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반도체 불확실성 해소…美 투자부담도 줄어"[한미정상회담]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전문가들 '선방' 평가…"현금투자 여전히 크고 투자 안전장치 의문" 의견도 (서울=연합뉴스) 산업부 = 한국과 미국 정부가 29일 세부 내용에 합의한 관세협상 결과에 대해 전문가들은 반도체와 자동차 관세 부문에서 경쟁국보다 불리하지 않은 합의를 얻어낸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현재 25%인 자동차 관세가 15%로 인하돼 경쟁국인 일본·유럽연합(EU)과 동등한 수준이 된 터라 미국 시장 내 가격 경쟁에서 불이익을 받을 우려를 덜었고, 반도체도 주요 경쟁국인 대만과 비교해 불리하지 않은 수준이라 세계적 수준인 K-반도체의 경쟁력이 유지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에서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대미 투자 패키지 3천500억달러의 '현금 선불투자'라는 강경한 조건을 내걸었으나 '2천억달러 현금 투자·연간 한도 200억달러'로 낮춘 것도 외환시장에 무리한 부담을 주지 않는 수준이어서 나름대로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미국으로부터 투자 방식 등과 관련해 일부 양보를 얻어...
기사 본문
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에도 안전장치…"보유 외환 운용수익으로 조달" "외환시장 충격 없을지 의문…설비투자 위축 우려도" 트럼프 대통령 영접하는 이재명 대통령 (경주=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 힐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대통령 주최 정상 특별만찬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영접하고 있다. 2025.10.29 superdoo82@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안채원 송정은 기자 = 3천500억달러(약 498조원) 대미 투자와 관련해 극적으로 합의가 이뤄지며 한국 경제가 일단 큰 고비는 넘겼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우리가 마지노선으로 제시한 '연간 200억 달러'(약 28조5천억원) 한도를 지켜내면서 외환시장 충격 우려도 다소 덜었다. 주력 상품인 자동차의 품목별 관세율을 일본과 같은 15%로 낮추고, 반도체 역시 주요 경쟁국인 대만에 비해 불리하지 않도록 설계한 점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직접투자 연 200억달러 한도 합의…...
기사 본문
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에도 안전장치…"최소 경쟁국가와 비슷한 수준" "외환시장 실제 충격 없을지 의문…설비투자 위축 우려도" 트럼프 대통령 영접하는 이재명 대통령 (경주=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 힐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대통령 주최 정상 특별만찬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영접하고 있다. 2025.10.29 superdoo82@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안채원 송정은 기자 = 한미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한을 계기로 총 3천500억달러(약 498조원)의 대미 투자와 관련해 합의를 이루며 한국 경제가 일단 큰 고비는 넘겼다는 분위기다. 우리가 마지노선으로 제시한 '연간 200억 달러'(약 28조5천억원) 한도를 지켜내면서 외환시장 충격파 우려도 덜었다. 한국의 주력 상품인 자동차의 품목별 관세율을 일본과 같은 15%로 낮추고, 반도체 역시 주요 경쟁국인 대만에 비해 불리하지 않도록 설계한 점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기사 본문
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에도 안전장치…“최소 경쟁국가와 비슷한 수준” “외환시장 실제 충격 없을지 의문…설비투자 위축 우려도” 서울 명동 환전소에 외환 시세가 게시돼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한을 계기로 한미무역협상이 총 3500억달러(약 500조원)의 대미 투자와 관련해 타결되면서 우리 경제가 일단 큰 고비는 넘겼다는 평가다. 우리가 마지노선으로 제시한 ‘연간 200억 달러’(약 28조5000억원) 한도를 지켜내면서 외환시장 충격파 우려도 덜었다. 특히 우리 주력 상품인 자동차의 품목별 관세율을 일본과 같은 15%로 낮추고, 반도체 역시 주요 경쟁국인 대만에 비해 불리하지 않도록 설계한 점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9일 브리핑에서 3500억달러 대미 투자 펀드와 관련한 이재명·트럼프 대통령의 협상 세부 결과를 발표했다. 타결안의 큰 구조는 현금 투자 2000억달러(약 284조6000억원)와 이른바 ‘마스가 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