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사망보험금 생전 연금 전환’ 서비스…생보사 5곳 출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금융위원회 신한라이프·삼성생명·한화생명·교보생명·케이비(KB)라이프 등 생명보험사 5곳이 사망보험금을 생전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사망보험금 유동화 서비스’를 30일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보험계약자가 사망보험금을 연금자산으로 전환해 노후 소득 공백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제도성 특약으로, 이번에 5개 생명보험사가 1차로 선보였다. 이번 서비스는 연 단위로 지급된다. 앞으로는 매월 급여를 지급하는 상품도 출시될 예정이다. 지난 9월 말 기준 이들 생명보험 5개사의 사망보험금 유동화 대상 계약은 41만4천건, 가입금액은 23조1천억원이다. 55살 이상 보험계약자 중 10년 이상 납입 완료된 금리확정형 종신보험 등 일정 조건을 충족한 경우 신청할 수 있다. 주계약 사망보험금의 90% 이내에서 유동화가 가능하다. 또한 유동화 도중 필요한 경우 중단하거나 조기종료 신청을 할 수 있고 이후 유동화를 재신청할 수도 있다. 다만 유동화를 시행하게 되면 사망보험금을 다시 복구할 수는 없다. 금융...
기사 본문
삼성·한화·교보생명 및 신한·KB라이프 유동화 서비스 출시 삼성생명이 ‘사망보험금 유동화 서비스’를 출시했다. [삼성생명 제공] [헤럴드경제=서지연 기자] 앞으로 사망보험금을 생전 소득처럼 유동화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고령층 중심으로 종신보험 가입자의 생활자금 활용 폭이 넓어질 전망이다. 30일 생명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한화생명·교보생명·신한라이프·KB라이프 등 5개 생명보험사가 ‘사망보험금 유동화 서비스’를 일제히 오픈했다. 정부와 보험업계가 함께 추진한 ‘생명보험 자산의 노후자금화 정책’의 첫 결실로, 기존 종신보험 계약을 유지하면서도 그 가치를 노후소득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한 제도다. 이번 서비스는 사망보험금의 일부를 연금 형태로 미리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형 특약이다. 보유한 종신보험의 보장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계약자가 생전에 일정 금액을 연금으로 수령하는 구조다. 생보업계 1차 참여사 5곳의 대상 계약은 41만4000건, 가입금액은 약 23조1...
기사 본문
챗GPT로 생성한 이미지. 사망보험금 유동화 상품이 30일 첫 선을 보인다. 본인이 사망한 후에만 탈 수 있는 보험금을 생전에 연금처럼 탈 수 있는 것이다. 보험 가입자들은 사망보험금 일부를 미리 받아 노후 생활비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5개 생명보험사(삼성생명·한화생명·교보생명·신한라이프·KB라이프)는 30일 ‘사망보험금 유동화 상품’을 1차로 출시한다. 이후 준비 과정을 거쳐 내년 1월 2일까지 전(全) 생보사(대상 계약이 없는 BNP파리바카디프생명·IBK연금보험은 제외)가 상품을 내놓을 예정이다. 사망보험금은 원래 가입자가 사망하면 유족에게 나오는 보험금이다. 그동안 종신보험은 사망 후 가족들에게 ‘남겨주는 보험’으로 인식됐다. 하지만 최근 평균 수명이 길어지고 1인 가구가 늘면서 전통적인 상속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대신 노후 생활을 즐기려고 하는 수요가 늘면서 사망보험금 일부를 생전에 활용할 수 있는 상품이 출시됐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1차 출시 ...
기사 본문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 10년 납입, 만 55세 이상 대상… 보험금 최대 90%까지 활용 연령 높을수록 더 많이 수령 한화-삼성-교보 등 5개 보험사, 오늘부터 ‘연 지급형’ 우선 출시 내년엔 ‘월 지급형’ 신청 가능 노건엽 보험연구원 금융제도연구실장은 본보 인터뷰에서 “최근에 출시된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를 잘 활용하면 은퇴한 뒤에도 생활 자금을 확보할 수 있어 노후 소득 공백을 보완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진한 의학전문기자·의사 likeday@donga.com “은퇴 희망 연령은 65세이지만 현실에선 56세에 직장을 그만둔다.” 최근 KB금융그룹이 발간한 ‘2025 KB골든라이프 보고서’에는 이 같은 내용이 담겼다. 직장인 상당수는 정년인 60세보다 4, 5년 정도 빨리 그만둔다. 퇴직한 뒤 국민연금을 받기 이전인 64세까지 10년 가까이 소득 공백이 발생한다. 보건복지부와 통계청이 공개한 ‘2023년 연금 통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90.9%가 기초연금, 국민연금, 직역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