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월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 10년 이래 최고

2025년 10월 2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5개
수집 시간: 2025-10-29 07:15:5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YTN 2025-10-28 09:25:19 oid: 052, aid: 0002265263
기사 본문

대출 규제 영향 등으로 전세의 월세화가 빨라지는 가운데 수도권 아파트 월세 가격 상승률이 통계작성 이후 10년 이래 최고로 올랐습니다.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KB국민은행 월간 시계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 1∼9월 기준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은 6.27%로 집계됐습니다. 서울이 7.25% 올라 가장 높았고, 경기 5.23%, 인천은 7.8%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수도권 월세가격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는 소폭 등락하다, 임대차 3법이 시행된 이후 오르기 시작해 2020년 1% 상승했고, 2021~2024년 4~5%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같은 기간 아파트 전세 가격 상승률은 서울 2.08%, 경기 0.99%, 인천 0.39%로 월세 상승률에 비해 눈에 띄게 낮았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서울경제 2025-10-29 07:01:20 oid: 011, aid: 0004548954
기사 본문

이달 말까지 7.15%···수도권 5.9% 10·15 대책에 급등세 지속될 듯 서울 반전세 3개월새 16%→20% 경기 토허구역도 11%→13.5%로 금리인하 역행···전월세전환율 상승 갭투자 막겠다더니 실수요자만 피해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한강변 아파트 단지 모습 . 연합뉴스 [서울경제] 올해 아파트 월세 상승률이 2016년 통계 작성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세의 월세화 속도가 빨라진 데다 강화된 대출 규제로 전세금을 마련하기 힘들어 반전세를 선택하는 임차인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28일 KB부동산 월간 시계열자료를 집계한 결과 올 들어 이달 27일까지 서울 아파트 월세 상승률은 7.15%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5년 12월 이후 가장 가파르게 올랐다. 경기는 5.07%, 인천은 5.96% 상승했다. 수도권 전체의 경우 5.95% 뛰었다. 서울의 월세 상승률은 2019년 마이너스를 나타낸 뒤 임대차 3법이 시행된 2020년 1.65%, 2021년...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9 06:00:00 oid: 003, aid: 0013564651
기사 본문

전젯값 급등·대출 규제 강화…임차인 '울며 겨자 멱기' 월세 전세 일부 월세·보증부 월세 전환…임차인, 주거비 부담 가중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6·27 대출 규제 이후 전세 수요가 보증부월세(반전세)나 월세로 이동하면서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이 조사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난 28일 서울 시내의 한 부동산에 월세 물건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5.10.28. xconfind@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전세 물건 자체가 없다 보니 월세로 쏠리는 추세예요." 지난 28일 서울 동작구 흑석동 대장아파트로 불리는 아크로리버하임 단지 내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갭투자가 사실상 막히면서 전세 물건 자체가 줄어든 데다, 기존 전세 계약을 연장하는 임차인들이 많아졌다"며 "전세 물건이 없다 보니 임차인 대부분이 월세로 거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주택임대차시장의 불안이 갈수록 고조되고 있다. 전셋값이 치솟는 ...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0-29 06:03:25 oid: 022, aid: 0004078418
기사 본문

가격전망지수 4년 만에 최고치 수도권 오름세에 지수 ‘부채질’ 월세상승률 10년 만에 가장 높아 전세의 월세화 가속… 서울 64% “대출 묶여 전월세값 더 ↑” 전망 최후 카드 보유세 인상 여부 주목 국조실장 “모든 가능성 열어놔”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정부가 잇달아 고강도 대책을 내놨지만 각종 지표는 줄줄이 악화하고 있다. 집값 상승 기대감은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수도권 월세 상승률도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 20일 서울 시내 한 공인중개사 앞에 매물 전단이 붙어 있다. 이제원 선임기자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전월보다 10포인트 올랐다. 문재인정부 시절 집값이 급등했던 2021년 10월(125)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다. 상승 폭도 2022년 4월(10포인트) 이후 가장 컸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집값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다. 지수가 100보다 크면 주택가격이 지금...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