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한미 관세협상 타결에 "정부에 감사…내실 다지겠다"

2025년 10월 2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7개
수집 시간: 2025-10-29 22:48:0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연합뉴스 2025-10-29 19:35:18 oid: 001, aid: 0015710242
기사 본문

현대차그룹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현대차그룹은 29일 한미 관세협상 타결로 한국 수출 자동차에 대한 자동차 관세가 2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한 것과 관련, 안도감을 표하며 향후 경쟁력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이날 "어려운 협상 과정을 거쳐 타결에 이르기까지 헌신적으로 노력한 정부에 감사드린다"며 "현대차·기아는 앞으로도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적 방안을 추진하는 동시에 품질 및 브랜드 경쟁력 강화와 기술 혁신 등으로 내실을 더욱 다지겠다"고 말했다. 김용범 정책실장은 이날 한미 정상회담 후 브리핑에서 한미 관세협상 타결 소식을 알리며 미국의 대(對)한국 자동차 품목 관세가 15%로 인하된다고 밝혔다. vivid@yna.co.kr


서울경제 2025-10-29 22:06:11 oid: 011, aid: 0004549443
기사 본문

車 관세 이르면 내달 1일 소급적용 현대차 "정부에 감사···내실 다질것" 정부 내달 법안 발의 마무리 짓기로 의약품·목재제품 최혜국 대우 유지 철강·알루미늄은 그대로 50% 적용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 힐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이 대통령 주최 정상 특별만찬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왼쪽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서울경제] 한미가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패키지에 합의한 지 100여 일 만에 세부 집행 방향까지 타결하면서 수출기업이 부담하던 대미 관세 불확실성이 상당히 걷혔다는 평가가 나온다. 대부분의 상품에 15%의 상호·품목 관세가 매겨지지만 최소한 관세 날벼락을 맞을 수 있다는 불안감은 해소됐다는 이야기다. 특히 협상이 늦어지면서 핵심 경쟁국에 비해 높은 관세를 부담하고 있던 자동차 업계는 안도감을 내비쳤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9일 경북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국제미디어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협상이 타결됨에 따라 상호관...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29 21:05:47 oid: 001, aid: 0015710529
기사 본문

현대차·기아 3분기 실적 앞두고 낭보…"관세 영향 최소화 추진" 일본·EU와 美관세율 같아져…한국GM·부품업계도 한시름 덜어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 대기 중인 자동차 [연합뉴스 자료사진] (경주=연합뉴스) 홍규빈 기자 = 한미 관세협상 세부 합의로 대미 자동차 수출 관세 인하가 재확인되면서 국내 자동차 업계는 안도하는 분위기다. 지난 4월부터 반년 넘게 이어진 25%의 고율 관세로 수익성이 악화하고 시장 경쟁력 상실까지 우려됐던 국내 업계로선 먹구름이 다소 걷혔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9일 브리핑에서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는 자동차 관세가 25%에서 15%로 인하된다고 발표했다. 김 실장은 "우리나라의 대미 최대 수출 품목인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일본, 유럽연합(EU)과 동일한 수준으로 인하해 불리하지 않은 경쟁 여건을 확보했다"면서 "자동차 부품 관세도 15%로 인하된다"고 말했다. 한국은 지난 7월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는 방안을...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0-29 21:49:10 oid: 014, aid: 0005426659
기사 본문

한숨 돌린 산업계 日과 동일 수준 경쟁여건 확보 현지 생산기반 약해 낙관 일러 한미 정상회담 개최 이후 한미 양국의 관세협상이 타결돼 자동차업계에 숨통이 트일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일본·유럽연합(EU) 경쟁국들에 비해 높은 관세와 부족한 현지 생산기반으로 인해 당장 우리 자동차업계가 상당한 수세에 몰렸지만 그나마 비슷한 조건을 갖출 수는 있게 됐다는 평가다. 그러나 자동차 업계 입장에선 없던 관세가 새로 생겼고, 아직 현지 생산기반이 경쟁사들과 비교해 부족하다는 점에서 난국을 타개하기까지 시간이 다소 소요될 것으로 지적된다. 철강업계의 경우 최대 50%의 고율 관세가 여전하고, 일부 품목 중심의 제한적 쿼터 적용과 수출 중심 구조 유지 등으로 인해 손익개선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가진 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브리핑에서 "상호관세는 15%로 인하해 지속 적용하기...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