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주식 리딩방, 투자자 모아 주가 급등하면 매도 후 잠적"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전액 손실 보장한다는 명목으로 추가 금전 편취 시도" (금감원 제공) (서울=뉴스1) 손엄지 기자 = 투자자 A씨는 '고수익 보장'의 미국 주식을 추천한다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게시글을 보고 B씨가 운영하는 비공개 채팅방에 참여했다. 채팅방에서 B씨는 A씨에게 미국 주식 종목과 매매시점을 알려줬고, 실제 약 10%의 수익을 실현하자 B씨를 신뢰하게 됐다. 이후 B씨는 미국 'M사' 주식 투자를 권유했고, A씨는 이전처럼 주식을 매수했다. 그러나 M사 주식은 85% 폭락했다. B씨는 전액 손실을 보장한다는 명목으로 변호사 수임 착수금 등을 요구하며 추가 금전 편취를 시도했다. (금감원 제공) 금융감독원은 29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투자자를 유인한 후 해외주식 투자를 권유하는 불법 리딩방 피해 사례를 알리고 투자자 주의를 당부했다. 이들은 미국 주식 매매를 권유하고 초반 1~4회의 실전매매로 소액의 투자성공 경험을 제공하면서 신뢰 관례를 형성한 뒤 투자자의 대량 매수로 주...
기사 본문
# 김모 씨는 어느 날 외국인 여성에게 메시지 한 통을 받았다. 자신을 금융권 종사자로 소개한 외국인 여성이 미공개 정보를 알려주겠다며 투자를 권유한 것. 이후 친구 사이로 발전해 계속 대화를 이어가던 김씨는 홍콩 증시에 상장된 B종목을 사면 큰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에 속아, 해당 종목을 수천만원어치 매수했다. 며칠 뒤 주가는 90%정도 폭락하고, 여친도 자취를 감췄다. 즉 ‘로맨스 스캠’ 방식으로 피해를 입은 것이다. #이모 씨는 ‘고수익 보장’의 미국 주식을 추천한다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게시글을 보고 비공개 채팅방에 참여했다. 채팅방에서 C씨는 이씨에게 미국 주식 종목과 매매시점을 알려주며 투자를 권유했다. 실제 초반 약 10%의 수익을 실현하게 되자 이씨는 C씨를 신뢰하게 됐다. 이후 지난달 C씨가 또 미국 ‘M사’ 주식의 투자를 권유했고, 이씨는 해당 주식을 매수했다. 하지만 10월초 ‘M사’ 주가 폭락(△85%)으로 큰 손실이 발생했다. 이후에도 C씨는 전액 손실을...
기사 본문
[앵커] 불법 주식리딩방은 흔히 국내 소형주에 투자자들을 끌어모아 단기 시세를 높이고 주범들은 차익을 챙긴 뒤 주가가 급락하는 형태의 수법을 씁니다. 그런데 이 수법에 미국 주식까지 동원한 사례가 나왔습니다. 이민후 기자, 국내외 할 것 없이 시장이 호황이라 범죄도 넓어지는 모습이네요. 구체적인 수법 어땠습니까? [기자] 주식투자에 관심이 있는 A 씨를 포함한 투자자들은 주식투자 정보 등을 받기 위해 텔레그램 연결 링크에 접속했습니다. 링크를 통해 입장한 비공개 채팅방에서는 실시간으로 거짓된 수익인증 캡처가 공유되고 있었는데요. 자신을 주식투자 전문가로 소개한 한 인물이 미국 거래소에 상장된 특정 주식을 추천하면서 특정일에 특정 가격에 매수하라고 권유했습니다. 이들은 투자금액별 교육반, 이른바 '불법리딩방'을 운영하며 더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다며 리딩방으로 유도했습니다. A 씨를 비롯한 투자자들은 이들이 추천한 특정 배터리 모듈 종목을 투자금액의 최대치까지 매수하고 보유했습니다....
기사 본문
금융감독원. 경향신문 자료사진 지난 8월 A씨는 높은 수익이 보장되는 미국 주식을 추천한다는 SNS 게시글을 보고 한 비공개 채팅방에 들어갔다. 이곳에서 자신을 ‘주식투자 전문가’라고 소개한 B씨는 특정 미국 주식 종목의 매수 가격과 시점을 알려주며 투자를 권유했다. B씨의 말대로 투자한 A씨는 10%의 수익을 냈다. 채팅방에 공유되는 투자 정보를 믿게 된 A씨는 9월에도 B씨가 추천한 미국 주식 종목을 사들였다. 지난 7월 4달러 수준이던 이 종목의 주가는 10월1일 20달러까지 치솟았으나, 다음 날인 2일 하루 만에 3달러로 85% 폭락했다. B씨는 “대주주가 불법으로 보유 주식을 대량 매도했다”며 “회사와 협의해 전액 보상받기로 했다”고 투자자들을 안심시켰으나 이내 연락을 끊고 잠적했다. 알고 보니 B씨는 ‘불법 리딩방’을 운영한 사기범이었다. 금융감독원은 29일 “최근 해외 주식 투자 열기를 이용한 불법 리딩 사기가 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며 소비자 경보를 발령했다. 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