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보이스피싱으로 의심되는 계좌 정보 등을 모든 금융사가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플랫폼이 구축됐습니다. 금융보안원은 오늘(29일) '보이스피싱 정보공유, 분석 AI 플랫폼' 에이샙(ASAP)를 출범했습니다. 에이샙은 지금까지 각 금융사가 따로 관리하던 보이스피싱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합니다. 보이스피싱 피해자의 계좌 관련 정보, 보이스피싱에 이용됐거나 이용된 거로 의심되는 계좌 관련 정보, 보이스피싱에 활용된 거로 확인된 해외계좌 정보 등 90개 항목입니다. 에이샙에는 각 시증은행과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약 130곳이 정보를 공유하고, 앞으로 통신사와 수사기관도 참여하도록 확대할 방침입니다. 지금까지는 보이스피싱 조직이 여러 금융사에 계좌를 개설하면, 개별 금융사 직원이 다른 금융사에 전화나 팩스로 정보를 보내는 식을 산발적으로 대응해 왔습니다. 금융보안원은 에이샙에 축적된 정보를 인공지능이 학습하도록 해, 사전에 보이스피싱 위험을 감지하는 탐지 모델도 만들 방침입니다. ■ 제보하기...
기사 본문
전 은행권 90개 항목의 보이스피싱 관련 정보 실시간 공유·활용…AI가 위험계좌 자동 탐지 국제 사기조직·해외 의심계좌 등 신속차단, AI기반 신종범죄 대응 강화 기대 정보제공 범위 확대·무과실 배상책임 도입 등 위한 법령개정 신속 추진 캄보디아 사건 계기로 ‘국제 사기행각’ 전면 대응…정부-금융권-통신사 삼각 공조 강화 정부 “ASAP으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내겠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29일 금융보안원에서 개최된 '보이스피싱 정보공유·분석 AI 플랫폼(AI-based anti-phishing Sharing & Analysis Platform, ASAP(에이샙), 국민의 보이스피싱 피해를 '신속히' 차단한다는 의미)' 출범식에 참석했다. 사진=연합뉴스 보이스피싱 대응의 패러다임이 완전히 바뀐다. 국내 약 130개 전(全) 금융회사가 참여하는 실시간 정보공유·분석 AI 플랫폼 'ASAP'을 활용해 피해자 계좌·범죄 연계계좌·해외 피싱계좌 정보를 즉시 공유·차단한다. 과거 은...
기사 본문
'꼬리 잡혀도 언제든 재생' 의미 피해예방·범죄억제 동시 대응을 보이스피싱이 단순한 '전화사기'를 넘어서는 동안 연간 피해액은 1조원을 향해 치닫고 있다. 캄보디아 등 해외에 근거지를 둔 조직이 콜센터·자금세탁·송금망을 연계·통합해 사실상 '그림자 금융 생태계'를 구축하면서다. 당국이 본격적인 수사에 나섰지만, 해외 거점의 재편·확산 속도와 규모는 정부 대응을 앞지른다. 29일 본지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박정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경찰청으로부터 확보한 '최근 5년 보이스피싱 사건 신고 현황'에 따르면, 올해 1~9월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9867억원으로 이미 지난해 전체 피해액(8545억원)을 넘어섰다. 2021년(7744억원)과 비교할 경우 약 27% 증가한 규모다. 특히 발생 건수는 줄었는데 피해액은 늘었다는 점이 뚜렷하다. 올해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는 1만8746건으로 4년 전(3만982건)보다 줄었다. 따라서 단순 계산하면 건당 평균 피해액은 올해 약 5264만원으...
기사 본문
피싱 범죄정보 실시간으로 분석 [서울경제] 금융계의 반발에도 정부가 연내 보이스피싱 무과실 배상책임 도입을 법제화한다. 금융위원회는 29일 금융사의 과실이 없어도 보이스피싱 피해액 일부를 배상하도록 하는 무과실 배상책임 법제화(통신사기피해환급법 개정) 작업을 연내 마무리한다고 밝혔다. 금융위 관계자는 “은행에 합리적인 면책 규정과 권한을 부여할 것”이라며 “충분한 소통 중”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은행권은 반발하고 있다. 과도한 책임 전가이자 민법상 과실책임주의 원칙에 반한다는 것이다. 금융 당국은 이날 보이스피싱 범죄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분석하는 인공지능(AI) 기반의 플랫폼 ‘ASAP’도 구축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경기 용인시 금융보안원에서 ASAP 출범식을 열고 “ASAP가 금융·통신·수사정보를 포괄해 보이스피싱 범죄를 적기에 탐지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