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 美 생산법인 자산, 8년 새 7배 '폭증'…中→美 '대이동'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해외 생산법인 자산, 2016년 209조원→2024년 491조원 미국 비중 10%→32%…SK 증가액 삼성 제쳐 10대그룹 국가별 해외 생산법인 자산규모 변화.(CEO스코거 제공) (서울=뉴스1) 원태성 기자 = 국내 10대 그룹의 글로벌 생산기지 중심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출범한 2017년 이후 중국·베트남 등지에서 미국으로 급격히 쏠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10대 그룹의 미국 내 생산법인 자산은 미국의 자국우선주의, 보호무역주의 심화로 8년 새 7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반면 값싼 인건비를 강점으로 그동안 국내 기업의 글로벌 생산기지 역할을 해왔던 중국과 베트남 등은 미국에 밀려 증가 폭이 급격히 둔화됐다. 2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트럼프 1기 미 행정부 출범 직전인 2016년 말 대비 2024년 말의 국내 10대 그룹 해외 생산법인 자산 규모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 기업의 해외 생산법인 자산 규모는 2016년 말 209조 1608억원에서 202...
기사 본문
[조주연 디지털팀 기자 shscja123@naver.com] 중국 2위·베트남 3위…美 자산규모는 삼성·SK·LG·현대차 순 CEO스코어 "트럼프 1기 이후 투자유치정책 영향" 10대 그룹 해외 생산법인 자산 규모 ⓒCEO스코어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처음 출범한 2016년 이후 8년간 국내 10대 그룹의 글로벌 생산기지가 중국에서 미국으로 쏠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트럼프 1기 행정부 출범 직전인 2016년 말 대비 2024년 말 국내 10대 그룹 해외 생산법인 자산 규모를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해외 생산법인 자산 규모는 209조1608억원에서 490조7083억원으로 8년 만에 281조5475억원(134.6%) 급증했다. 특히 미국이 중국, 베트남 등을 제치고 국내 기업의 최대 생산기지로 급부상했다. 2017년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강도 높은 투자유치 기조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국내 10대 그룹의 미국 내 생산법인 자산은...
기사 본문
美 생산법인 자산 8년 만에 7배 증가 中 2위로…강도 높은 대미 투자 기조 [이데일리 조민정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처음 출범한 이후 8년간 국내 10대 그룹의 글로벌 생산기지 중심이 중국에서 미국으로 급격히 쏠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CEO스코어) 2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트럼프 1기 행정부 출범 직전인 2016년 말 대비 2024년 말 국내 10대 그룹 해외 생산법인 자산 규모를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해외 생산법인 자산 규모는 209조1608억원에서 490조7083억원으로 8년 만에 281조5475억원(134.6%) 급증했다. 특히 미국이 중국, 베트남 등을 제치고 국내 기업의 최대 생산기지로 급부상했다. 2017년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강도 높은 투자유치 기조로 인해 국내 주요 기업들이 대미 생산라인 투자를 대폭 확대한 영향이다. 국내 10대 그룹의 미국 내 생산법인 자산은 2016년 말 21조6957억원에서 2024년 말 157조...
기사 본문
삼성·SK·LG·현대 4대 그룹이 95% 차지 10대그룹 국가별 해외 생산법인 자산규모 변화 [그래프 CEO스코어 제공]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8년간 한국 10대 그룹의 글로벌 생산거점이 중국에서 미국으로 급격히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트럼프 1기 행정부 출범 직전인 2016년 말 대비 2024년 말 국내 10대 그룹 해외 생산법인 자산 규모를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해외 생산법인 자산 규모는 209조1608억원에서 490조783억원으로 8년 만에 281조5475억원(134.6%) 급증했다. 특히 2017년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강도높은 투자유치 기조로 인해 미국이 중국, 베트남 등을 제치고 국내 기업의 최대 생산기지로 급부상했다. 국내 10대 그룹의 미국 내 생산법인 자산은 2016년 말 21조6957억원에서 2024년 말 157조7263억원으로 136조306억원(627%) 폭증했다. 같은 기간 중국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