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특수’ 날개 단 SK하이닉스…“앞으로 2년 반도체 호황”

2025년 10월 3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18개
수집 시간: 2025-10-30 02:19:2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12개

국민일보 2025-10-30 02:06:17 oid: 005, aid: 0001811078
기사 본문

3분기 영업이익 사상 첫 10조 넘겨 AI 투자에 D램 수요 → 낸드로 확장 HBM 30% 성장… 시장점유율 58% 6세대 HBM4, 4분기부터 출하 SK하이닉스가 메모리 슈퍼사이클 진입에 따른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판매 호조에 힘입어 올해 3분기 영업이익 11조3834억원을 기록했다. 분기 영업이익 10조원 돌파는 창사 이래 처음이다. 사진은 29일 경기도 이천 SK하이닉스 본사의 모습. 연합뉴스 SK하이닉스가 사상 최대 실적을 또다시 갈아치웠다.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확대로 D램뿐 아니라 낸드플래시 수요 증가가 이어지는 데 따른 것이다. SK하이닉스는 내년 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들에 공급할 메모리 전제품이 사실상 ‘완판’됐다고 전하며 “메모리 슈퍼 사이클에 진입했다”고 선언했다. SK하이닉스는 3분기 매출 24조4489억원과 영업이익 11조3834억원, 순이익 12조5975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창사 이래 처음으로 분기 기준 10조원을 넘겼고,...

전체 기사 읽기

머니S 2025-10-29 13:43:51 oid: 417, aid: 0001109725
기사 본문

HBM 넘어 D램·낸드까지 내년 솔드아웃 SK하이닉스가 지난 3분기 영업이익이 11조 383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전년 동기(7조299억원) 대비 61.9% 증가한 수치로 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같은 기간 매출은 24조4489억원으로 39.1% 증가했고, 순이익은 12조5975억원으로 119% 증가했다. 그래픽은 SK하이닉스 실적 추이. /그래픽=강지호 기자 SK하이닉스가 사상 처음으로 분기 영업이익 10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다시 썼다. 인공지능(AI) 확산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와 고용량 DDR5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데다 범용 D램 가격 회복이 맞물리면서 실적 상승세가 가속화된 결과다. 회사는 대규모 생산능력(CAPEX) 증설을 통해 'AI 메모리 초호황'에 선제 대응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겠다는 전략이다. SK하이닉스는 29일 올해 3분기(7~9월)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1조38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9% 증...

전체 기사 읽기

블로터 2025-10-29 09:20:11 oid: 293, aid: 0000074192
기사 본문

SK하이닉스 경기 이천 본사 전경/사진 제공=SK하이닉스 글로벌 경기 둔화와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등 대외 경제 불확실성 확대 속에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성적표를 거뒀다. 영업이익은 창사 이래 최대치를 기록해 분기 영업이익 '11조 클럽'에 가입했다. 이번 호실적은 인공지능(AI)시장 개화로 반도체 업황이 살아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메모리 시장에선 최근 범용 D램과 낸드 제품의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는 등 '슈퍼 사이클'에 진입했다는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또한 SK하이닉스는 최근 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사에 HBM4(6세대)의 공급 협의를 모두 완료하고 내년부터 본격 판매에 돌입할 계획인 만큼 시장에선 당분간 실적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이란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돌아온 반도체 슈퍼사이클…HBM·고성능 제품 판매 증가 SK하이닉스는 29일 올 3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24조4489억원, 영업이익 11조3834억 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0-29 17:48:13 oid: 015, aid: 0005203935
기사 본문

SK하이닉스 "내년 메모리 완판" 3분기 영업익 11.4조 최대 실적 新공장 완공 앞당겨 생산 확대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발 메모리 반도체 슈퍼사이클에 힘입어 올 3분기 창사 이후 최대인 11조4000억원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29일 발표했다. 경기 이천 SK하이닉스 본사 전경. /연합뉴스 메모리 반도체 슈퍼 호황 사이클에 올라탄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거뒀다. 인공지능(AI) 서버와 AI 폰에 들어가는 최첨단 D램 및 낸드플래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내년에 생산할 물량까지 완판됐다. SK하이닉스는 “올해 3분기 매출 24조4489억원, 영업이익 11조3834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발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9.1%, 61.9% 급증했다. SK하이닉스가 1개 분기에 10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올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K하이닉스는 D램, 낸드플래시 가격 상승과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AI 서버용 고...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0-30 05:00:01 oid: 025, aid: 0003478940
기사 본문

