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 이어 낸드·D램도 호황…SK하이닉스 "슈퍼 사이클 시작"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분기 영업익 첫 10조… 'AI 메모리 왕좌' 굳혀 AI발 고성능 제품 수요 폭발 "2017년 단기호황 때와 달라" HBM 글로벌 독주체제 지속 앞으로도 年 30% 성장 전망 "D램·낸드 내년 물량도 완판" 인공지능(AI)이 메모리 산업 판도를 완전히 바꾸고 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고대역폭메모리(HBM)만 잘 팔린다"는 말이 통했지만 이제는 범용 D램과 낸드플래시까지 호황의 불이 옮겨붙었다. AI 서버를 중심으로 한 고성능 컴퓨팅 수요가 폭발하면서 반도체 업계가 오랫동안 기다려온 '메모리 슈퍼 사이클'이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이 변화의 정점에는 SK하이닉스가 있다. SK하이닉스는 29일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24조4489억원, 영업이익 11조383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과 이익 모두 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다. 이익률이 높은 HBM3E 12단 제품의 출하가 실적을 견인했고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까지 빠르게 오르면서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이번 슈퍼 사...
기사 본문
인공지능(AI) 수요에 힘입어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한 SK하이닉스가 과거 반도체 슈퍼사이클(장기 호황)보다 더 큰 호황이 올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AI용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전 산업군으로 확장되면서 그 여파로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 범용 제품군까지 공급부족 상황에 처하는 전반적인 메모리 품귀현상이 2027년까지는 계속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SK하이닉스는 올해 3분기에도 글로벌 D램 시장에서 1위 자리를 유지한 가운데, 내년부터는 6세대 고대역폭메모리 HBM4 양산 체제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판매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29일 SK하이닉스는 3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이같이 밝혔다. SK하이닉스는 매출 24조4489억원, 영업이익 11조3834억원, 순이익 12조5975억원을 각각 기록했는데, 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돌파한 것은 창사 이후 처음이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올해 메모리 시장은 당초 예상과는 다르게 전 제품군에서 수요가 급격히 증가...
기사 본문
에스케이(SK)하이닉스 이천공장. 에스케이하이닉스 제공 에스케이(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에 영업이익 10조원을 돌파한 것은 인공지능(AI) 열풍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 판매 호조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더해 디(D)램과 낸드플래시 등 범용 메모리 반도체 수요까지 살아나면서 창사 이래 분기 최대 실적을 거둔 것이다. 인공지능 발달로 새로운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온 만큼, 앞으로의 실적 전망도 밝다는 관측이 나온다. 에스케이하이닉스가 29일 공시한 3분기 실적을 보면, 연결 기준으로 매출액은 24조4489억원, 영업이익은 11조383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 같은 기간과 견줘 각각 39.1%, 61.9% 늘어난 것이다. 앞서 역대 최대 실적을 냈던 직전 2분기와 견줘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9.97%, 23.55% 늘었다. 매출에서 기업의 영업에 필요한 모든 비용과 세금 등을 빼고 최종적으로 남은 순이익의 비율을 보여주는 순이익률은 52%에 달했다. 호실적...
기사 본문
3분기 매출 24조4489억·영업이익 11조3834억 원 분기 최대 영업이익 실적 영업이익 전년比 62%↑… 영업이익률 47% HBM 등 고부가제품 판매 확대 영향 6세대 HBM 등 내년 수요 확보 순항 업계 “경쟁사 시장 진입해도 영향 제한적일 것” SK하이닉스 이천 사업장(행복문) SK하이닉스가 창사 최초로 10조 원 넘는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해 실적 릴레이를 이어갔다. 고부가제품인 HBM을 앞세워 수익성을 극대화했고 내년 사업 준비까지 순항 중이다. SK하이닉스는 올해 3분기 매출 24조4489억 원, 영업이익 11조3834억 원의 경영실적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작년 3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39% 늘었고 영업이익은 62% 증가했다. 매출 증가율을 웃도는 영업이익 성장률로 수익성까지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영업이익률은 47%로 지난 2분기(41%)를 넘어섰다. D램과 낸드 가격 상승이 본격화되고 인공지능(AI) 서버용 고성능 제품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이번 실적을 주도했다는...
