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세 이하 신입, AI에 밀렸다"…50대는 AI 활용 높은 업종서 고용증가

2025년 10월 3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7개
수집 시간: 2025-10-30 13:36:29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머니투데이 2025-10-30 12:00:00 oid: 008, aid: 0005270800
기사 본문

AI 확산 초기 청년고용 위축, 이어질지는 불확실 기업들, AI 협업 체계·직무 재설계 전략 찾을 가능성도 17일 서울 마포구 고용노동부 서울서부고용센터를 찾은 청년이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뉴스1 AI(인공지능) 노출도가 높은 업종에 청년고용 감소가 집중됐다는 한국은행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반면 시니어 일자리는 늘어나는 '연공 편향'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BOK이슈노트: AI 확산과 청년고용 위축'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11월 이후 관측되는 청년층(15~29세) 고용 감소가 AI 노출도 상위(3~4분위) 업종에 집중됐다. 반면 50대의 경우 오히려 AI 노출이 많은 업종을 중심으로 고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노동시장에서도 미국과 비슷하게 AI 도입 초기 주니어 고용은 줄고 시니어 고용은 늘어나는 연공 편향 기술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2022년 11월은 챗GPT 출시 시점이다. 업종별 AI 노출도는 70여개 ...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30 12:55:06 oid: 277, aid: 0005672079
기사 본문

한국은행 'AI 확산과 청년고용 위축' 이슈노트 챗GPT 출시 이후 연령별 고용변화 살펴보니 AI 高노출 업종서 청년 일자리 감소 주도 20대 가장 큰 폭 감소…50대는 오히려 늘어 인공지능(AI) 기술이 국내에 빠르게 도입·확산하면서 20대 청년층이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다는 한국은행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3년간 청년층 일자리는 AI 기술 노출이 높은 직종에서만 20만개가 사라졌다. 기업이 신규 채용을 줄이고 AI 업무로 대체한 결과로 해석된다. 반면 협력, 조직관리 등 사회적 기술이 요구되는 50대의 경우 AI 노출이 높은 직종에서도 오히려 일자리가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20대 일자리 감소, 대부분 AI 高노출 업종서…50대는 오히려 늘어 30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BOK 이슈노트: AI 확산과 청년고용 이슈' 보고서에 따르면 챗GPT가 출시된 이후 최근 3년(2002년 7월~2025년 7월) 동안 청년층(15~29세) 일자리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등 AI 기술에 노출...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0-30 12:26:09 oid: 022, aid: 0004078864
기사 본문

챗GPT의 등장으로 인공지능(AI)이 일터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지난 3년 간 청년 고용은 줄고 50대 이상 경력자 고용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노출도에 따른 연령대별 고용 증감. 한국은행 제공 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AI 확산과 청년고용 위축, 연공편향 기술변화를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7월부터 올해 7월 사이 청년(15∼29세) 일자리는 약 21만1000개 감소했는데, 이 중 20만8000개가 AI 노출도 상위 업종에서 발생했다. 반면 50대 일자리는 같은 기간 약 20만9000개 증가했고, 그중 14만6000개가 AI 고(高)노출 업종에 속했다. 특히 AI 노출도가 가장 높은 편인 출판업, 컴퓨터 프로그래밍, 정보서비스업에서 청년 일자리가 상당히 감소했다. 이들 업종에서 청년고용은 3년간 각각 11.2%, 20.4%, 23.8% 감소했다. 반면 AI 노출도가 높아도 AI로 인해 대체될 가능성이 낮은 분야(고보완도 업종)는 청년고용 면에서 상대적으로 ...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TV 2025-10-30 12:26:59 oid: 215, aid: 0001228926
기사 본문

인공지능(AI) 활용도가 높은 산업일수록 청년층 고용 감소가 두드러진 반면, 중장년층 고용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30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국내 노동시장에서 AI 도입 초기 주니어 고용은 줄고 시니어 고용은 늘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대표적 생성형 AI 도구 챗GPT가 출시된 2022년 11월 이후 15∼29세 청년층의 고용 흐름을 국민연금 가입자 수를 통해 분석했다. AI 노출도를 1∼4분위로 구분해 비교한 결과, 분석 기간 청년 고용 감소는 주로 AI 노출이 잦은 분위(3∼4분위)의 업종에 집중된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50대는 오히려 AI 노출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고용이 증가해 대조를 보였다. 수량적으로 비교하면 2022년 7월∼2025년 7월 청년층 일자리는 21만1천개 감소했는데, 이 중 20만8천개가 AI 노출도 3∼4분위 업종에 해당했다. 같은 기간 50대 일자리는 20만9천개 증가했고, 이 중 14만6천개가 AI 노출도 3∼4분위 업종이었...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