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200억 달러, 총 2000억 달러 투자금 어떻게 마련하나?

2025년 10월 3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7개
수집 시간: 2025-10-30 02:25:4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한국일보 2025-10-29 22:31:07 oid: 469, aid: 0000894611
기사 본문

우리 외환 자산 운용 수익으로 연 150억 달러 외평채, 정책금융 외화 채권 등 발행해 충당 "경상수지 흑자 감안하면 감내 가능한 수준"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국립박물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악수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9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한국이 미국에 현금 투자를 약속한 총 2,000억 달러의 재원을 어떻게 마련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우선 연간 투자 상한선으로 합의된 200억 달러(약 28조4,760억 원) 가운데 약 150억 달러는 우리나라 외환자산 운용 수익으로 충당될 전망이다. 그동안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 등 외환당국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9월 말 기준 4,220억2,000만 달러)이 감소하지 않는 범위에서 조달할 수 있는 자금이 연간 150억 달러 내외라고 설명해 왔다. 즉 보유한 외환자산을 운용해 얻는 이자나 배당 등 수익으로 상당 부분을 감당할 수 있다는 뜻이다. 나머지는 달러 표시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

전체 기사 읽기

조선비즈 2025-10-29 22:22:07 oid: 366, aid: 0001118502
기사 본문

선불, 할부로 전환하면서 이자 부담 400억불 줄여 전문가 “최선의 결과” 평가… 국내 파급 효과는 지켜봐야 200억불 조달 방식도 주목… 한은·KIC 역할할까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 오찬회담에 참석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한국과 미국이 29일 정상회담에서 당초 합의한 2000억달러 규모 대미 투자를 매년 200억달러씩 10년에 걸쳐 투자하는 방식으로 조정하면서 대규모 외화 유출로 인한 외환 위기를 피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한국 경제 규모를 고려할 때 장기적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미 양국이 합의한 200억달러(한화 28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는 한국 정부의 연간 사회간접자본(SOC) 분야 예산 규모(2026년 예산안 기준 27조5000억원)를 상회한다. 이는 국내 인프라 예산과 맞먹는 규모를 매년 미국에 투자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29 22:31:43 oid: 421, aid: 0008572489
기사 본문

전문가 "현금 투자 부담 감당 범위 내…시장 충격 제한적" "관세 인하로 수출 경쟁력↑…성장률·환율 안정에도 긍정적"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 도착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10.29/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서울=뉴스1) 이철 이강 심서현 기자 = 한국과 미국이 29일 관세 협상을 최종 타결하면서 그동안 한국경제를 짓눌러왔던 통상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특히 정부가 대미 현금 투자 부담을 '총 2000억 달러, 연간 200억 달러'로 낮춘 것과 관련해 "감당 가능한 수준"이라며, 외환시장 충격을 최소화한 '현실적 합의'라고 평가했다. 또한 우리나라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가 25%에서 15%로 인하됨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대미 수출 경쟁력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현금투자, 외화 운용수익으로 충당…시장 영향은 '제한적' 김용범 대통령실 정...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0-29 21:44:00 oid: 032, aid: 0003405402
기사 본문

“불확실성이 사라지면서 투자나 소비가 늘어나는 계기” “투자 심의 과정에서 한국 의사 얼마나 반영될지 과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29일 경북 경주 APEC 국제미디어센터에서 한미 관세협상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경주|김창길 기자 한·미 관세 협상 합의의 핵심은 미국이 요구한 3500억달러의 대미투자금 중 2000억달러를 한국이 현금으로 투자하되, 연간 투자액이 200억달러를 넘지 않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연간 200억달러의 상한(캡)을 씌우고 협상을 타결했다는 점에서 긍정 평가를 내렸지만 향후 경제 및 외환시장에 충격이 없을지는 지켜봐야 한다며 신중한 입장을 내놨다. 앞으로 투자 실행 과정에 한국 의사가 어느 정도 반영되는지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9일 한·미 관세협상 브리핑에서 “연간 200억달러의 한도 내에서 사업 진척 정도에 따라 투자하기 때문에 우리 외환시장이 감내할 수 있는 범위에 있으며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최소화...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