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긴급처방' 나선 李정부… 서울 전역·경기 12곳 규제

2025년 10월 1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41개
수집 시간: 2025-10-16 00:25:0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더팩트 2025-10-15 10:24:10 oid: 629, aid: 0000433995
기사 본문

주담대 LTV 40% 적용 1주택자 전세대출 DSR 적용 스트레스 금리 하한 상향 등 이재명 정부가 15일 3차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의 경우 기존 강남 등 4개구에서 전역으로 확대했다. /더팩트 DB 정부가 서울·수도권 부동산 시장에 다시 제동을 걸었다. 6·27대책과 9·7대책 발표 이후에도 집값 상승세가 멈추지 않고 있어서다. 이른바 '풍선효과'까지 나타나고 있는 만큼, 심각성을 고려한 긴급처방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15일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대출수요 관리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주택가격 수준에 따른 주담대 여신한도 차등화·스트레스 금리 하한 상향 조정·1주택자 전세대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은행권 주담대 위험가중치 조정 조기 시행·규제지역 지정 시 강화된 대출규제 즉시 적용 등이 골자다. 먼저 주담대 여신한도 차등화는 수도권·규제지역에 적용되는 주택구입목적 주담대의 대출한도(6억원)를 주택가격(시가) 수준에 따라 차등 적용하기로...

전체 기사 읽기

국민일보 2025-10-16 00:05:12 oid: 005, aid: 0001808023
기사 본문

오늘부터 대출 규제 강화 규제 지역 LTV 기존 70% → 40%로 3억 초과 보유 땐 전세대출 못 받아 스트레스 금리 하한도 2배로 높여 지난 6·27 대출 규제로 6억원으로 줄어들었던 수도권·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가 16일부터 시가 15억원 초과 주택은 4억원, 25억원 초과는 2억원으로 더 줄어든다. 1주택자의 전세자금대출도 오는 29일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대상에 포함된다. 정부가 15일 발표한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에는 각종 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내용이 촘촘히 담겼다. 공급 확대에 초점을 맞춘 9·7 대책을 내놓은 지 한 달여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집값 오름세가 멈추지 않자 더 강도 높은 수요 억제책을 내놓은 것이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시장 과열 신호가 커지고 있다. 안정시키기 위해 대출 수요 관리를 강화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핵심은 15억원을 기준으로 한 규제지역 고가주택의 주담대 한도 차등 축소다. 최근 집값 ...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0-15 10:10:07 oid: 079, aid: 0004075184
기사 본문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서울 전역 및 경기 12곳 규제지역 지정 주담대 한도 추가 강화…주택가액 따라 2억~6억 차등 1주택자 임차인 전세대출 DSR 적용 세제 개편은 추후 확정해 발표키로…사실상 '구두개입' 그쳐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 임광현 국세청장,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구 경제부총리,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이억원 금융위원장. 박종민 기자 정부가 수도권 아파트값 추가 급등을 차단하기 위해 기존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및 용산구를 포함해 서울시 25개 자치구 전체와 경기도 12개 지역(과천시, 광명시, 성남시 분당구·수정구·중원구, 수원시 영통구·장안구·팔달구, 안양시 동안구, 용인시 수지구, 의왕시, 하남시)을 조정대상지역 및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도 투기과열지구와 동일한 지역(서울 전역 및 경기도 12개 지역)에 소재한 '아파트' 및 '동일 단지 내 아파트...

전체 기사 읽기

조세일보 2025-10-15 10:02:17 oid: 123, aid: 0002369824
기사 본문

◆…금융위원회는 15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된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의 이행을 위한 '긴급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개최하며 대출수요 관리 방안과 관련된 주요 내용을 Q&A 방식으로 안내했다. 사진=연합뉴스 금융위원회는 15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된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의 이행을 위한 '긴급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개최하며 대출수요 관리 방안과 관련된 주요 내용을 Q&A 방식으로 안내했다. Q) 대출 증가속도는 상당부분 둔화되었는데 추가적인 대출 규제를 발표한 배경은? A) 6.27 대책 이후 가계부채 증가세는 상당 부분 둔화되었으나, 최근 공급 불안 심리, 주택 선매수 수요 등에 따라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폭이 확대됐다. 또한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등 부동산 상승에 대한 시장의 기대 심리도 여전하다. 신규 주택구입에 활용되는 대출수요가 여전히 존재하는 만큼, 수도권·규제지역 주담대 등에 대한 대출규제를 추가적으로 강화했다. Q) 이번 대책의 주요내용은? A) 국토부...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