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증권, ‘국내 주식형’ 펀드 등 3종 추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카카오페이증권이 국내 주식시장 투자 수요 확대에 맞춰 펀드 3종을 새롭게 추가한다. 카카오페이증권은 ‘iM에셋 타이거 포커스 증권투자신탁(사모투자재간접형)’을 비롯해 ‘KCGI코리아 증권투자신탁1호[주식]’, ‘미래에셋장기성장포커스 증권투자신탁1호[주식]’ 등의 펀드 판매를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이에 따라 카카오페이증권이 중개 판매하는 펀드는 총 31종으로 늘어나게 됐다. 이번 신규 편입은 국내 주식형 액티브 펀드에 대한 투자자 관심이 높아진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그동안 해외 투자 중심이던 상품 라인업에 ‘국내 주식형’ 펀드 등을 추가해 개인 투자자의 성향과 투자 목적에 맞춘 선택 폭을 넓혔다. 핵심 상품인 ‘iM에셋 타이거 포커스’는 타이거자산운용의 사모펀드에 간접 투자하는 구조다. 3억 원 이상이 필요한 사모펀드를 공모펀드 형태로 소액 투자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산업이나 섹터에 제한을 두지 않고 유연하게 종목을 선별해 집중 투자하며 기회가 있다...
기사 본문
29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상승 출발해 4050대로 올라서며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연합뉴스 지난 3분기에 국내 증시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주식형 펀드(공모·사모) 순자산총액이 190조9천억원을 기록해 부동산 펀드 규모를 6년 만에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금융투자협회가 내놓은 ‘2025년 3분기 펀드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 9월 말 기준 전체 펀드(공·사모)의 순자산총액은 1308조9천억원으로 지난 6월 말(1235조7천억원) 대비 73조2천억원 증가했다. 순자산총액은 펀드의 현재 시장가치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증가액은 주식형 27조7천억원, 채권형 16조2천억원, 재간접형 8조7천억원 등이다. 특히 지난 3분기에 코스피 상승세가 이어져 주식형 펀드 순자산총액이 190조9천억원을 기록해, 부동산 펀드 규모(190조1천억원)를 2019년 이후 처음으로 웃돌았다. 주식형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총액은 지난 6월 말 9...
기사 본문
사모투자재간접형 펀드 고액자산가 전용 상품에 소액 접근 가능 KCGI·미래에셋 등 액티브 펀드 포함 카카오페이증권이 국내 주식시장 투자 수요 확대에 맞춰 펀드 3종을 새롭게 추가한다. 고액 자산가 중심의 사모펀드 전략을 일반 투자자도 소액으로 경험할 수 있는 상품이 포함돼 한층 다각화된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 카카오페이증권은 29일부터 'iM에셋 타이거 포커스 증권투자신탁(사모투자재간접형)'을 비롯해 'KCGI코리아 증권투자신탁1호[주식]', '미래에셋장기성장포커스 증권투자신탁1호[주식]' 등의 펀드 판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카카오페이증권이 중개 판매하는 펀드는 총 31종으로 늘어나게 됐다. 이번 신규 편입은 국내 주식형 액티브 펀드에 대한 투자자 관심이 높아진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그동안 해외 투자 중심이던 상품 라인업에 '국내 주식형' 펀드 등을 추가해 개인 투자자의 성향과 투자 목적에 맞춘 선택 폭을 넓혔다. 핵심 상품인 'iM에셋 타이거 포커스'는 타이거자산운용...
기사 본문
금투협, 국내 주식형 펀드 110조원 돌파 해외 주식형 펀드는 101조원으로 집계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금융투자협회는 해외 주식형 펀드가 100조원을 돌파했다고 29일 밝혔다. 국내 주식형 펀드 규모도 110조 원을 넘어서면서 국내외 주식형 펀드 모두 100조원 시대에 진입하게 됐다. 금투협에 따르면 지난 24일 기준 국내 주식형펀드는 110조원, 해외 주식형펀드는 101조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 대비 각각 64%, 63% 증가한 셈이다. 금투협은 “사모펀드 중심인 부동산 펀드와 달리 주식형 펀드의 경우 일반 국민이 투자하는 공모펀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우리나라 국민 투자성향이 ‘국내 주식시장 등 생산적 분야로 투자 전환’ 및 ‘글로벌 분산투자로 확대’되는 지표로 평가된다”고 전했다. 이창화 금융투자협회 자산운용·부동산 본부장은 “국내 주식형 펀드가 100조원을 넘어선 것은 우리 펀드시장 및 주식시장의 질적·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약 430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