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부부는 어쩌라고"…2천만 이용하는데 새벽배송 사라지나[자막뉴스]
관련 기사 목록 10개
기사 본문
맞벌이 부부와 워킹맘 등을 중심으로 시작해 이제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보편화 된 새벽배송 서비스가 사라질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민주노총 택배노조는 지난 22일 열린 '심야·휴일 배송 택배기사 과로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대화기구' 회의에서 "0시부터 5시까지 심야시간 배송을 제한하고 주간연속 2교대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개선안을 내놨습니다. 민주노총은 "택배기사의 건강권 보호를 위해 야간 근로를 중단해야 한다"며, 새벽 5시 출근조와 오후 3시 출근조로 나누는 주간 연속 근무제를 제안했습니다. 또 심야배송으로 발생하는 기사 수입 감소분은 별도 보전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회의에는 쿠팡과 컬리·CJ대한통운 등 주요 새벽배송 기업과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한국노총, 고용노동부 관계자 등이 참여했습니다. 이곳에서의 합의는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지난 2021년 '택배기사 하루 12시간 주 60시간 이내 근무' 등 합의문이 업계에 실제 반영된 전례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업계는...
기사 본문
민주노총, 심야시간 배송 제한 개선안 내놔 온라인 커뮤니티서 반발 이어져 소비자 우려에 민주노총 "전면 금지 아냐" 사진=쿠팡 "육아 시작하면서 아이 어린이집 준비물에 기저귀, 물티슈까지 새벽배송 잘 이용했는데 정말 없어지는 건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택배기사의 근로조건 개선 명분으로 '새벽배송 금지'를 주장하고 나서자 걱정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약 2000만명이 새벽배송을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생활필수 서비스'가 멈추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9일 택배업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노총은 지난 22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에서 야간배송 근절을 위해 심야시간(0~5시) 배송을 제한해야 한다는 내용의 개선안을 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사실상 새벽배송을 금지하자는 얘기다. 서울 시내의 한 주차장에 세워진 쿠팡 배송차량 모습. 사진=연합뉴스 사회적대화기구는 의견 수렴을 거쳐 이르면 연말까지 과로사 방지를 위한 최종 대책을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
기사 본문
민주노총 "0~5시 배송 금지" 제안 주부·직장인 등 소비자 반대 입장 확산 택배기사들 "일자리 사라지는 조치" 반발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데일리안 = 남가희 기자] 택배노조가 택배기사의 근로조건 개선을 명분으로 ‘새벽배송 금지’를 주장한 가운데 이에 대한 여론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약 2000만명으로 추정되는 새벽배송 이용자의 쇼핑 편의성을 소수 노조의 일방적인 주장으로 멈춰 세워선 안 된다는 비판이다. 29일 택배업계 및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노총은 지난 22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에서 야간배송 근절을 위해 심야시간(00시~05시) 배송을 제한해야 한다는 개선안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새벽배송을 원천 차단하자는 주장이다. 사회적대화기구는 의견을 수렴해 이르면 오는 연말까지 최종적으로 과로사 방지를 위한 최종 대책을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되면 내년에 새벽배송이 전면 중단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사회적 대화기구는 민주노총과 민...
기사 본문
민노총 새벽 0~5시 배송 금지 제안에 온라인 반발 확산..업계 "경영 심대한 타격" 우려 배송 경쟁력 악화·근로자 수익 저하 가능성 서울 중구의 한 주차장에 쿠팡 배달 차량이 주차돼 있다. /사진제공=뉴스1 "갑자기 새벽배송을 중단하면 '인권침해' 아닌가", "애를 어떻게 키우라는 건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지난 22일 국토교통부가 택배업계, 근로자와 만나 진행한 '범정부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근로자 휴식 보장을 위해 '새벽배송'을 전면 금지하자고 의견을 낸 사실이 알려지자 비판 여론이 들끓고 있다. 가족 식사와 아이들의 학용품 준비 등을 위해 일상화된 새벽배송 서비스를 중단하는 건 비현실적이란 이유에서다.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업계에서도 "경영에 심대한 타격이 될 수 있다"고 반발하고 나섰다. ━ "새벽 0~5시엔 배송 금지"에 소비자·업계 반발 ━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민노총은 앞서 범정부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심야시간(0시~5시) 배송을 금지하고...
기사 본문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배송기사의 근로조건 개선을 논의하는 범정부 사회적 대화기구에서 새벽배송을 금지하자는 취지의 개선안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노총이 새벽배송을 제한하자는 의견을 공식석상에서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쿠팡과 컬리 등 주요 새벽배송 업체 소비자들 규모만 2천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내년부터 새벽배송이 차단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 민주노총 “새벽배송 중단해야”…이르면 연말 결론 29일 택배업계 및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노총은 지난 22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심야·휴일 배송 택배기사 과로 문제 해결을 위한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에서 이 같은 의견을 내놓은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회의에는 신선식품 등 새벽배송을 하는 쿠팡과 컬리(컬리 넥스트마일)를 비롯, 쓱닷컴·네이버 등 새벽배송을 담당하는 CJ대한통운과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한국노총과 정부측 인사들이 참여했다. 이날 민주노총 택배노조는 야간배송 근절을 위해 심야시간(00시~05시) 배...
