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값 낮추려는 美, 수출 늘리려는 韓…국산 제네릭 무관세 '결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한미 관세협상 타결로 복제약 수출 부담 완화 미국 약가정책·공급망 안정성, 한국 투자 패키지 이해관계 일치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오후 경북 경주시 힐튼호텔 경주에서 열린 '이 대통령 주최 정상 특별만찬'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AFP=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서울=뉴스1) 장도민 기자 = 한미 관세협상에서 한국산 제네릭(복제약)이 무관세 적용 품목으로 공식 확정되면서 국내 기업의 부담이 줄고 불확실성이 대폭 해소될 전망이다. 자동차, 조선, 반도체 등 제조업 중심 품목이 주목받는 가운데 의약품이 포함된 것은 단순한 산업 배려가 아니라, 미국이 주도하는 약가 인하 정책과 글로벌 의약품 공급망 재편 전략이 맞물린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30일 정부 발표에 따르면 전날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정상회담에서 '한미 관세 협상'을 마무리했다. 의약품과 목재에 대한 품...
기사 본문
제네릭 무관세… 최혜국 대우 보장 "바이오시밀러도 무관세 유지 기대"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30일 논평을 내고 한미 관세 협상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사진은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전경. /사진=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약·바이오업계가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 기간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제네릭(복제약) 의약품 무관세 유제와 최혜국 대우 약속이라는 성과를 낸 덕분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30일 논평을 통해 "한미 간 관세 협상이 타결된 것을 크게 환영한다"며 "협상 타결을 위해 헌신해 주신 정부 관계자들의 노고에 박수를 보낸다"고 전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전날 한미정상회담 브리핑에서 "품목 관세 중에서 의약품은 최혜국 대우를 받기로 했다"며 "제네릭 의약품 등은 무관세를 적용받기로 했다"고 말했다. 최혜국 대우 시 한국은 유럽연합(EU)·일본과 유사한 15% 수준의 의약품 관세를 부과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이후 의약품...
기사 본문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신라 천마총 금관 모형을 선물한 뒤 트럼프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뉴시스 한미 관세 협상에서 의약품이 최혜국대우(MFN)를 적용받게 되자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는 안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제네릭(복제약) 의약품에 대해서는 미국이 무관세를 적용하기로 하면서 100%를 웃도는 초고율 관세에 대한 우려는 해소됐다는 것이 업계 반응이다. 의약품 최혜국 대우 관세율은 15%다. 다만,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에 대한 관세 부과 여부는 아직 미지수라서 추이를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29일 공개된 한미 관세 협상 세부 합의를 보면 품목 관세 중 의약품·목재 등은 MFN 대상이다. 항공기 부품·제네릭 의약품, 미국서 생산되지 않는 천연자원 등에는 관세가 붙지 않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달 미국에 공장을 건설하지 않은 기업의 의약품에 대해선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트...
기사 본문
의약품 최혜국 대우 관세율 15% 바이오시밀러 관세 등 추이 주시 "제네릭 의약품 무관세는 긍정적" [경주=뉴시스] 고범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 도착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5.10.2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연주 기자 = 한-미 양국이 관세 협상을 타결한 것에 대해 제약바이오 업계는 "당초 거론됐던 100% 관세 우려에서 벗어나 부담이 완화되고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됐다"며 안도했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9일 경북 경주에 마련된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국제미디어센터에서 브리핑을 갖고 "대한민국 정부는 29일 미국과 관세 협상 세부 내용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품목관세 중 의약품·목재품은 최혜국 대우를, 항공기 부품·제네릭 의약품(복제약)·미국 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천연자원 등에 대해선 무관세를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