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도약기금, 장기 연체채권 첫 매입…캠코 등 보유분 5.4조 규모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11월부터 은행 등 보유 연체채권 매입 추진 대부업체 협약 가입 위한 인센티브 마련 예정 사진은 서울 중구 명동의 전봇대에 붙여진 신용카드 대출 광고물 [뉴시스]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새도약기금이 취약계층의 장기 연체채권을 처음 매입하며 본격적인 빚 탕감에 나섰다. 새도약기금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국민행복기금이 보유한 장기 연체채권을 매입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에 매입한 채권은 7년 이상 연체, 5000만원 이하의 개인·개인사업자 무담보채권으로 총 매입 규모는 5조4000억원이다. 약 34만명의 채무자가 당장 추심에서 벗어나게 됐다. 기관별로 보면 캠코 보유분이 3조7000억원, 국민행복기금 보유분이 1조7000억원이다. 각각 22만9000명, 11만1000명의 채무자의 연체채권이다. 이번 새도약기금의 연체채권 매입으로 추심은 즉시 중단됐다. 매입 채권 중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 취약계층 채무는 별도 상환능력 심사 없이 연내 소각된다. 그 외 채권은 철저한 상환능력 심...
기사 본문
이재명 정부의 ‘새도약기금’을 통해 1차로 34만명이 빚 탕감을 받았습니다. 이달 초 출범한 새도약기금은 7년 이상·5000만원 이하 장기 소액 연체 채권을 정부가 일괄 매입한 뒤 소각하는 채무탕감 제도입니다. 새도약기금은 한국자산관리공사 및 국민행복기금이 보유한 5.4조원 규모, 34만명의 장기 연체채권을 매입했다고 오늘(30일) 밝혔습니다. 기관별로는 한국자산관리공사 3.7조원(22.9만명), 국민행복기금 1.7조원 (11.1만명)입니다. 이번 연체채권 매입에 따라 추심은 즉시 중단되며, 매입 채권 중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 취약계층 채무는 별도 상환능력 심사 없이 연내 소각될 예정입니다. 그 외 채권은 철저한 상환능력 심사를 실시한 후 개인 파산에 준하는 수준으로 상환능력을 상실한 경우 1년 이내 소각하고, 그 외 상환능력이 현저히 부족한 경우는 채무조정을 추진합니다. 앞서 한국자산관리공사 및 국민행복기금은 지난주부터 새도약기금 매입 대상 채무자에게 채권 양도 예정 사실을 통지...
기사 본문
5000만원 이하 빚 7년 이상 연체자 대상…매입 즉시 추심 중단 7년 미만 연체자도 최대 80% 빚 탕감…5000억 특례 대출도 이억원 금융위원장(오른쪽 네번째)이 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새도약기금 출범식에서 정정훈 한국자산관리공사장 등 참석자들과 현판 제막을 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10.1/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서울=뉴스1) 전준우 기자 = 새도약기금은 30일 한국자산관리공사 및 국민행복기금이 보유한 장기 연체채권을 매입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매입된 채권은 7년 이상 연체, 5000만 원 이하의 개인(개인사업자 포함) 무담보채권으로 총 매입 규모는 5조 4000억 원, 34만 명이다. 한국자산관리공사(3조 7000억 원, 22만 9000명)와 국민행복기금(1조 7000억 원, 11만 1000명)으로 나뉜다. 새도약기금의 연체채권 매입 즉시 추심은 중단되며, 매입 채권 중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 취약계층 채무는 별도 상환능력 심사...
기사 본문
캠코, 국민행복기금서 5.4조원 채권 매입 금융당국, 대부업권·상호금융의 협약 가입 독려 계획 내달부터 민간 금융회사 보유한 장기 연체채권 매입 내달 14일부턴 특별 채무조정과 특례 대출 실시 [이데일리 이수빈 기자] 새도약기금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국민행복기금이 보유한 장기 연체채권 5조 4000억원을 매입하며 첫 발을 뗐다. 30일 금융위원회와 새도약기금은 한국자산관리공사, 국민행복기금이 보유한 장기 연체채권을 매입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매입된 채권은 7년 이상 연체된 5000만원 이하의 개인(개인사업자 포함) 무담보채권으로 총 매입 규모는 5조 4000억원이다. 새도약기금의 연체채권 매입 즉시 추심은 중단되며 매입 채권 중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 취약계층 채무는 별도 상환능력 심사 없이 연내 소각할 예정이다. 그 외 채권은 상환능력 심사를 실시해 개인 파산에 준하는 수준으로 상환능력을 상실한 경우 1년 이내에 소각하고, 그 외 상환 능력이 현저히 부족한 경우 채무조정을 추...