기사 본문
쿠팡 직원이 새벽배송인 ‘로켓프레시’ 주문상품을 포장하고 있다.[쿠팡 제공]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이 노동자의 건강권을 보장하자며 0시부터 오전 5시까지 배송 제한을 요구하자 ‘배송 속도전’을 벌여온 이커머스 업계가 난색을 보이고 있다. 정치권에서도 이 문제를 두고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29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택배노조는 지난 22일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 회의에서 “택배기사 과로 개선을 위해 0시∼오전 5시 초(超)심야 배송을 제한해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최소한으로 보장하자”고 제안했다. 지난 달 출범한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에는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을 비롯해 국토교통부, 택배 업계와 노동조합,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참여한다. 택배노조는 이날 “쿠팡과 같은 연속적인 고정 심야 노동은 생체 리듬을 파괴해 수면장애, 심혈관 질환, 암 등 심각한 건강 문제를 유발한다”며 “노조는 새벽배송 자체를 전면 금지하자는 것이 아니라 심야배송에 따...
기사 본문
[기자의눈] 한국사회의 중요한 시험대, '새벽배송' 논의에서 잊지 말아야 할 것 윤석열 전 대통령이 "일주일에 120시간이라도 바짝 일하고, 이후에 마음껏 쉴 수 있어야 한다"고 해 논란이 인 적이 있었다. 그의 말에서 120시간이라는 황당한 숫자를 빼고 보면, 자연스레 질문 하나가 떠오른다. 노동자가 원하면 60시간 노동은 허용해도 될까? 질문은 이어진다. 노동자가 최저임금 이하를 받고 일하겠다고 하면? 노동자가 발암물질을 다루며 일하겠다고 하면 허용해도 될까? 노동자가 '나 그냥 노예로 일하겠다'고 하면 그러라고 해도 될까? 인류가 오랜시간 발전시켜온 노동법은 '그러면 안 된다'고 선을 긋는다. 최저임금, 노동시간, 산업안전에 대한 법적 규제는 우선 사업주의 전횡을 겨냥한 것이지만, 노동자도 그 틀 안에서 일하게 한다. 근무환경에 최저선을 그어 모든 사람의 인간다운 삶과 안전한 노동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다. 이는 물론 물가와 같은 소비자 편익이나 '소비자는 왕'이라는 갑을관계적 ...
기사 본문
민주노총 택배노조 “심야배송 제한해야” “택배기사 과로…심각한 건강 문제 유발” “지속가능 시스템 위한 최소한의 규제” ‘배송 속도전’ 이커머스 업계는 ‘난색’ 7일 서울 시내의 한 물류 캠프에 쿠팡 배송 차량이 주차돼 있다. 2025.5.7 연합뉴스 택배노조에서 노동자 건강권 보장을 위한 ‘심야배송 제한’ 방안을 내놓자, 일각에서는 약 2000만 국민의 ‘새벽배송’ 일상이 멈출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나섰다. 29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은 지난 22일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 회의에서 “택배기사 과로 개선을 위해 0시∼오전 5시 초(超)심야 배송을 제한해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최소한으로 보장하자”라고 제안했다. 지난달 출범한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에는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을 비롯해 국토교통부, 택배 업계와 노동조합,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참여한다. 심야·새벽 배송 확대로 소비자 만족도는 커진 반면, 과로사 등 노동자 건강권 문제가 대두되면서...
기사 본문
택배노조, 사회적 대화기구서 심야시간 배송 전면 금지 제안 쿠팡·컬리 등 플랫폼 이용자 편익은 배제된 주장⋯혼란 예고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정부 주관 사회적 대화기구에서 새벽배송을 금지하자는 방안을 공식 제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새벽배송 전면 금지 주장이 공식 석상에서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쿠팡, 컬리, SSG닷컴 등 주요 새벽배송 서비스 이용자는 약 20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는데, 이 같은 의제가 논의 테이블에 오르는 것만으로도 소비자들로서는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를 전망이다. 가능성이 낮긴 하지만 이 같은 방안이 연말까지 확정될 경우 내년부터 새벽배송 중단에 따른 혼란과 불편은 극에 달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서울의 한 쿠팡 물류센터를 오가는 차량 모습. [사진=연합뉴스] 2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2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심야·휴일 배송 택배기사 과로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대화기구' 회의에서 민주노총은 심야시간(0시~5시...
기사 본문
민주노총, 근로조건 개선 명분 내세워 "0~5시 배송 금지" "새벽배송 감사해도 모자랄 판에…황당할 따름" 택배 없는 날을 하루 앞둔 13일 경기 부천시의 한 택배 물류센터에 CJ대한통운 택배 차량의 모습이 보이고 있다. 2025.8.13/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서울=뉴스1) 윤수희 기자 =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택배기사의 근로조건 개선을 명분으로 '새벽배송 금지'를 주장하고 나서자 반발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약 2000만 명으로 추정되는 새벽배송 이용자의 일상을 지탱하는 필수 인프라를 소수 노조의 일방적인 주장으로 멈춰 세워선 안 된다는 비판이 주를 이루고 있다. 29일 택배업계 및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노총은 지난 22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에서 야간배송 근절을 위해 심야시간(0시~5시) 배송을 제한해야 한다는 개선안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새벽배송을 원천 차단하자는 주장이다. 사회적대화기구는 의견을 수렴해 이르면 연말까지 최종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