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연구가 빚은 맛”…한우, K-푸드의 품격이 되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유전체 분석·정밀 사양관리로 고급육 체계 완성 비육기간 단축·온실가스 감축 등 지속가능성도 지난 27일 서울광장에 마련된 안동 농·축·특산물 직거래 장터를 찾은 시민들이 한우 상품을 고르고 있다. 연합뉴스 수입 쇠고기와의 가격 경쟁 대신 품질 경쟁으로 승부한 한우 산업이 30년 만에 세계 미식의 무대에서 ‘K-푸드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29일 ‘한우는 어떻게 K-브랜드가 되었나’라는 주제로 브리핑을 진행하며 1990년대 이후 한우의 품질과 생산성이 과학기술 기반에서 비약적으로 향상됐다고 밝혔다. 농진청에 따르면 지난 30년간 한우의 평균 생체중은 575㎏에서 756㎏으로 31% 증가했고, 근내지방도(마블링)는 3.6에서 5.1로 33% 향상됐다. 등심의 지방 함량은 100g당 10.7g에서 14.3g으로 늘었으며, 육즙을 잡아주는 보수력은 21% 높아져 풍미와 식감이 한층 균일해졌다. 단순히 크기나 지방량이 늘어난 것이 아니라 성장 단계별 영양관리와...
기사 본문
한우고기 초도물량 약 1.5톤 첫 수출 28일 서울 종로구 교원 챌린지홀에서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가 주최한 ‘11월 1일 대한민국이 한우먹는날’ 맞이 한우 할인판매 포토행사에서 홍보모델과 한우자조금 캐릭터가 전국 온·오프라인 대규모 한우 할인 행사를 알리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한우자조금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뉴스1 ⓒ News12025.10.28/뉴스1 (세종=뉴스1) 이정현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는 30일 농협중앙회에서 아랍에미리트(UAE)로 처음 정식 수출되는 한우고기의 선적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한우 수출 초도물량 1.5톤은 인천공항·항만을 통해 UAE로 떠났다. 기념행사에는 강형석 농식품부 차관, 홍문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 안병우 농협축산경제 대표이사, 전원석 횡성케이씨 대표 등이 참석했다. UAE에 최초로 한우 수출이 가능해지면서 정식으로 한우를 수출할 수 있는 국가는 총 5개국(홍콩,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라오스, UAE)으로 확대...
기사 본문
서울 서초구 하나로마트 양재점을 찾은 시민들이 한우를 고르고 있다. /뉴스1 한우가 처음으로 아랍에미리트(UAE)에 수출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 수출을 계기로 한우의 글로벌 진출이 본격화하고, 할랄 시장으로의 교두보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30일 농협중앙회에서 아랍에미리트(UAE)로 수출되는 한우 초도 물량 선적 기념식을 열었다. 이번에 선적되는 물량은 냉장·냉동 한우 약 1.5톤으로, 인천공항과 항만을 통해 현지로 운송된다. 이번 수출로 한우를 정식으로 수출할 수 있는 국가는 홍콩·말레이시아·캄보디아·라오스에 이어 UAE까지 총 5개국으로 확대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UAE는 소고기 소비량의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고소득 국가로, 한우 수출의 주요 거점이 될 수 있다”면서 “UAE는 호주·미국산 소고기 수입 비중이 높지만, 최근 일본산 고급육 수입이 급증하고 있어 한우의 진입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일본의 UAE 수출 실적은 2019년 2...
기사 본문
농식품부 "고급육 수요 높은 중동 본격 공략" 홍콩·말레이시아 이어 5번째 정식 수출국 [세종=뉴시스]농림축산식품부가 30일 개최한 농협중앙회에서 처음으로 아랍에미리트(UAE)에 정식 수출되는 한우고기의 선적기념식 모습. (사진=농식품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임소현 기자 = 국내 대표 한우가 아랍에미리트(UAE) 수출길에 오르며, 19억 인구의 할랄 시장 진출이 본격화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30일 농협중앙회에서 'UAE 한우 수출 선적기념식'을 열고, 인천공항과 항만을 통해 냉장·냉동 한우 초도물량 약 1.5t을 처음으로 수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수출로 한우는 홍콩,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라오스에 이어 UAE까지 총 5개국으로 정식 수출이 가능해졌다. UAE는 1인당 국민소득이 5만 달러에 달하는 고소득 국가로, 소고기 소비량의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한다. 특히 호주·미국산 소고기의 점유율이 높지만, 최근 일본산 프리미엄 소고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