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런 발생할 수도"…스테이블코인, 한은 경고 봤더니[친절한 경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앵커> 화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뱅크런보다 빠른 코인런', 뱅크런 비슷한 예금자 돈을 은행에 못 돌려주는 그런 건가 보죠? <기자> 한국은행이 스테이블코인에서는 은행보다 훨씬 빠른 자금 인출 사태, 이른바 '코인런'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스테이블코인의 주요 이슈와 대응 방안'이라는 141쪽짜리 보고서를 내고 원화 스테이블코인 논의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중앙은행 관점의 7가지 위험 요인을 정리했습니다. 요즘 스테이블코인 얘기 하도 많이 나와서 이제는 다들 익숙하시죠. 스테이블코인은 말 그대로 '가격이 안정된 가상화폐'입니다. 달러나 원화 같은 자산에 가치를 묶어두기 때문에 1코인이 항상 같은 값으로 유지되도록 설계됐습니다. 그런데 이 약속이 깨지면 즉, '디페깅(Depegging)', 고정된 가치가 무너지는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때 이용자들이 한꺼번에 돈을 빼려 들면 '코인런', 즉 대규모 환매 사태로 이어질 수 ...
기사 본문
엔화 스테이블코인 'JPYC' 당국 승인 후 공식 출시 "미국 주도 달러 스테이블코인 확산 경계감이 배경" "원화 스테이블코인, 아시아 경쟁서 뒤처질 수도"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2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엔화를 정리하고 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타격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에 엔화가 새로운 투자처로 각광받으며 달러 당 엔화 가치는 140엔 선까지 내려가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2025.04.22. hwang@newsis.com [서울=뉴시스]이지영 기자 = 국내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논의가 제자리 걸음인 가운데 일본에서 '엔화 스테이블코인'이 당국 승인을 받고 공식 출시됐다. 주요 선진국 중 현금 사용률이 가장 높은 나라인 일본에서 디지털 금융 시대를 먼저 열었다는 점에서 업계 관심이 쏠린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엔화와 가치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JPYC'가 지난 27일(현지시간) 일본 금융 당국 심사를 통과해 정...
기사 본문
노진영 한국은행 통화정책국 정책제도 팀장 한국은행이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통화정책 훼손 가능성을 강조하며 은행권 중심의 발행 모델을 제시한 가운데, 해당 접근 방식에 대한 반론이 제기됐다. 외국환관리법·고객확인제도(KYC)·자금세탁방지(AML) 등 기존 규제 논리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담보 자산 가치 실시간 연동을 위한 기술 인프라, 감시 체계까지 포함한 종합적인 설계가 우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노진영 한국은행 통화정책국 정책제도팀장은 27일 서울 을지타워에서 열린 '제7차 싱귤래리티 금융 소사이어티(SFS)' 포럼에서 '금융통화시스템의 변화와 중앙은행의 과제'를 주제로 스테이블코인을 핵심 위험으로 제시했다. 그는 “토큰화 흐름이 가속화되면서 가시화된 핵심 위험은 스테이블코인”이라며 “통화성을 지닌 스테이블코인이 M2(광의통화)에 편입돼 통화량을 일대일로 증대시키고, 준비자산이 예금·국채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은행 유동성 지표가 약화하고 대출이 위축, 이중통화(two-tier) 체...
기사 본문
금융위 '인가제' vs 한은 '은행 중심' 뚜렷한 시각차에 정부안 더 늦어져 금융위원회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규제안을 조만간 확정하고 연내 국회에 제출할 방침이다.ⓒ데일리안 AI 이미지 삽화. [데일리안 = 정지수 기자] 원화 스테이블코인 규율 체계 정부안이 연내 국회에 제출될 예정인 가운데, 규제안의 세부 내용을 두고 금융당국과 한국은행 등 관계부처의 논의가 심화되고 있다. 국회에 발의된 법안과의 통합 논의 과정 등도 남아있다 보니, 실제 입법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규제안을 조만간 확정하고 연내 국회에 제출할 방침이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지난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스테이블코인 정부안은 관계 부처와 막바지 조율 단계에 있으며, 올해 안으로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정부안은 국회 정무위원회 여당 간사인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최종 논의를 거쳐 의원 입법 형태로 발의될 예정이다. 현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