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추천' 스레드글 혹했다가 85% 증발…불법리딩 사기 주의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SNS 정보글 미끼로 유인·소형주 매수 유도…주가 오르면 매도 후 잠적 불법 리딩 피해 사례 [금융감독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임지우 기자 =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고수익 해외주식 종목을 알려주겠다며 투자자들을 유인한 뒤 불법 리딩으로 금전 손실을 입히는 사례가 발생해 금융감독원이 주의를 당부했다. 금감원은 29일 해외주식 투자 권유 불법 리딩방 피해와 관련해 소비자경보 주의를 발령하고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피해자들은 스레드, 인스타그램 등 SNS에서 고수익 해외주식 종목을 추천해준다는 게시글에 함께 적힌 텔레그램 연결 링크로 불법 리딩방에 입장하는 경우가 많았다. 불법 업자들은 리딩방에 입장한 투자자들에게 초반에는 소액으로 투자 성공을 경험하게 해 신뢰를 얻은 뒤 점점 투자금액을 높이도록 유도했다. 이후 자신들이 추천한 종목을 피해자들이 대량 매수해 주가가 급등하면 보유한 주식을 매도해 수익을 본 뒤 잠적하는 식으로 금전 손실...
기사 본문
뉴스1 제공 [파이낸셜뉴스] #. 지난 8월 투자자 A씨는 '고수익 보장'의 미국 주식을 추천한다는 SNS 게시글을 보고 B씨가 운영하는 비공개 채팅방에 참여했다. 채팅방에서 B씨는 A씨에게 미국 주식 종목과 매매 시점을 알려주며 투자를 권했고, 실제로 10%의 수익을 얻자 A씨는 B씨를 신뢰하게 됐다. 뒤이어 지난달 B씨가 미국 'M사' 주식 투자를 권유하자 A씨는 이전처럼 B씨 지시대로 해당 주식을 사들였다. 하지만 이달 초 M사 주식이 85%가량 폭락하자 B씨는 '전액 손실 보상'을 명목으로 변호사 수임 착수금 등을 요구하며 추가 금전 편취를 시도했다. 금융감독원은 불법업자들이 SNS로 투자자들을 유인해 해외주식 투자를 권유하는 불법 리딩방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며 소비자경보를 발령했다. 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불법 리딩에 이용되는 해외주식은 나스닥 등 해외거래소에 신규 상장돼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고 유통주식 수나 거래량이 적어 소액으로도 주가 상승이 가능한 소형주다. 불법...
기사 본문
금감원, 29일 SNS 해외주식 투자권유 투자 주의 요구 불법업자들 SNS 투자권유한 뒤 거액투자 유인해 잠적 금감원 "불법업자에 당하면 피해구제 어려워..주의할 것" 최근 텔레그램·스레드·인스타그램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이용해 해외주식 투자 권유를 하는 불법 리딩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불법 리딩업자들은 소액으로 주가상승이 쉬운 소형 해외종목 투자를 권유한 뒤 초기에는 일부 수익률을 거둘 수 있게 하고, 나중에 더 많은 투자를 하도록 유인하는 수법을 사용했다. 이후 불법업자들은 해당 종목 주가가 대량매수로 급등하면, 매도해 얻은 차익을 가지고 잠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후 손실을 보상한다는 명목으로 변호사 착수금 등을 요구하며 추가 금전 편취도 시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금융감독당국은 해외주식은 정보도 제한적이고 SNS·채팅방·이메일 등으로 투자권유를 하는 것은 무조건 의심해야 한다며 투자자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근 해외주식 투자 열기...
기사 본문
금융감독원은 오늘(29일) 최근 불법업자들이 SNS로 투자자들을 유인한 후 해외주식 투자를 권유하는 불법 리딩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며 소비자경보 '주의'를 발령했습니다. 불법업자들 수법을 살펴보면 우선 스레드(Threads) 등 SNS에서 '고수익 미국 주식 투자 전략' 등의 정보글과 동영상으로 투자자들을 텔레그램 등 비공개 채팅방으로 유인합니다. 특정일 특정가격으로 미국 주식 매매를 권유하고 초반 한 두 차례 실전 매매로 소액 투자 성공 경험을 제공하며 신뢰를 쌓습니다. 또 고액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투자금액별 교육반을 따로 운영하고 '금액이 높은 상위반에 참여하면 더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다'고 했습니다. 이후 현혹된 투자자들이 대량 매수에 나서 주가가 급등하면 이들은 그동안 보유했던 주식을 매도하고 잠적하는 행태를 보입니다. 게다가 제3자로 위장하며 피해금을 회복하기 위한 법적 비용 명목으로 금전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어 2차 피해도 우려됩니다. 나스닥 등 해외거래소에 새로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