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GDP 1.2% 성장…민간소비 3년 만에 최고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3분기 실질 GDP 1.2% 성장 달성 정부는 “성장세가 확대되고 있다”며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9%에서 1%대로 상향 조정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지난 3분기 소비쿠폰 효과에 따른 내수 회복과 반도체 중심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예상(1.1%)을 웃도는 1.2% 성장률을 기록하면서다. 한국은행은 28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서 지난 3분기 GDP가 전기 대비 1.2% 성장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분기(1.2%) 이후 1년 6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이에 따라 올해 1% 성장률 달성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4분기에 전기 대비 성장률이 -0.1∼0.3% 정도 나오면 연간 1%(0.95∼1.04%) 성장률 달성이 가능하다”면서 “기존 전망대로 4분기에 0.2% 성장하면 연간 성장률은 1%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한은은 지난 8월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가 0.9%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기사 본문
한은 전망치 상회… 18개월새 최고 “4분기-0.1%넘으면 올1%대 가능” 28일 서울의 한 편의점에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결제가 가능함을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이날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7∼9월) 한국 경제가 1.2% 성장하는데 소비쿠폰이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뉴시스 민생회복 소비 쿠폰 효과와 반도체 경기 호조에 올해 3분기(7∼9월) 한국 경제가 1.2% 성장하며 예상치를 상회했다. 정부는 올해 연간 성장률 1%를 달성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이 전 분기 대비 1.2%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지난해 1분기(1.2%) 이후 1년 6개월 만에 최고치다. 한은이 올해 8월 경제 전망 당시 내놨던 예상치(1.1%)를 0.1%포인트 웃돌았다. 3분기 GDP 상승을 이끈 동력은 9조 원가량 풀린 1차 소비쿠폰으로 분석됐다. 소비쿠폰 효과로 민간 소비가 전 분기 대비 1.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기사 본문
3분기 GDP 1.2% 성장…1년6개월 만에 최고 민간소비 3년만에 최대 증가…반도체 수출 호조 부동산 불안·경기 회복세에 연내 금리인하 기대감은 후퇴 서울시내 한 점포에 민생지원 소비쿠폰 결제 가능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뉴시스 올해 3분기 한국경제가 전기 대비 1.2% 성장했다. 소비쿠폰 효과로 민간소비가 3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고, 반도체·자동차 수출도 견조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3분기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실질 GDP는 전분기 대비 1.2% 증가했다. 지난해 1분기(1.2%) 이후 1년 6개월 만의 최고 성장률이다. 3분기 성장률이 한국은행 전망치(1.1%)를 웃돌면서 연간 1%대 성장률 달성엔 청신호가 켜졌다. 4분기 성장률이 -0.1%보다 높게 나오면 연간 1% 성장이 가능하다. 한은 전망치(0.2%)보다 낮아도 1% 달성이 가능한 셈이다. 다만 경기 회복세가 뚜렷해지면서 연내 금리인하 기대감은 옅어졌다. 부동산 과열 우려가 여전한 상...
기사 본문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기자설명회 내수가 성장주도…"하반기도 흐름 이어갈 듯" 연 1% 성장하려면…"美관세·소비쿠폰·건설투자가 변수" 한국은행은 올해 3분기 경제성장률에 대해 민간소비 등 내수가 성장을 주도했다고 평가했다. 4분기에도 이같은 흐름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올해 연간 기준 1% 성장률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산술적으로 4분기 최소 -0.1%의 성장을 해야 한다고 봤다. 이동원 한국은행 경제통계2국장이 2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기자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은 제공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28일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속보치)' 기자설명회에서 "9·10월 소비심리가 하락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어서 심리가 꺾였다고 보긴 어렵다"며 "소비쿠폰은 4분기에 더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그는 수출과 관련해선 "수출 호조에는 반도체뿐 아니라 미국 관세를 받은 품목 중 우리기업이 다른 국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