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HBM' 덕에 또 날았다…분기 영업이익 첫 10조원 돌파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허인회 기자 underdog@sisajournal.com] 3분기 영업이익 11.4조원…순이익률 52% 달해 없어서 못 판다…HBM 등 내년도 제품 이미 완판 지난 10월2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반도체대전(SEDEX) 2025’에 마련된 SK하이닉스 부스에 6세대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4 실물이 전시돼있다. ⓒ연합뉴스 SK하이닉스가 3분기 영업이익 10조원을 돌파하며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내년도 생산 제품까지 이미 수요를 확보해 내년까지도 호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SK하이닉스는 29일 올 3분기 매출 24조4489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9.1%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7조299억원)보다 61.9% 증가한 11조3384억원을 기록했다. 순이익은 12조5975억원(순이익률 52%)으로 119% 증가했다. 이로써 SK하이닉스는 직전 최고 기록이었던 지난 2분기 매출 22조2320억원과 영업이익 9조2129억원을 ...
기사 본문
HBM 넘어 D램·낸드까지 내년 솔드아웃 SK하이닉스가 지난 3분기 영업이익이 11조 383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전년 동기(7조299억원) 대비 61.9% 증가한 수치로 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같은 기간 매출은 24조4489억원으로 39.1% 증가했고, 순이익은 12조5975억원으로 119% 증가했다. 그래픽은 SK하이닉스 실적 추이. /그래픽=강지호 기자 SK하이닉스가 사상 처음으로 분기 영업이익 10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다시 썼다. 인공지능(AI) 확산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와 고용량 DDR5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데다 범용 D램 가격 회복이 맞물리면서 실적 상승세가 가속화된 결과다. 회사는 대규모 생산능력(CAPEX) 증설을 통해 'AI 메모리 초호황'에 선제 대응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겠다는 전략이다. SK하이닉스는 29일 올해 3분기(7~9월)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1조38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9% 증...
기사 본문
3분기 영업익 11.4조 '사상 최대'…내년 HBM·D램·낸드 완판 AI 시장구조 변화…D램·낸드 장기계약 원하는 고객사 확대 SK하이닉스(000660)는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1조 3833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29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7조 299억 원)보다 61.9% 증가한 수치로 분기 영업이익이 10조 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같은 기간 매출은 24조4489억 원으로 39.1% 증가했고, 순이익은 12조 5975억 원으로 119% 증가했다.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서울=뉴스1) 박주평 기자 = SK하이닉스(000660)가 3분기에 사상 첫 10조 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하면서 메모리 슈퍼사이클(초호황)의 시작을 알렸다. 특히 인공지능(AI) 호황 중심에 선 고대역폭메모리(HBM)뿐 아니라 일반 D램과 낸드 내년 물량도 사실상 '솔드아웃'(매진) 되는 등 과거와 달리 슈퍼사이클이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슈퍼사이클 진입…HBM, D램, 낸드까지 내년 ...
기사 본문
3분기 경영실적 매출 24조4489억 원 영업익 11조3834억, 순익 12조5975억 HBM 고성능 서버용 제품 판매 늘어 SK하이닉스 분기 영업이익이 처음으로 10조 원을 돌파했다. 고대역폭 메모리(HBM) 판매 호조 영향이다. SK하이닉스 최근 실적 추이 SK하이닉스가 29일 실적발표회를 열어 올해 3분기 매출액 24조4489억 원, 영업이익 11조3834억 원(영업이익률 47%), 순이익 12조5975억 원(순이익률 52%)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D램과 낸드 가격 상승이 본격화되고 AI 서버용 고성능 제품 출하량이 증가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SK하이닉스는 “고객들의 AI 인프라 투자 확대로 메모리 전반의 수요가 급증했다”며 “HBM3E 12단과 서버향 DDR5 등 고부가가치 제품군 판매 확대로 지난 분기에 기록한 역대 최고 실적을 다시 한번 넘어섰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는 이어 “특히 AI 서버향 수요가 늘며 128GB 이상 고용량 DDR5 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