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현 가구거리에 20층 규모 업무시설…2029년 준공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논현동 55-16번지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계획 결정 강남구 논현동 55-16번지 위치도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이른바 '가구 1번지'로 불리는 서울 강남구 논현동 가구거리에 20층 규모 업무·판매시설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지난 29일 제2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수권소위원회)를 열어 '강남구 논현동 55-16번지 일대 역세권 활성화 사업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계획 결정(안)'을 수정가결했다고 30일 밝혔다. 대상지는 논현역 역세권인 논현 가구거리 일대로 업무 기능이 지역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도시 기능 회복을 위해 정비가 필요한 지역이다. 이번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으로, 이 일대엔 지하 7층∼지상 20층 규모의 업무시설, 판매시설, 공공시설 등이 들어선다. 전면부에는 보행로 및 휴게공간을 조성해 학동로변에 쾌적하고 활력있는 보행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논현가구거리 특성을 반영해 '창업플랫폼 강남공예플라자...
기사 본문
논현동 역세권인 논현 가구거리 일대 ‘창업플랫폼 강남 공예 플라자’ 등 조성 서울 강남구 논현동 55-16번지 일대 역세권 활성화 사업 조감도 [서울시 제공] [헤럴드경제=박로명 기자] 서울시는 강남구 논현동 55-16번지 일대 역세권 활성화 사업 지구단위계획 구역 지정 및 계획 결정안에 대해 제2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수권소위원회)를 개최해 수정 가결했다고 밝혔다. 대상지는 논현역 역세권인 논현 가구거리 일대로, 업무기능이 지역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면부 저층 주거지 밀집 지역의 휴게공간 부족 등 도시 기능 회복을 위해 정비가 필요한 지역이었다. 이번 지구단위계획 구역 지정으로, 이 일대엔 지하 7층~지상 20층 규모의 업무시설과 판매시설, 공공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전면부에는 활성화 용도를 도입하고 이와 연계한 보행로 및 휴게공간을 조성해 학동로 변에 쾌적하고 활력있는 보행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공공기여로는 논현 가구거리 특성을 반영해 ‘창업플...
기사 본문
20층 규모 업무·판매·공공시설...2029년 준공 강남구 논현동 55-16번지 일대 조감도. 서울시 제공 강남구 논현동 55-16번지 일대 위치도. 서울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서울시 강남구 논현역 일대가 지역 수요에 맞춘 재정비에 나선다. 서울시는 제2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수권소위원회를 열고 '강남구 논현동 55-16번지 일대 역세권 활성화 사업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계획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30일 밝혔다. 대상지는 논현역 역세권인 논현 가구거리 일대로 업무 기능이 지역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면부 저층 주거지 밀집 지역의 휴게공간 부족 등 도시 기능을 회복을 위해 정비가 필요한 지역이었다. 이곳 일대에는 지하7층~지상20층 규모(3420.5㎡)의 업무시설, 판매시설, 공공시설 등이 들어선다. 전면부에는 활성화 용도를 도입하고 그와 연계한 보행로 및 휴게공간을 조성하여 학동로변에 쾌적하고 활력있는 보행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기여로는 논현가구...
기사 본문
위치도 논현 가구거리 역세권 일대가 새롭게 정비된다. 도심 핵심지 역세권으로 최신 업무·상업시설과 공공시설이 조성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제2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수권소위원회)를 열고 강남구 논현동 55-16번지 일대 역세권 활성화 사업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계획 결정(안)을 수정가결했다고 30일 밝혔다. 대상지는 논현역 역세권인 논현 가구거리 일대다. 업무 기능이 지역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이면부 저층 주거지 밀집 지역의 휴게공간 부족 등 도시 기능을 회복을 위해 정비가 필요한 지역이다. 이번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으로, 이 일대엔 지하 7층~지상 20층 규모(3420.5㎡)의 업무시설, 판매시설, 공공시설 등이 들어선다. 전면부에는 활성화 용도를 도입하고 그와 연계한 보행로 및 휴게공간을 조성해 학동로변(30M) 보행환경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기여는 논현가구거리 특성을 반영해 '창업플랫폼 강남공예플라자'와 같은 맞춤형 공공시설을 조성하고, 현금 공공기여는 지역 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