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삼성행복대상’ 수상자 발표…‘N번방 수사’ 조승노 경감 등 8인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연구·창의부문 정영선 조경가 통합·포용부문 임정택 향기내는 사람들 대표 [헤럴드경제=박지영 기자] 삼성생명공익재단이 ‘2025 삼성행복대상’ 수상자로 ‘텔레그램 N번방’ 성착취 사건 수사를 이끈 조승노 경감을 비롯한 8명을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삼성행복대상은 올해부터 시상 부문을 개편해 ‘국민의 더 큰 행복’을 위한 연구와 창작, 안전한 사회, 통합과 포용의 문화 확산에 기여한 인물을 선정한다. 기존 여성 및 효행 중심의 시상에서 한 단계 확장된 개념으로, 각 부문별 첫 번째 수상자를 배출했다. 올해 수상자는 ▷연구·창의 부문 정영선(84) 조경가 ▷사회·안전 부문 조승노(52) 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 팀장(경감) ▷통합·포용 부문 임정택(41) 향기내는 사람들 대표 ▷청소년 부문 정연성(24), 길현(20), 이현서(19), 박찬우(18), 배경인(17) 등 총 8명이다. 부문별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상금 각 5000만원(청소년 부문은 각 1000만원)이 수여된다. 시상식은...
기사 본문
2025 삼성행복대상 수상자 (사진=삼성생명공익재단 제공) 삼성생명공익재단이 오늘(29일) '2025 삼성행복대상'의 수상자 4명을 선정·발표했습니다. 재단은 올해부터는 기존 효행·여성 중심의 시상 체계를 사회의 변화와 시대적 요구에 맞춰 ▲연구·창의 ▲사회·안전 ▲통합·포용 ▲청소년 등 네 개 부문으로 전면 개편했습니다. 연구·창의 부문은 조경설계 서안의 정영선 대표가 수상했습니다. 정 수상자는 한국 최초의 여성 조경 국토개발기술사로, 선유도공원과 올림픽공원, 경춘선숲길 등 국민의 쉼과 치유를 위한 공간을 설계해왔습니다. 한국 조경의 철학과 과정을 체계화하고 학문적 기반을 마련했으며, 지난해 조경 분야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제프리 젤리코상’을 한국인 최초로 수상했습니다. 사회·안전 부문에서는 서울특별시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 조승노 팀장이 선정됐습니다. 조 수상자는 26년간 강력·국제·사이버범죄 현장에서 활약하며, 특히 텔레그램 ‘N번방’ 사건 수사 당시 국제 공조를 주도했습니다. ...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삼성생명공익재단은 29일 '2025 삼성행복대상 수상자'를 선정해 발표했다. (사진=삼성생명공익재단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인준 기자 = 삼성생명공익재단이 29일 한국 조경의 학술적 기반을 마련하고 국민에게 쉼의 공간을 선사한 정영선(84) 조경가를 '2025 삼성행복대상' 연구·창의 부문 수상자로 선정했다. 또 사회·안전 부문 수상자는 디지털 성착취 조직을 일망타진하고 관련 법과 제도 개선에 기여한 조승노(52) 서울특별시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 팀장이 이름을 올렸다. 통합·포용 부문 수상자는 장애인의 자립을 돕는 맞춤형·포용적 일자리 모델을 창출한 임정택(41) 향기내는 사람들 대표로 정해졌다. 청소년 부문 수상자는 역경 속에서도 자신의 꿈과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하는 모범 청소년 정연성(24·대구교대 4), 길현(20·순천향대 2), 이현서(19·경남대 1), 박찬우(18·신정고 3), 배경인(1...
기사 본문
2025 삼성행복대상 수상자들. 삼성생명공익재단 제공 삼성생명공익재단은 국내 1세대 조경가 정영선 서안 대표(84) 등 8명을 2025 삼성행복대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수상자로는 연구·창의 부문에 정 대표, 사회·안전 부문에 조승노 서울특별시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 팀장(경감·52), 통합·포용 부문에 임정택 향기내는사람들 대표(41)가 선정됐다. 역경 속에서도 꿈과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모범 청소년에게 주어지는 청소년 부문 수상자는 대구교대 정연성(24)·순천향대 길현(20)·경남대 이현서씨(19), 신정고 박찬우군(18), 효암고 배경인양(17) 등 5명이다. 정 대표는 한국 조경의 학술적 기반을 마련하고 국민에게 쉼의 공간을 선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재단은 “한국 최초의 여성 조경 국토개발기술사로 반세기 동안 조경을 예술적 창조의 영역으로까지 확장했다”고 전했다. 자연 생태 복원과 도시 재생을 동시에 구현한 선유도공원, 올림픽공원, 경춘선숲길 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