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 인하에 24시간 금융·외환시장 모니터링…정부 “필요시 적기 대응”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美 연준 연속 금리인하···QT도 12월 종료 미·중 갈등·셧다운 불확실성 상존 국내 금융·채권 안정···외환시장 변동성 여전 정부 “24시간 모니터링” 이형일 기획재정부 차관이 30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수출입은행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제공=기재부. [서울경제] 정부가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미·중 갈등과 미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 등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히 상존한다고 평가하며 금융·외환시장 모니터링 체계를 지속 강화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수출입은행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전날 새벽(한국시간) 열린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와 글로벌 금융시장 흐름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회의는 이형일 기재부 1차관 주재로 한국은행·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미 연준은 이번 FOMC에서 기준금리를 연속으로 인하하며 상단 기준 4.0%로 낮췄다. 동시에 대차대조표 축소(QT) 정책도 오는 ...
기사 본문
'거시경제금융회의' 금융·외환시장 점검 "금융시장 전반적 안정세 유지" 정부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결정과 관련, 국내 금융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주식·채권시장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외환시장 역시 한미 간 관세협상 타결로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하면서 변동성이 다소 줄었다고 분석했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수출입은행에서 관계기관 합동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이날 새벽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인하 결정이 국내외 금융·외환시장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박종우 한국은행 부총재보, 안창국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이세훈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FOMC에서 연준은 기준금리를 기존 4.00∼4.25%에서 3.75∼4.00%로 0.25%포인트 인하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2기 들어 두 번째 금리 인하다. 연준...
기사 본문
거시경제금융회의 개최 10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책금리 인하 결정 美中 무역갈등, 美 연방정부 셧다운 등 불확실성 요인 면밀히 모니터링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30일 7시 30분 수출입은행에서 관계기관 합동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해 금일 새벽(한국시간)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인하 결정에 따른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두 차례 연속 정책금리를 인하하며 완화 기조를 이어갔지만 제롬 파월 연준의장이 "12월 금리 결정은 미정"이라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자 미 국채금리는 급등하고 달러화가 강세로 전환됐다. 이에 정부는 24시간 합동 모니터링 체계를 유지하며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적기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30일 7시 30분 수출입은행에서 관계기관 합동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해 금일 새벽(한국시간) 미국 연방공개시장위...
기사 본문
"안정적인 국내 주식·채권과 달리 외환시장 변동성 커" "한미 관세협상 타결에도 대외 불확실성 상존…시장 변동성 예의주시 필요" 기획재정부 이형일 1차관이 10월 30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수출입은행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기획재정부 이형일 1차관은 30일 오전 수출입은행에서 관계기관 합동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하고, 이날 새벽(한국시간)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인하 결정에 따른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한국은행 박종우 부총재보, 금융위원회 안창국 상임위원, 금융감독원 이세훈 수석부원장 등이 참석했다. 앞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은 FOMC에서 2차례 연속 정책금리를 금리상단 4.0%로 인하하면서 대차대조표 축소 정책을 오는 12월 중단하기로 했다. 성명서에서는 경제전망 상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고 평가하면서 연준이 물가 상승과 고용 둔화 등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