기사 본문
이억원 금융위원장(오른쪽 네번째)이 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새도약기금 출범식에서 정정훈 한국자산관리공사장 등 참석자들과 현판 제막을 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뉴스1 새 정부 배드뱅크인 새도약기금이 장기 연체채권을 매입하기 시작하며 본격적인 빚 탕감에 착수했다. 새도약기금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국민행복기금이 보유한 장기 연체채권을 매입했다고 30일 밝혔다. 총 매입 규모는 5조4000억원(34만명) 규모다. 캠코로부터 3조7000억원(22만9000명), 국민행복기금에서 1조7000억원(11만1000명) 어치를 매입했다. 매입 즉시 추심은 중단되며,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 취약계층의 채무는 별도 심사 없이 연내 소각할 예정이다. 그 외 채권은 소득 및 자산 등 상환능력 심사를 거친 후 개인 파산에 준하는 수준으로 상환 능력을 상실한 경우 1년 이내에 소각한다. 그 외 경우에는 채무조정을 추진한다. 캠코와 국민행복기금은 지난주부터 새도약기금 채권 매입 대상...
기사 본문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새도약기금 출범식에서 이억원 금융위원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기념현판을 제막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새도약기금이 공공기관이 보유한 장기연체 채권 5조 4000억 원어치를 사들이면서 본격적인 자영업자 채무조정을 개시했다. 금융위원회는 30일 새도약기금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국민행복기금 등 공공기관이 보유한 5조 4000억 원 규모의 연체 채권을 매입했다고 밝혔다. 대상 채무자는 34만 명이다. 새도약기금이 연체 채권을 매입하는 순간 추심 절차는 즉각 중단된다. 기초생활수급자와 중증장애인 등 사회 취약계층이 보유한 채권은 별도의 심사를 거치지 않고 소각된다. 개인 파산에 준하는 정도로 상환 능력을 상실한 경우에는 채권이 소각되고 그 외는 채무조정 절차를 밟게 된다. 본인이 소유한 채권의 소각 여부는 12월부터 새도약기금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 본문
캠코·국민행복기금이 가진 총 5조4000억원어치 금융사 및 공공기관 보유 채권은 11월부터 매입 협약 거부하는 대부업권, 상호금융 가입은 과제 지난 1일 서울 중구 신용회복위원회 본사에서 열린 ‘새도약기금 출범식’에서 참석자들이 현판 제막식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양혁승 새도약기금 대표이사, 이재연 서민금융진흥원장, 이세훈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강준현 국회 정무위원회 간사, 이억원 금융위원장, 정정훈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 금융위 제공. [파이낸셜뉴스] 장기 연체채권 취약자주 부담 경감을 취해 출발한 ‘새도약기금’이 채권 매입을 개시했다. 일단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국민행복기금이 가지고 있는 5조4000억원 규모 연체채권을 사들였고, 이 중 상환능력 상실자 관련 물량에 대해선 1년 안에 소각한다. 3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새도약기금은 캠코와 국민행복기금이 보유한 7년이상 연체, 5000만원 이하 34만명의 개인 무담보 연체채권을 ...
기사 본문
캠코 3.7조·국민행복기금 1.7조…34만명에 통보 대부·상호금융 독려…대부업 인센티브 마련키로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양혁승 새도약기금 대표이사가 지난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새도약기금 출범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10.01.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취약층과 소상공인을 빚 탕감을 위해 설립된 이재명정부의 배드뱅크 '새도약기금'이 장기연체채권을 첫 매입했다. 새도약기금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국민행복기금이 보유하고 있던 5조4000억원, 34만명 규모의 장기 연체채권을 매입했다"고 30일 밝혔다. 매입 채권은 7년 이상 연체된 5000만원 이하의 개인(개인사업자 포함) 무담보채권으로, 캠코 보유분 3조7000억원(22만9000명), 국민행복기금 보유분 1조7000억원(11만1000명) 규모다. 캠코와 국민행복기금은 지난주부터 새도약기금 매입 대상 채무자에게 채권 양도 예정 사실을 알렸다. 새도약기금에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