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하면 '한우'… 한국의 맛을 빛낸 비결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30년 이어온 연구개발 성과 한우 유전체 유전능력 예측 기술. 농진청 제공 '한우'가 전세계 K-푸드 식탁의 메인요리로 자리잡고 있다. 농촌진흥청이 199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축적된 데이터를 종합 분석한 결과, 한우는 유전능력 개량과 정밀 사양기술 발전을 통해 생체중이 31.4% 증가하고, 근내지방도(마블링)가 33% 향상되는 등 맛·식감·색감이 균일해지고 품질 수준이 한층 정교해졌다. 6개월령 체중은 144.7㎏에서 157.7㎏으로, 생체중은 575.5㎏에서 756.3㎏으로 증가(31.4%)했으며, 근내지방도(마블링)는 3.62에서 5.10으로 개선됐다. 이는 성장 단계별 영양 관리와 사양기술의 정밀화가 품질 고급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국립축산과학원이 한우 품질 혁신을 이끌기 위해 △유전능력 개량 △맞춤형 사양기술 고도화 △체계적 품질관리 등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추진해 온 결과다. ◇유전능력 혁신… 과학 기반 개량 체...
기사 본문
유전능력 개량과 정밀 사양관리로 고급육 생산 체계 완성 지속 가능한 축산 기술로 한우 산업의 미래 설계 농진청 "현장 밀착형 실용 연구 지속 추진" 한우 암소 유전체 유전능력 예측 서비스 체계도. 농촌진흥청 제공 축산과학 기술과 축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한우 품질이 꾸준히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한우가 케이(K)-푸드 발전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은 199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축적된 데이터를 종합 분석한 결과 한우의 성장 성적과 육질이 전반적으로 크게 향상됐다고 29일 밝혔다. 6개월령 체중은 144.7kg에서 157.7kg으로, 생체중은 575.5kg에서 756.3kg으로 31.4% 증가했으며 근내지방도(마블링)는 3.62에서 5.10으로 개선됐다. 특히 16개월령 이후 근내지방이 빠르게 형성돼 30개월령에 최고치를 보였다. 이는 성장 단계별 영양 관리와 사양기술의 정밀화가 품질 고급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국립축산과학원은 한우 품질 혁신을 이끌기 위...
기사 본문
농진청 "한우의 성장 성적·육질 전반적 향상" 마블링, 1990년대→2020년대 33%↑ 한우의 마블링과 성장속도, 육질이 지난 30년간 비약적인 발전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소비자 선호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근내지방도, 즉 마블링이 30% 이상 늘었다. 농촌진흥청은 199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축적된 데이터를 종합 분석한 결과, 한우의 성장 성적과 육질이 전반적으로 크게 향상됐다고 29일 밝혔다. 우선 6개월령 체중은 144.7㎏에서 157.7㎏으로, 도축 전 한우가 살아있을 때의 전체 무게인 생체중은 575.5㎏에서 756.3㎏으로 31.4% 증가했다. 특히 근내지방도(마블링)는 3.62에서 5.10으로 개선됐다. 마블링은 16개월령 이후 근내지방이 빠르게 형성돼 30개월령에 최고치를 보였다. 김진형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부장은 "한우의 품질의 비약적인 향상은 성장 단계별 영양 관리와 사양기술의 정밀화가 품질 고급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농진청이 한우 품질 혁신...
기사 본문
1990년~2020년대 한우 데이터 종합 분석 생체중 31.4%·마블링 33% 향상…품질 수준↑ "품질 고급화 전략…고급육 생산·유통 체계 확립"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사진은 지난 5월 29일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센터의 한우 200여 마리가 초지에서 풀을 뜯고 있는 모습. (사진= 농촌진흥청 제공) 2025.05.2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박광온 기자 = 농촌진흥청은 199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축적된 데이터를 종합 분석해 한우의 성장 성적과 육질이 전반적으로 크게 향상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농진청은 이날 '한우는 어떻게 K-브랜드가 됐나'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내어 "지난 30년 동안 한우는 유전능력 개량과 정밀 사양기술 발전을 통해 맛·식감·색감이 균일해지고 품질 수준이 한층 정교해졌다"고 전했다. 농진청에 따르면, 한우 산업이 고급육 중심 체계로 전환된 것은 1990년대 중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