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훨훨 날았다… 3분기 영업익 11.4조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D램·낸드 등 전 제품 고객 수요 확보" "HBM, 2027년까지 공급 부족할 것" HBM4 엔비디아 공급할 것이란 예상 29일 경기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 연합뉴스 2026년까지 전 제품 고객 수요를 모두 확보했다 김우현 SK하이닉스 최고재무책임자(CFO) 창사 이래 처음 분기 영업이익 10조 원을 돌파하며 또다시 사상 최고 실적 기록을 쓴 SK하이닉스는 이 한마디로 자신감이 넘쳐났다. 인공지능(AI) 확산으로 인해 AI 가속기에 들어가는 고부가가치 주요 제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를 비롯한 D램, 낸드 등 모든 메모리 제품이 '완판'됐다는 뜻. 업계에서는 양산 준비를 마친 차세대 HBM(HBM4)을 가장 큰 고객인 엔비디아에 납품하게 됐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2027년까지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에 대비해 공장을 조기 가동하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SK하이닉스는 29일 3분기(7~9월) 실적 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HBM 제품의 수요 대비 공급이 2027년에도 타이트...
기사 본문
3분기 영업익 사상최대 11.4조원 AI 모델 ‘학습’서 ‘추론’으로 확장… HBM 등 메모리 반도체 수요 폭증 D램 수요 내년 20% 이상 성장 전망… “본질적으로 다른 형태 슈퍼사이클” 이달 2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27회 반도체 대전(SEDEX 2025)을 찾은 관람객이 공개된 SK하이닉스의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4 실물을 살펴보고 있다. 뉴스1 《훨훨 날아오른 SK하이닉스… 3분기 영업익 10조 첫 돌파 SK하이닉스가 올 3분기(7∼9월) 1983년 창사 이래 처음으로 분기 영업이익 10조 원을 넘어섰다. SK하이닉스는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4조4489억 원과 11조383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1%, 61.9% 늘어났다고 29일 밝혔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기준 역대 최대다. SK하이닉스의 이번 실적 호조는 글로벌 시장에서 메모리 반도체의 수요가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글로벌 빅테크들이 인공지능(AI) 투자를 늘리며...
기사 본문
HBM 넘어 D램·낸드까지 내년 솔드아웃 SK하이닉스가 지난 3분기 영업이익이 11조 383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전년 동기(7조299억원) 대비 61.9% 증가한 수치로 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같은 기간 매출은 24조4489억원으로 39.1% 증가했고, 순이익은 12조5975억원으로 119% 증가했다. 그래픽은 SK하이닉스 실적 추이. /그래픽=강지호 기자 SK하이닉스가 사상 처음으로 분기 영업이익 10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다시 썼다. 인공지능(AI) 확산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와 고용량 DDR5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데다 범용 D램 가격 회복이 맞물리면서 실적 상승세가 가속화된 결과다. 회사는 대규모 생산능력(CAPEX) 증설을 통해 'AI 메모리 초호황'에 선제 대응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겠다는 전략이다. SK하이닉스는 29일 올해 3분기(7~9월)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1조38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9% 증...