기사 본문
[앵커] SK하이닉스가 이번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썼습니다. 올 3분기 영업이익은 11조원을 넘겼고 매출도 24조원을 돌파했는데요. SK하이닉스의 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보도에 김준하 기자입니다. [기자] SK하이닉스의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11조3천억원을 넘어서며 1년 전보다 무려 62% 증가했습니다. 매출은 24조원을 넘기며 39% 늘었습니다. 이로써 SK하이닉스는 직전 최고 기록이었던 지난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갈아치우고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다시 썼습니다.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호실적을 쓴 건데, 특히 영업이익은 창사 이래 처음으로 10조원을 넘어섰습니다. 이번 실적 역시 고대역폭 메모리, HBM이 이끌었습니다. 전체 D램 출하량에서 HBM이 차지하는 비중은 20%대지만, 영업이익은 절반 넘게 발생시킨 것으로 분석됩니다. SK하이닉스는 고객들의 AI 인프라 투자 확대로 메모리 전반의 수요가 급증했다며, HBM3E ...
기사 본문
HBM 넘어 D램·낸드까지 내년 솔드아웃 SK하이닉스가 지난 3분기 영업이익이 11조 383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전년 동기(7조299억원) 대비 61.9% 증가한 수치로 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같은 기간 매출은 24조4489억원으로 39.1% 증가했고, 순이익은 12조5975억원으로 119% 증가했다. 그래픽은 SK하이닉스 실적 추이. /그래픽=강지호 기자 SK하이닉스가 사상 처음으로 분기 영업이익 10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다시 썼다. 인공지능(AI) 확산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와 고용량 DDR5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데다 범용 D램 가격 회복이 맞물리면서 실적 상승세가 가속화된 결과다. 회사는 대규모 생산능력(CAPEX) 증설을 통해 'AI 메모리 초호황'에 선제 대응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겠다는 전략이다. SK하이닉스는 29일 올해 3분기(7~9월)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1조38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9% 증...
기사 본문
SK하이닉스 경기 이천 본사 전경/사진 제공=SK하이닉스 글로벌 경기 둔화와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등 대외 경제 불확실성 확대 속에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성적표를 거뒀다. 영업이익은 창사 이래 최대치를 기록해 분기 영업이익 '11조 클럽'에 가입했다. 이번 호실적은 인공지능(AI)시장 개화로 반도체 업황이 살아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메모리 시장에선 최근 범용 D램과 낸드 제품의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는 등 '슈퍼 사이클'에 진입했다는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또한 SK하이닉스는 최근 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사에 HBM4(6세대)의 공급 협의를 모두 완료하고 내년부터 본격 판매에 돌입할 계획인 만큼 시장에선 당분간 실적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이란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돌아온 반도체 슈퍼사이클…HBM·고성능 제품 판매 증가 SK하이닉스는 29일 올 3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24조4489억원, 영업이익 11조3834억 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
기사 본문
SK하이닉스 "내년 메모리 완판" 3분기 영업익 11.4조 최대 실적 新공장 완공 앞당겨 생산 확대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발 메모리 반도체 슈퍼사이클에 힘입어 올 3분기 창사 이후 최대인 11조4000억원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29일 발표했다. 경기 이천 SK하이닉스 본사 전경. 연합뉴스 메모리 반도체 슈퍼 호황 사이클에 올라탄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거뒀다. 인공지능(AI) 서버와 AI 폰에 들어가는 최첨단 D램 및 낸드플래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내년에 생산할 물량까지 완판됐다. SK하이닉스는 “올해 3분기 매출 24조4489억원, 영업이익 11조3834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발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9.1%, 61.9% 급증했다. SK하이닉스가 1개 분기에 10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올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K하이닉스는 D램, 낸드플래시 가격 상승과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AI 서버용 고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