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일수록 정년퇴직자 재고용 활발…중소기업은 “임금 깎지 않고 다시 쓴다”

2025년 10월 2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1개
수집 시간: 2025-10-29 15:47:30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헤럴드경제 2025-10-29 06:36:11 oid: 016, aid: 0002548916
기사 본문

노동연 “1000인 이상 기업 84% 재고용”…중소기업은 기존 임금 유지·인상 비율 높아 “숙련·태도 인정” vs “인건비 절감” — 재고용 이유도 기업 규모 따라 엇갈려 챗GPT를 활용해 제작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기업 규모가 클수록 정년퇴직자를 다시 채용하는 ‘재고용 제도’를 운영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다만 재고용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임금 수준은 대기업일수록 크게 낮아지는 반면, 중소기업은 기존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주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29일 한국노동연구원이 발표한 ‘2024년 계속고용 실태조사: 정년 후 재고용 제도를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근로자 100명 이상 제조업체 614곳 중 64%(393곳)가 정년퇴직자를 재고용하고 있었다. 특히 1000명 이상 대기업의 재고용 비율은 83.9%로, 100~299명 이하 중소기업(64%)보다 크게 높았다. 조사 대상이 제조업체인 만큼 생산직 재고용률은 매우 높았다. 생산기능직의 경우 재고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29 15:00:00 oid: 008, aid: 0005270119
기사 본문

29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세대공존 일자리 토론회: 정년연장과 청년의 미래'에서 (왼쪽부터)변재현 미래생각 일자리센터장, 송시영 새로고침노동자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권순원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 이동근 경총 상근부회장, 김대일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김건 신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공동의장, 이운찬 시국에행동하는대학연합 조직강화본부장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 경총 제공 중장년층 고용을 유지하면서도 청년층 일자리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은 '퇴직 후 재고용'이라는 제언이 나왔다. 급속한 고령화와 정년연장 논의가 맞물린 상황에서 세대 간 고용 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대일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29일 서울 중국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한국경영자총협회 주최로 열린 '세대공존 일자리 토론회: 정년연장과 청년의 미래'에서 "입법을 통한 강제 적용 방식이 아니라 자발적인 노사 합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재고용 우수 기업에 대한 법인...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0-29 15:00:18 oid: 014, aid: 0005426401
기사 본문

"정년 60세 의무화 있어...'퇴직 후 재고용'이 대안" 청년단체 "일률적 연장, 세대 갈등 심화...공정성 확보 우선" 이동근 경총 상근부회장이 29일 서울 종로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세대공존 일자리 토론회: 정년연장과 청년의 미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경총 제공 [파이낸셜뉴스] 획일적인 정년연장이 아닌, 퇴직 후 재고용 문화 정착으로 재고용 우수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부여를 비롯해 재고용 근로자 4대보험 감면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29일 서울 종로구 프레스센터에서 '세대공존 일자리 토론회: 정년연장과 청년의 미래'를 개최하고 △정년 60세 의무화 부작용 △퇴직 후 재고용 방안 △노동시장 공정성 확보 방안 등을 논의했다. 정년연장 문제는 단순히 고령층의 소득 공백 해소를 넘어, 청년층의 신규 채용 기회 감소와 세대 갈등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퇴직 후 재고용이 대안"...'정년 60세 의무화' 부작용 지적 이날...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29 15:00:01 oid: 001, aid: 0015709178
기사 본문

경총 '세대공존 일자리 토론회'…"입법보다 노사합의 우선해야" 민주당 정년연장 TF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최근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정년 연장과 관련,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함께 고려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9일 오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세대공존 일자리 토론회: 정년연장과 청년의 미래'를 열었다. 이동근 경총 상근부회장은 개회사에서 "정년 연장은 일할 기회의 배분, 보상의 공정성 등 세대 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다"며 "고령자의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는 동시에 청년이 일할 기회를 늘리는 균형 잡힌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대일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년 연장과 세대 간 갈등을 주제로 한 주제 발표에서 중장년층의 고용을 유지하면서도 청년층 일자리 잠식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으로 퇴직 후 재고용을 제안했다. 김 교수는 "2013년 입법된 정년 60세 의무화는 일자리 규모 확...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