SK하이닉스가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1조3천834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61.9%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9일 공시했다. 매출은 24조4천489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9.1% 증가했다연합뉴스 SK하이닉스가 3분기 영업이익 11조원을 넘기며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 47%로, 매출의 절반 가까이를 이익으로 남겼다. SK하이닉스가 시장을 주도하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급증한 데다, 범용 메모리 가격 상승까지 더해진 영향이다. 29일 SK하이닉스는 지난 3분기 매출 24조4489억원, 영업이익 11조3834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은 39%, 영업이익은 62% 늘었다. SK하이닉스는 “고객들의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확대로 메모리 전반의 수요가 급증하며 지난 분기에 기록한 역대 최고 실적을 다시 한번 넘어섰다”며 “특히 영업이익은 창사 이래 최초로 10조 원을 넘었다”라고 밝혔다. 삼성전자에 ...

전체 기사 읽기

서울신문 2025-10-30 05:03:32 oid: 081, aid: 0003586433
기사 본문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1.9% 증가 HBM·D램·낸드 등 수요 계속 늘어 AI 데이터센터 확장도 수요 촉진 “HBM 향후 5년 연 30% 이상 성장” 주가 장중 55.9만원 역대 최고가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 11조 4000억원 수준의 영업이익을 거두며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SK하이닉스는 인공지능(AI) 시장의 확장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뿐 아니라 D램, 낸드 등 메모리 전 제품 수요가 급증하면서 한동안 호황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SK하이닉스는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11조 3834억원(잠정)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1.9% 증가했다고 29일 공시했다. 매출은 24조 4489억원으로 39.1% 증가했으며, 순이익도 12조 5975억원으로 119% 늘었다. 직전 최고 기록이었던 지난 2분기 매출 22조 2320억원과 영업이익 9조 2129억원을 한 분기 만에 갈아치웠다. 이러한 역대급 실적의 배경에는 SK하이닉스 영업이익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HBM뿐...

전체 기사 읽기

한국일보 2025-10-30 04:30:18 oid: 469, aid: 0000894631
기사 본문

"D램·낸드 등 전 제품 고객 수요 확보" "HBM, 2027년까지 공급 부족할 것" HBM4 엔비디아 공급할 것이란 예상 29일 경기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 연합뉴스 2026년까지 전 제품 고객 수요를 모두 확보했다 김우현 SK하이닉스 최고재무책임자(CFO) 창사 이래 처음 분기 영업이익 10조 원을 돌파하며 또다시 사상 최고 실적 기록을 쓴 SK하이닉스는 이 한마디로 자신감이 넘쳐났다. 인공지능(AI) 확산으로 인해 AI 가속기에 들어가는 고부가가치 주요 제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를 비롯한 D램, 낸드 등 모든 메모리 제품이 '완판'됐다는 뜻. 업계에서는 양산 준비를 마친 차세대 HBM(HBM4)을 가장 큰 고객인 엔비디아에 납품하게 됐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2027년까지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에 대비해 공장을 조기 가동하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SK하이닉스는 29일 3분기(7~9월) 실적 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HBM 제품의 수요 대비 공급이 2027년에도 타이트...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0-30 03:07:18 oid: 020, aid: 0003670832
기사 본문

3분기 영업익 사상최대 11.4조원 AI 모델 ‘학습’서 ‘추론’으로 확장… HBM 등 메모리 반도체 수요 폭증 D램 수요 내년 20% 이상 성장 전망… “본질적으로 다른 형태 슈퍼사이클” 이달 2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27회 반도체 대전(SEDEX 2025)을 찾은 관람객이 공개된 SK하이닉스의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4 실물을 살펴보고 있다. 뉴스1 《훨훨 날아오른 SK하이닉스… 3분기 영업익 10조 첫 돌파 SK하이닉스가 올 3분기(7∼9월) 1983년 창사 이래 처음으로 분기 영업이익 10조 원을 넘어섰다. SK하이닉스는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4조4489억 원과 11조383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1%, 61.9% 늘어났다고 29일 밝혔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기준 역대 최대다. SK하이닉스의 이번 실적 호조는 글로벌 시장에서 메모리 반도체의 수요가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글로벌 빅테크들이 인공지능(AI) 투자를 늘리며...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0-30 06:03:13 oid: 022, aid: 0004078756
기사 본문

