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투자 '한도제한' 합의에 환율 '11원 급락'…한때 1419원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연간 조달 최대치에 부담 여전…하락폭 일부 되돌려 연합뉴스 원달러 환율이 한미 관세협상 타결 소식에 1410원대까지 급락했다. 최대 쟁점인 대미 투자 방식을 연간 최대 200억달러로 제한하면서 최악의 경우를 피했다고 해석한 것으로 보인다. 29일 원달러 환율은 한미 관세협상 세부 합의 소식이 전해진 오후 7시를 전후로 빠르게 하락하기 시작해 한때 1419.6원까지 떨어졌다. 주간거래 종가 1431.7원보다 11.2원이나 내렸고, 지난 23일 장중 1441.5원까지 치솟은 것에서 21원이나 하락했다. 이날 오후 한미 정상회담 이후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한미 관세협상 세부 합의 내용을 발표했다. 대미 투자 3500억달러 가운데 2천억달러를 현금으로 투자하되 연간 상한을 200억달러로 제안했다. 김 실장은 "연간 200억달러의 한도 내에서 사업 진척 정도에 따라 투자하기 때문에 우리 외환시장이 감내할 수 있는 범위에 있으며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
기사 본문
장중 한 때 1419원까지 하락도 뉴시스 한·미 관세협상이 타결 소식이 알려진 후 원·달러 환율이 10원 이상 급락했다. 대미 투자금 3500억 달러 중 2000억 달러를 현금으로 투자하되 연간 한도 200억 달러로 제한하기로 하면서 외환시장 부담이 줄어든 덕분이다. 2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후 8시 7분 현재 전 거래일보다 12.65원 내린 1420.05에 거래되고 있다. 장중 한 때 1419원까지 내려가기도 했다. 원·달러 환율은 국내 증시 강세에도 불구하고 한·미 관세협상 불확실성으로 지난 23일에는 장중 1440원을 넘어서는 등 불안한 흐름을 보여왔다. 외환시장이 감내할 수 있다고 평가 받는 범위에서 관세협상이 타결되면서 환율이 하락한 것으로 분석된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우리 외환시장이 감내할 수 있는 범위에 있으며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준금리 인하가 유력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정을 하루 앞두...
기사 본문
애프터마켓서 현대차·기아 주가 급등 [서울경제] 29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한미 간 관세 협상이 타결됐다는 소식에 원·달러 환율이 야간 거래에서 10원 넘게 급락(원화 가치 상승)했다. 대미 투자펀드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외환시장에 안도감이 퍼진 것이다. 2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후 7시 이후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소식이 전해지자 야간장에서 장중 한때 1419.6원까지 떨어졌다. 오후 6시 30분까지만 해도 1430원대를 오르내리던 환율은 주간 거래 종가(1431.7원)보다 12원 넘게 낮은 수준으로 내려왔다. 그동안 환율은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펀드 조성 방안을 둘러싼 불확실성 탓에 1430원을 웃도는 등 높은 수준을 유지해왔다. 김진일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시장 참가자들도 연간 200억 달러 현금 투자 수준이면 환율에 큰 부담이 없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번 환율 하락이...
기사 본문
불확실성 해소에 원화 가치 상승 ‘최고치’ 코스피도 상승 여력 커져 29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관세협상이 타결되면서 외환시장의 불안감이 해소될 전망이다. 통상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달러당 1430원대를 넘던 원 달러 환율은 이날 1420원대까지 급락했다. 사상 최고치를 연일 경신하며 4100선을 눈앞에 두고 있는 코스피지수도 상승 여력이 더 확대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주간종가 기준)은 전 거래일보다 6원 내린 1431.7원에 마감했다. 지난 4월 중순 이후 처음으로 주간거래에서 5거래일 연속 1430원을 웃도는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 상승분의 대부분이 무역협상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환율은 하향 안정될 가능성이 높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23일 통화정책방향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8월 28일 이후 한 달 사이에 환율이 35원 정도 올랐다"며 "이 가운데 달러 강세에 따른 영향은 4분의 1이고, 4분의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