을 매입했다고 30일 밝혔다. 총 매입 규모는 5조4000억원(34만명) 규모다. 캠코로부터 3조7000억원(22만9000명), 국민행복기금에서 1조7000억원(11만1000명) 어치를 매입했다. 매입 즉시 추심은 중단되며,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 취약계층의 채무는 별도 심사 없이 연내 소각할 예정이다. 그 외 채권은 소득 및 자산 등 상환능력 심사를 거친 후 개인 파산에 준하는 수준으로 상환 능력을 상실한 경우 1년 이내에 소각한다. 그 외 경우에는 채무조정을 추진한다. 캠코와 국민행복기금은 지난주부터 새도약기금 채권 매입 대상...
기사 본문
5000만원 이하 빚 7년 이상 연체자 대상…매입 즉시 추심 중단 7년 미만 연체자도 최대 80% 빚 탕감…5000억 특례 대출도 이억원 금융위원장(오른쪽 네번째)이 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새도약기금 출범식에서 정정훈 한국자산관리공사장 등 참석자들과 현판 제막을 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10.1/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서울=뉴스1) 전준우 기자 = 새도약기금은 30일 한국자산관리공사 및 국민행복기금이 보유한 장기 연체채권을 매입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매입된 채권은 7년 이상 연체, 5000만 원 이하의 개인(개인사업자 포함) 무담보채권으로 총 매입 규모는 5조 4000억 원, 34만 명이다. 한국자산관리공사(3조 7000억 원, 22만 9000명)와 국민행복기금(1조 7000억 원, 11만 1000명)으로 나뉜다. 새도약기금의 연체채권 매입 즉시 추심은 중단되며, 매입 채권 중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 취약계층 채무는 별도 상환능력 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