SK하이닉스 3분기 최대 실적 “이전 슈퍼사이클과 차원 달라” 2027년까지 HBM 공급 부족 향후 5년간 年 30% 성장 전망 4분기부터 HBM4 출하 계획 D램·낸드도 장기 계약 움직임 생산능력 확대·선단공정 가속화 용인 클러스터 공장 조속 추진 “급증하는 인공지능(AI) 메모리 수요로 D램과 낸드 ‘전 제품’에 대해 내년까지 고객 수요를 모두 확보했다.” SK하이닉스는 29일 자사 역대 최고 성적표인 올해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분기 영업이익 ‘10조 클럽’ 진입의 일등 공신은 고대역폭메모리(HBM)이지만, 범용 D램과 낸드 등 일반 메모리도 ‘만들면 팔리는’ 슈퍼사이클(장기호황)에 들어서면서 3분기에 예상을 넘어선 실적을 올리게 됐다는 뜻이다. 29일 경기 이천시 SK 하이닉스 본사 모습. 뉴시스 김우현 SK하이닉스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은 “AI 기술 혁신에 메모리 시장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며 전 제품 영역으로 수요가 확산되기 시작했다”며 20...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TV 2025-10-29 14:33:35 oid: 215, aid: 0001228784
기사 본문

<앵커>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 11조4천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습니다. 특히 HBM은 주요 고객사인 엔비디아에 내년 공급 협상도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APEC 참석을 위해 방한할 예정인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노키아에 10억달러를 투자하고 6G 기술 협력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 산업부 홍헌표 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SK하이닉스가 시장의 기대치에 부합하는 실적을 내놨군요? <기자> SK하이닉스는 올해 3분기 매출 24조4,489억원, 영업이익 11조3,834억원으로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2분기 영업이익 9조원을 훌쩍 뛰어넘는 11조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은 창사 이래 처음입니다. SK하이닉스는 주요 고객들의 AI 인프라 투자 확대로 메모리 전반의 수요가 급증했고, HBM3E 12단과 서버용 DDR5 등 고부가가치 제품군 판매 확대가 역대 최대 실적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습니다. AI 서버 수요가 늘면서 D램과 낸드 가격...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29 17:38:11 oid: 018, aid: 0006150407
기사 본문

HBM 4년째 완판 행진…내년 협상도 마무리 반도체 초호황기 진입…공급 부족 속 수요↑ AI 거품 우려 일축…올해 3분기 내내 D램 1위 D램, 낸드 가격도 상승…'쌍끌이 효과' 톡톡 [이데일리 조민정 박원주 기자] “당사 캐파(CAPA, 생산능력)를 감안하면 내년에는 고대역폭메모리(HBM)뿐 아니라 D램, 낸드플래시 모두 사실상 솔드아웃(완판)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SK하이닉스(000660)가 창사 이래 첫 영업이익 11조원을 돌파하며 새 역사를 썼다. 이미 선두를 쥐고 있는 HBM은 물론 D램, 낸드 등 전 제품군 가격이 상승한 영향이다. 6세대 HBM4에서도 엔비디아와 협상을 마친 SK하이닉스는 4년째 HBM 완판 행진을 이뤄냈다. ‘초호황기’에 돌입한 SK하이닉스는 AI 거품론 우려를 불식시키며 캐파 확대에 집중한다. 2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27회 반도체대전’에서 SK하이닉스 부스가 차세대 메모리 시장의 핵심으로 꼽히는 6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4)...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9 11:59:15 oid: 003, aid: 0013565621
기사 본문

AI 추론의 시대…메모리 수요처 다변화 '독불장군' HBM도 일반 메모리와 협력 "초호황 시작"…메모리 산업 기대 증폭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인준 기자 =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지만, 회사를 향한 시장의 눈높이는 더욱더 높아지고 있다. SK하이닉스는 급증하는 AI(인공지능) 메모리 수요로 HBM(고대역폭메모리)뿐 아니라 D램과 낸드 플래시 메모리 전제품의 내년 생산분이 이미 솔드 아웃(매진) 됐다고 공언했다. AI 서버는 물론 일반 서버의 주문도 쇄도하고 있다. 메모리 품귀 현상이 수요 산업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어, 가격 상승과 출하량 증가가 동시에 나타나는 초호황기가 나타날 것이란 기대치를 언급했다. SK하이닉스가 만든 HBM, 게임의 법칙 바꿔 29일 SK하이닉스는 올해 3분기 매출 24조4489억원, 영업이익 11조3834억원으로 창사 이래 최고 실적을 올렸다. AI 산업이 불러온 대 투자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HB...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