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배송 서비스 중단 논란에…소비자 64% "불편함 느낄 것"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소비자와함께·한국소비자단체연합 1천명 설문조사…경험자 99% "계속 이용" 택배 쌓인 물류센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박수현 기자 = 유통업계의 새벽배송 서비스가 중단되거나 축소될 경우 소비자의 과반수가 불편함을 느낄 것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 번이라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의 절대 다수는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겠다는 의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단법인 소비자와함께와 한국소비자단체연합은 지난달 24일부터 지난 14일까지 조사기관 더브레인에 의뢰해 소비자 1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고 30일 밝혔다. 응답자 중 새벽배송 서비스가 중단되거나 축소된다면 불편함을 느낄 것이라고 답변한 비율은 64.1%('매우 불편해질 것' 19.9%, '다소 불편해질 것' 44.2%)에 달했다. 의견이 없음을 뜻하는 '보통'은 26.5%였고,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은 9.4%('매우 불편하지 않을 것' 3%, '다소 불편하지...
기사 본문
국회 국감서 “부처 차원서 논의 아직” 택배노조 “전면 금지 아닌 규제 필요” 정부도 야간노동 규제 필요성엔 공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30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고용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종합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새벽배송’을 금지하자는 주장에 대해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며 회의적인 입장을 밝혔다. 단 정부는 새벽배송이란 형태로 나타난 야간노동의 규제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다. 김 장관은 30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이 같이 답하며 “(새벽배송 금지는) 아직 부처 차원에서 논의하지 않았다”며 “소비자 등 여러 가지 조건을 함께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민주노총 소속 전국택배노동조합은 최근 사회적 대화기구에서 자정부터 오전 5시까지 배송을 제한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유통업계는 이 의견을 사실상 새벽배송을 금지하자는 주장으로 여기고 있다. 택배노조 측은 “새...
기사 본문
[the300][2025국정감사]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노동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얼굴을 만지고 있다. 2025.10.15. kmn@newsis.com /사진=김명년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근로자 휴식 보장을 위해 '새벽 배송'을 전면 금지하자고 제안한 것과 관련해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장관은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새벽 배송 금지와 관련된 입장을 묻는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앞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택배노조는 지난 22일 진행한 '범정부 사회적대화기구'에서 국토교통부 등과 만나 근로자 휴식 보장을 위해 심야(자정~오전 5시) 배송을 제한해야 한다는 개선안을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적대화기구는 의견을 수렴해 이르면 연말까지 최종 대책을 내놓...
기사 본문
한동훈 “마냥 없애잔 건 노동자도 피해” 장혜영, 한동훈에 “참 속편하게 정치… 건강 담보로 새벽배송하는 노동자 있어” 서울의 한 쿠팡 물류센터에 배송 차량이 주차되어 있다. [김호영 기자] “한동훈 전 대표는 마치 국민 전체를 위하는 듯 호도하지 말길 바랍니다. 사람이 죽는 게 뻔한 서비스를 두고 아무 대안도 내놓지 않고 노동조합 욕만 하는 건 정치적 무책임일 뿐입니다.”(윤종오 진보당 의원)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이 노동자 건강권 보장을 위한 ‘심야배송 제한’ 방안을 내놓은 것과 관련 정치권에서의 논쟁이 커지고 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이 ‘새벽배송 전면 금지’를 두고 전면 공방을 벌인 가운데, 윤종오 의원도 ‘속도보다 생명’ 원칙을 꺼내 설전에 합세했다. 다만 최근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런베뮤)에서 일하던 20대 직원의 과로사 의혹도 커지고 있는 만큼 새벽배송 노동자들의 과로 관련 논의가 점점 확대될 전망이다. 한동훈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