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젠 일상인데…"새벽배송 금지하라" 도 넘은 민주노총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여당 '택배 대화기구'서 주장 "소비자 편익 침해" 비판 고조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쿠팡 등 국내 e커머스 업체가 주문 다음 날 새벽까지 상품을 가져다주는 ‘새벽 배송’ 서비스를 전면 금지하자는 주장을 내놨다. 심야 근로를 없애 택배기사의 과로를 막자는 취지인데, 새벽 배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2000만 명의 소비자 편익은 외면한 채 집단 이익에만 몰두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28일 정부와 유통업계에 따르면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는 지난 22일 열린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택배기사 과로 개선 방안을 내놨다. 0시부터 오전 5시까지 심야 배송을 금지하고, 오전 5시 출근과 오후 3시 출근 두 개조에 주간 배송만 맡기는 것이 골자다. 더불어민주당과 국토교통부, 민주노총, 쿠팡, 컬리, CJ대한통운 등 주요 택배사가 참여한 대화 기구는 추가 논의를 거쳐 이르면 연말 합의안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2021년 발족한 대화 기구에서 택배 분류 ...
기사 본문
[연합뉴스 자료사진]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이 노동자의 건강권을 보장하자며 0시부터 오전 5시까지 배송 제한을 요구하자 '배송 속도전'을 벌여온 이커머스 업계가 난색을 보이고 있습니다. 29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택배노조는 지난 22일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 회의에서 "택배기사 과로 개선을 위해 0시∼오전 5시 초(超)심야 배송을 제한해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최소한으로 보장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지난달 출범한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에는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을 비롯해 국토교통부, 택배 업계와 노동조합,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참여합니다. 택배노조는 회의 내용이 일부 언론을 통해 공개되자 보도자료를 통해 "쿠팡과 같은 연속적인 고정 심야 노동은 생체 리듬을 파괴해 수면장애, 심혈관 질환, 암 등 심각한 건강 문제를 유발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노조는 새벽배송 자체를 전면 금지하자는 것이 아니라 심야배송에 따른 노동자의 과로 등 건강장애를 예방하고, 지속 가능한 배송...
기사 본문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이른바 '새벽배송'을 금지하자고 제안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택배노조는 지난 22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에서 근로자의 휴식을 보장하기 위해 새벽 0시부터 5시까지 배송을 제한하자는 의견을 냈습니다. 현재 오전 7시까지 소비자들에 배송되는 신선식품이나 생필품은 0시~5시에 일하는 택배기사들이 배송하는데, 이를 원천 차단하고 오전과 오후에 배송하는 주간배송직만 남기자는 겁니다. 업계에서는 새벽배송이 이미 일상화된 서비스라며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쿠팡과 컬리 등 주요 새벽배송 업체 소비자들 규모는 2천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맞벌이 부부와 자영업자, 도서산간지역 주민들의 불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대한상공회의소 조사에서도 소비자의 84%가 새벽배송이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또한, 새벽배송 기사는 교통 혼잡이 적고 수입이 많다는 이유로 야간근무를 선호한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한국노총 측은 현실적으로 ...
기사 본문
민주노총, 근로조건 개선 명분 내세워 "0~5시 배송 금지" "새벽배송 감사해도 모자랄 판에…황당할 따름" 택배 없는 날을 하루 앞둔 13일 경기 부천시의 한 택배 물류센터에 CJ대한통운 택배 차량의 모습이 보이고 있다. 2025.8.13/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서울=뉴스1) 윤수희 기자 =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택배기사의 근로조건 개선을 명분으로 '새벽배송 금지'를 주장하고 나서자 반발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약 2000만 명으로 추정되는 새벽배송 이용자의 일상을 지탱하는 필수 인프라를 소수 노조의 일방적인 주장으로 멈춰 세워선 안 된다는 비판이 주를 이루고 있다. 29일 택배업계 및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노총은 지난 22일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에서 야간배송 근절을 위해 심야시간(0시~5시) 배송을 제한해야 한다는 개선안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새벽배송을 원천 차단하자는 주장이다. 사회적대화기구는 의견을 수렴해 이르면 연말까지 최종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