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3분기 영업익 6013억원…"북미 ESS 경쟁력 강화"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IRA 보조금 제외하고도 흑자 기록 "2027년까지 각형 기반 LFP ESS 제품 준비" LG에너지솔루션 미국 애리조나주 46시리즈 원통형 및 리튬인산철(LFP)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생산 공장 조감도.(LG에너지솔루션 제공) ⓒ News1 최동현 기자 (서울=뉴스1) 이동희 기자 =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30일 실적설명회에서 올해 3분기 매출 5조 6999억 원 영업이익 6013억 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1%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34.1% 증가했다. 북미 생산 보조금(3655억 원)을 제외한 영업이익은 2358억 원으로 2분기 연속 흑자세를 기록했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매출은 9월 말 미국 전기차 구매 보조금 영향 등으로 전기차(EV)향 파우치 사업의 매출은 감소하였으나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의 큰 폭의 매출 성장, 소형 사업의 견조한 매출이 이를 상쇄하며 전 분기 대비 2.4% 증가했다"면서...
기사 본문
전력망용 ESS 배터리 컨테이너 제품. [ⓒLG에너지솔루션] [디지털데일리 고성현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내년 중저가 전기차·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을 위한 대응 전략을 강화한다. 올해 말 폴란드 공장에서 전기차용 리튬인산철(LFP) 파우치 배터리를 양산해 본격 공급에 나서는 한편, 미국 현지에 짓고 있는 합작법인(JV) 등의 일부 라인을 ESS용도로 동원해 납기 대응력을 높이겠다는 목표다. 30일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을 열고 매출 5조7000억원, 영업이익 6013억원을 기록한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17.1% 줄었으나 전분기보다 2.4% 늘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4.1%, 전분기 대비 22.2% 각각 증가했다. 미국 IRA에 따른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반영액을 제외한 영업이익은 2358억원이다. 미국 전기차 소비자 구매 보조금(IRA 30D)이 9월 말 종료된 이후 전기차용 파우치 배터리 수요...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LG에너지솔루션 대전기술연구원의 전경. (사진=LG에너지솔루션). 2024.1.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신항섭 기자 = LG에너지솔루션은 30일 오전 실적설명회를 열고 2025년 3분기 매출 5조6999억원, 영업이익 6013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6조8778억원) 대비 17.1% 감소, 전기(5조5654억원) 대비 2.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4483억원) 대비 34.1%, 전기(4922억원) 대비 22.2% 증가했다. 3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된 북미 생산 보조금(IRA Tax Credit)은 3655억원이다. 이를 제외한 3분기 영업이익은 2358억원이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은 "매출은 9월말 미국 전기차(EV) 구매 보조금 영향 등으로 EV향 파우치 사업의 매출은 감소했으나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의 큰 폭의 매출 성장, 소형 사업의 견조한 매...
기사 본문
LG에너지솔루션은 실적 설명회를 통해 지난 3분기 매출 5조6,999억 원, 영업이익 6,013억 원을 달성했다고 30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6조8,778억 원) 대비 17.1% 감소, 전기(5조5,654억 원) 대비 2.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4,483억 원) 대비 34.1%, 전기(4922억 원) 대비 22.2% 증가했다. 3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된 북미 생산 보조금 (IRA Tax Credit) 금액은 3,655억 원이다. 이를 제외한 3분기 영업이익은 2,358억 원이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CFO(최고재무책임자) 부사장은 “매출은 9월 말 미국 전기차 구매 보조금 영향 등으로 EV향 파우치 사업의 매출은 감소하였으나 ESS사업의 큰 폭의 매출 성장, 소형 사업의 견조한 매출이 이를 상쇄하며 전 분기 대비 2.4%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손익의 경우 ESS와 소형 사업 출하량 증가와 전사 차원의 비용 절감 노력 등이 반영되어 북미 생산 보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