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조 "0∼5시 심야 배송 제한해야"…이커머스 업계는 난색

2025년 10월 2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2개
수집 시간: 2025-10-29 19:35:2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연합뉴스 2025-10-29 14:57:02 oid: 001, aid: 0015709138
기사 본문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이 노동자의 건강권을 보장하자며 0시부터 오전 5시까지 배송 제한을 요구하자 '배송 속도전'을 벌여온 이커머스 업계가 난색을 보인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29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택배노조는 지난 22일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 회의에서 "택배기사 과로 개선을 위해 0시∼오전 5시 초(超)심야 배송을 제한해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최소한으로 보장하자"고 제안했다. 지난달 출범한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에는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을 비롯해 국토교통부, 택배 업계와 노동조합,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참여한다. 택배노조는 회의 내용이 일부 언론을 통해 공개되자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쿠팡과 같은 연속적인 고정 심야 노동은 생체 리듬을 파괴해 수면장애, 심혈관 질환, 암 등 심각한 건강 문제를 유발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노조는 새벽배송 자체를 전면 금지하자는 것이 아니라 심야배송에 따른 노동자의 과로 등 건강장애를 예방하...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0-29 17:32:15 oid: 119, aid: 0003018283
기사 본문

민주노총 "0~5시 배송 금지" 제안 주부·직장인 등 소비자 반대 입장 확산 택배기사들 "일자리 사라지는 조치" 반발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데일리안 = 남가희 기자] 택배노조가 택배기사의 근로조건 개선을 명분으로 ‘새벽배송 금지’를 주장한 가운데 이에 대한 여론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약 2000만명으로 추정되는 새벽배송 이용자의 쇼핑 편의성을 소수 노조의 일방적인 주장으로 멈춰 세워선 안 된다는 비판이다. 29일 택배업계 및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노총은 지난 22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에서 야간배송 근절을 위해 심야시간(00시~05시) 배송을 제한해야 한다는 개선안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새벽배송을 원천 차단하자는 주장이다. 사회적대화기구는 의견을 수렴해 이르면 오는 연말까지 최종적으로 과로사 방지를 위한 최종 대책을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되면 내년에 새벽배송이 전면 중단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사회적 대화기구는 민주노총과 민...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29 18:01:09 oid: 016, aid: 0002549523
기사 본문

쿠팡 직원이 새벽배송인 ‘로켓프레시’ 주문상품을 포장하고 있다.[쿠팡 제공]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이 노동자의 건강권을 보장하자며 0시부터 오전 5시까지 배송 제한을 요구하자 ‘배송 속도전’을 벌여온 이커머스 업계가 난색을 보이고 있다. 정치권에서도 이 문제를 두고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29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택배노조는 지난 22일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 회의에서 “택배기사 과로 개선을 위해 0시∼오전 5시 초(超)심야 배송을 제한해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최소한으로 보장하자”고 제안했다. 지난 달 출범한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에는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을 비롯해 국토교통부, 택배 업계와 노동조합,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참여한다. 택배노조는 이날 “쿠팡과 같은 연속적인 고정 심야 노동은 생체 리듬을 파괴해 수면장애, 심혈관 질환, 암 등 심각한 건강 문제를 유발한다”며 “노조는 새벽배송 자체를 전면 금지하자는 것이 아니라 심야배송에 따...

전체 기사 읽기

프레시안 2025-10-29 18:00:07 oid: 002, aid: 0002412142
기사 본문

[기자의눈] 한국사회의 중요한 시험대, '새벽배송' 논의에서 잊지 말아야 할 것 윤석열 전 대통령이 "일주일에 120시간이라도 바짝 일하고, 이후에 마음껏 쉴 수 있어야 한다"고 해 논란이 인 적이 있었다. 그의 말에서 120시간이라는 황당한 숫자를 빼고 보면, 자연스레 질문 하나가 떠오른다. 노동자가 원하면 60시간 노동은 허용해도 될까? 질문은 이어진다. 노동자가 최저임금 이하를 받고 일하겠다고 하면? 노동자가 발암물질을 다루며 일하겠다고 하면 허용해도 될까? 노동자가 '나 그냥 노예로 일하겠다'고 하면 그러라고 해도 될까? 인류가 오랜시간 발전시켜온 노동법은 '그러면 안 된다'고 선을 긋는다. 최저임금, 노동시간, 산업안전에 대한 법적 규제는 우선 사업주의 전횡을 겨냥한 것이지만, 노동자도 그 틀 안에서 일하게 한다. 근무환경에 최저선을 그어 모든 사람의 인간다운 삶과 안전한 노동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다. 이는 물론 물가와 같은 소비자 편익이나 '소비자는 왕'이라는 갑을관계적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