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쏘시오홀딩스, 3분기 영업익 47.7%↑…바이오·헬스케어 동반 성장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동아쏘시오홀딩스가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3826억원, 영업이익 333억원을 기록하며 실적 성장을 이어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2%, 47.7% 증가한 수준으로, 헬스케어(동아제약), 바이오(CMO) 부문 실적이 성장에 핵심 역할을 했다. . 3분기 매출 확대는 동아제약의 OTC(일반의약품) 사업 성장과 '박카스' 실적 호조, 에스티젠바이오의 바이오시밀러 상업화 물량 확대가 맞물린 결과다. 물류 자회사 용마로지스 또한 신규 화주 확보와 명절 특수를 반영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했다. 주력 자회사 동아제약은 3분기 매출 20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8.9% 늘어난 285억원을 기록했다. OTC 사업 부문 매출이 575억원으로 28.4% 늘었고 간판 브랜드인 박카스 역시 11.7% 증가한 867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생활건강(리빙·헬스케어 제품) 부문은 소비 둔화 영향으로 6.1% 감소했다. 바이오 CMO 계열사 에스티젠바이오도 실...
기사 본문
3분기 누적 영업이익 35% 성장 818억원 동아쏘시오홀딩스 사옥 전경. 사진=동아쏘시오홀딩스 동아쏘시오홀딩스가 창립 이래 처음으로 3분기 만에 누적 매출 1조원을 달성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는 3분기 누적 매출액이 전년 동기(9863억원) 대비 7.3% 증가한 1조579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2023년 연간 매출 1조원을 처음으로 넘긴 후 2년도 지나지 않아 3분기 누적 1조원을 달성한 것이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604억원) 대비 35.4% 증가한 818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1분기부터 꾸준히 개선된 실적 흐름은 3분기에도 이어졌다.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전년 동기(3569억원) 대비 7.2% 증가한 3826억원을 올렸다. 영업이익은 333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 225억원보다 47.7% 늘었다. 특히 주요 자회사들의 고른 성장이 이번 호실적을 이끌었다. 동아제약, 에스티젠바이오, 용마로지스 등 핵심 계열사들이 각각 헬스케어, 바이오, 물류 부문에서 성과를 냈다. 동...
기사 본문
에스티팜 3분기 매출 32.7% 증가한 819억원 동아쏘시오홀딩스 [동아쏘시오홀딩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최현석 기자 =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연결 기준 3분기 매출이 주요 사업회사의 매출 성장으로 작년 동기 대비 7.2% 증가한 3천826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동아제약, 에스티젠바이오를 비롯한 연결 자회사들의 이익 증가로 작년 동기 대비 47.7% 증가한 333억원이었다. 1~3분기 누적 매출은 7.3% 증가한 1조579억원, 영업이익은 35.4% 증가한 818억원으로 집계됐다. 헬스케어 전문회사인 동아제약은 박카스와 일반의약품 사업 부문 성장 주도로 매출이 11.5% 늘어난 2천1억원이었다.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 및 판관비 효율적 집행으로 28.9% 증가한 285억원이었다. 바이오의약품 CMO(위탁생산) 전문회사인 에스티젠바이오는 신규 수주 및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상업화 물량에 따라 매출이 87.7% 급증한 315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
기사 본문
신사업 에스티팜·에스티젠바이오도 두 자릿수 성장 동아쏘시오그룹 상장사 동아쏘시오홀딩스, 동아에스티, 에스티팜 3사가 모두 3분기 호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동아에스티는 전문의약품 주요 및 신규 의약품의 강한 성장세에 힘입어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기록했으며 에스티팜은 올리고 신약 CDMO 프로젝트 확대로 매출이 큰 폭으로 성장했다. 동아에스티, 그로트로핀·모티리톤 이어 자큐보 효과까지 29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동아에스티는 3분기 별도기준 1984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전년 동기 대비 10.5% 증가, 역대 최대 분기 매출 기록을 세웠다. 대표 품목인 그로트로핀(성장호르몬제, 6.6%) 모티리톤(소화불량 치료제, 4.5%)의 견조한 성장에 더해, 신규 품목 자큐보(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2014%)가 143억원 매출을 기록하며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동아에스티와 제일약품은 자큐보를 공동판매하고 있다. 영업이익은 연구개발(R&D) 비용의 조기 집행으로 인한 기저효과로 전년 대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