기사 본문
SK하이닉스 경기 이천 본사 전경/사진 제공=SK하이닉스 글로벌 경기 둔화와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등 대외 경제 불확실성 확대 속에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성적표를 거뒀다. 영업이익은 창사 이래 최대치를 기록해 분기 영업이익 '11조 클럽'에 가입했다. 이번 호실적은 인공지능(AI)시장 개화로 반도체 업황이 살아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메모리 시장에선 최근 범용 D램과 낸드 제품의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는 등 '슈퍼 사이클'에 진입했다는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또한 SK하이닉스는 최근 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사에 HBM4(6세대)의 공급 협의를 모두 완료하고 내년부터 본격 판매에 돌입할 계획인 만큼 시장에선 당분간 실적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이란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돌아온 반도체 슈퍼사이클…HBM·고성능 제품 판매 증가 SK하이닉스는 29일 올 3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24조4489억원, 영업이익 11조3834억 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
기사 본문
三電 3Q 반도체 영업익 7조…HBM·SSD의 힘 SK하닉도 사상 첫 분기 10조 영업익 30일 장 초반 나란히 ‘사상 최고가’ 경신 MS·알파벳·메타, AI發 호실적…AI 투자 의지까지 韓 증권가, 반도체 양대株 목표가 눈높이 ↑ [챗GPT를 사용해 제작함]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최근 두 달 새 시가총액이 1.5~2배씩 급증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증시 양대 반도체주(株) 삼성전자·SK하이닉스 주가에 대한 증권가의 눈높이는 더 높아지고 있다. 한껏 높아졌던 실적 기대치마저도 훌쩍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내놓고 있는 상황 속에 버블(거품) 우려가 불식 중인 AI 랠리에 필수적인 고대역폭메모리(HBM)에서 양사의 파워가 갈수록 굳건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빅테크(대형 기술주)도 AI 투자 강화에 대한 의지를 거듭 밝히는 만큼, 메모리 반도체 ‘슈퍼사이클’을 타고 강세를 보일 삼성전자·SK하이닉스 주가가 코스피 지수를 얼마나 더 높은 곳까지 올려놓을지 관심이...
기사 본문
SK하이닉스 3분기 영업익 11.4조…창사 이래 최대 실적 (이천=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SK하이닉스가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1조3천834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61.9%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9일 공시했다. 매출은 24조4천489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9.1% 증가했다. 순이익은 12조5천975억원(순이익률 52%)으로 119% 늘었다. 이로써 SK하이닉스는 직전 최고 기록이었던 지난 2분기 매출 22조2천320억원과 영업이익 9조2천129억원을 1개 분기 만에 갈아치웠다. 특히 영업이익은 창사 이래 최초로 10조원을 넘어섰다. 사진은 29일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 모습. 2025.10.29 xanadu@yna.co.kr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이민영 기자 = 증권사들이 30일 SK하이닉스의 호실적 기조가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목표주가를 잇달아 올렸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SK하이닉스에 대한 기업 보고서를 발간한 증권사 16...
기사 본문
■영업익 11.4조 사상 최대 추론 AI 이어 로봇·자율주행 등 내년 AI 반도체 품귀 현상 지속 "수요 급증에 초호황기진입 판단" 내년 분기 영업익 15조 전망도 [서울경제] SK하이닉스(000660) 가 창사 이후 처음으로 분기 영업이익 10조 원을 돌파했다. 전 세계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건설 붐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와 범용 D램 매출이 급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29일 올 3분기 영업이익이 11조 3834억 원(연결 기준)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61.9% 증가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24조 4489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39.1% 늘었다. 순이익은 12조 5975억 원으로 이익률이 52%에 달했다. 이는 전 분기 최대 매출(22조 2320억 원)과 영업이익(9조 2129억 원) 기록을 훌쩍 뛰어넘는 것이다.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에 이어 한국 기업 중 분기 영업이익 10조 원을 넘어선 두 번째 기업에 등극했다. SK하이닉스의 최대 실적은...
기사 본문
▲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증권사들이 30일 SK하이닉스의 호실적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며 목표주가를 잇따라 올렸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SK하이닉스에 대한 보고서를 낸 증권사 16곳 중 14곳이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다. 상향된 목표가는 대부분 65만원 이상이었으며, 최고 75만원까지 제시한 곳도 있었다. 손인준 흥국증권 연구원은 "AI(인공지능) 수요가 전 분야로 확대되는 가운데 HBM4E(고대역폭 메모리 6세대)의 가속기당 탑재량 급증, 선단 공정의 리드 타임 증가, 해외 경쟁사들의 제한적 Capa(생산 능력) 확대 여력 등이 맞물려 메모리 전반의 장기 업사이클(호황)을 전망한다"며 목표주가를 75만원으로 상향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2026년 HBM, D램, 낸드 등 메모리 전 제품이 완판(솔드 아웃)되며 평균판매단가(ASP) 상승과 출하량 증가로 높은 영업이익 증가율이 지속되고, 컨벤셔널(일반) D램 가격 상승에 따른 HBM과의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