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 효과에 SK하이닉스 3분기 영업익 11.4조…사상 최대 실적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SK하이닉스 경기 이천 본사 전경/사진 제공=SK하이닉스 글로벌 경기 둔화와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등 대외 경제 불확실성 확대 속에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성적표를 거뒀다. 영업이익은 창사 이래 최대치를 기록해 분기 영업이익 '11조 클럽'에 가입했다. 이번 호실적은 인공지능(AI)시장 개화로 반도체 업황이 살아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메모리 시장에선 최근 범용 D램과 낸드 제품의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는 등 '슈퍼 사이클'에 진입했다는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또한 SK하이닉스는 최근 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사에 HBM4(6세대)의 공급 협의를 모두 완료하고 내년부터 본격 판매에 돌입할 계획인 만큼 시장에선 당분간 실적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이란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돌아온 반도체 슈퍼사이클…HBM·고성능 제품 판매 증가 SK하이닉스는 29일 올 3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24조4489억원, 영업이익 11조3834억 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
기사 본문
2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반도체대전(SEDEX) 2025'에 마련된 SK하이닉스 부스에 6세대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4 실물이 전시돼있다. 연합뉴스 SK하이닉스가 3분기 영업이익 11조원을 넘으며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 급증과, 범용 메모리 가격·수요 증가가 실적을 견인했다. 29일 SK하이닉스는 지난 3분기 매출 24조4489억원에 영업이익 11조383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은 39%, 영업이익은 62% 늘었다. SK하이닉스는 “고객들의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확대로 메모리 전반의 수요가 급증하며 지난 분기에 기록한 역대 최고 실적을 다시 한번 넘어섰다”라며 “특히 영업이익은 창사 이래 최초로 10조 원을 넘었다”고 밝혔다. 국내 기업 중 ‘10조 클럽’에 입성은 삼성전자에 이어 SK하이닉스가 2번째다. ━ 영업이익률 47%...매출 절반 이익 남겨 이같은 호실적은 우선 HBM에서 시장 선...
기사 본문
(종합)내년 HBM·D램·낸드 전 제품 완판..."메모리 시장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 모습. /사진=뉴시스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HBM(고대역폭메모리) 뿐만 아니라 일반 D램과 낸드(NAND) 수요 증가가 실적을 끌어올렸다. 내년 물량도 이미 '완판'된 상태로 AI(인공지능) 수요로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구조가 바뀌고 있다는 분석이다. SK하이닉스는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1.9% 증가한 11조383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매출은 24조4489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39.1%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12조5975억원을 기록했다. D램과 낸드 가격 상승이 본격화되고 AI 서버용 고성능 제품 출하량이 증가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창사 이래 최초로 10조원을 넘어섰다. 분기 매출도 사상 최대다. 영업이익률은 47%에 이른다. HBM뿐만 아니라 고성능 ...
기사 본문
4분기부터 HBM4 공급 시작 D램, 낸드 전 제품 내년까지 수요 확보 3분기 영업이익률 47%달성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반도체대전(SEDEX) 2025'에 마련된 SK하이닉스 부스에 6세대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4 실물이 전시돼있다. 연합뉴스 SK하이닉스가 3분기 영업이익 11조원을 달성하며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의 벽을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 급증과, 범용 메모리 가격·수요 증가가 실적 상승을 이끌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3분기 매출 24조4489억원에 영업이익 11조3834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해 3분기 대비 매출은 39%, 영업이익은 62% 늘었다. 영업이익률은 47%에 달한다. SK하이닉스의 전체 D램 매출에서 HBM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45%다. '꿈의 영업이익률' 47%…반도체 전 제품 내년 수요 확보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반도체대전(SEDEX) 2025'에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