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때문에 불평등 더 심해져”…입법조사처, 다차원 불평등 지수 첫 공개

2025년 10월 2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5개
수집 시간: 2025-10-29 03:05:0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조선비즈 2025-10-28 16:59:10 oid: 366, aid: 0001118024
기사 본문

서울 강남 한 부동산 중개업소 월세 매물 게시판./연합뉴스 최근 13년간 한국 사회에서 소득 격차는 줄었지만 부동산을 비롯한 자산 격차가 벌어지면서 전반적인 불평등은 오히려 심해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회입법조사처는 28일 소득과 자산, 교육과 건강 등 불평등과 관계된 여러 영역을 두루 반영한 ‘다차원적 불평등 지수’를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를 보면 최근 13년간(2011~2023년) 다차원적 불평등 지수는 0.176에서 0.190으로 상승했다. 지수가 높을수록 불평등이 심화했다는 의미다. 분야별로 보면 소득 불평등은 점진적으로 줄었지만, 자산과 교육, 건강 불평등은 오히려 심화됐다. 소득 불평등을 보여주는 지표인 처분가능소득 지니계수는 2011년 0.387에서 2023년 0.323으로 낮아졌다. 지니계수는 1에 가까워질수록 불평등이 심하다는 의미다. 소득만 보면 불평등이 개선된 셈이다. 반면 자산 불평등은 개선되다가 최근 다시 나빠졌다. 순자산 지니계수는 2012...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0-28 18:06:14 oid: 025, aid: 0003478502
기사 본문

우원식 국회의장이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회 주도 첫 다차원 불평등 지수 연구 결과 발표회에서 축사하고 있다. 이 연구에는 국회 입법조사처와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조국혁신당, 개혁신당, 진보당 등 원내 5개 정당 정책위원회가 참여했다. 연합뉴스 2010년대 들어 사회 전반적인 불평등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나 교육 수준보다는 자산 격차가 불평등의 핵심 요인으로 떠올랐다. 28일 국회 입법조사처에 따르면 ‘다차원 불평등 지수’는 2011년 0.179에서 2023년 0.190으로 상승했다. 다차원 불평등 지수는 소득뿐 아니라 자산ㆍ교육ㆍ건강 불평등 지표를 묶어 단일 지수화한 것으로, 국민 삶 전반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낸다. 국회가 주도해 이 지수를 연구하고 발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다차원 불평등이 심화한 건 자산 불평등이 확대돼서다. 2011년에는 소득(38.9%) 격차가 불평등 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자산(20.8%)ㆍ교육(20.9%)ㆍ건강(14....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28 11:00:10 oid: 001, aid: 0015705638
기사 본문

국회입법조사처, 다차원 불평등 지수 첫 공개…13년간 불평등 수준 심화 "소득 불평등 완화에도 자산·교육·건강 불평등 커져…집값과 긴밀한 연계" 서울 아파트 전경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치연 기자 = 최근 13년간 한국 사회에서 소득 격차는 완화됐지만 부동산 등 자산 격차가 벌어져 전반적인 불평등 수준은 오히려 심해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회입법조사처는 2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이 같은 내용의 '다차원적 불평등 지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다차원 불평등 지수는 국회가 처음 공개하는 것으로, 불평등을 한 가지 요인으로만 분석하지 않고 소득·자산·교육·건강 등 관계된 영역을 두루 살펴 지수를 연구하고 제시한 것이다. 연구 결과 최근 13년간(2011∼2023년) 다차원적 불평등 지수는 2011년 0.176에서 2023년 0.190으로 상승했다. 지수가 높을수록 불평등이 더 심화했다는 의미다. 분야별로 보면 소득 불평등은 점진적으로 줄고 있으나, 자산·교육·건강 등...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0-29 00:01:03 oid: 025, aid: 0003478560
기사 본문

2010년대 들어 사회 전반적인 불평등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나 교육 수준보다는 자산 격차가 불평등의 핵심 요인으로 떠올랐다. 28일 국회 입법조사처에 따르면 ‘다차원 불평등 지수’는 2011년 0.176에서 2023년 0.190으로 상승했다. 소득뿐 아니라 자산·교육·건강 불평등 지표를 묶어 단일 지수화한 것으로, 국민 삶 전반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낸다. 국회가 주도해 이 지수를 연구하고 발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경진 기자 2011년에는 소득(38.9%) 격차가 불평등 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자산(20.8%)·교육(20.9%)·건강(14.7%)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2023년에는 자산(35.8%)의 기여도가 크게 올랐고, 소득(35.2%)·교육(16.0%)·건강(13.1%)은 감소했다. 전체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면서, 부동산 가격이 급등할 때마다 집을 가진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자산 격차도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자산 불평등은 ‘...

전체 기사 읽기

더팩트 2025-10-28 17:21:13 oid: 629, aid: 0000438216
기사 본문

입법조사처, 불평등지수 연구 "교육 질적 지표 공개 필요" 소득이나 교육 수준보다는 자산 격차가 한국사회 불평등 지수를 키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한민국에서 가구 자산의 75%는 부동산이다. 사진은 서울의 한 아파트. /박헌우 기자 최근 13년간 한국 사회의 불평등 수준이 심해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소득이나 교육 수준보다는 자산 격차가 불평등의 핵심 요인으로 떠올랐다. 국회입법조사처는 2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다차원적 불평등 지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지수는 소득·자산·교육·건강 등 다양한 영역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불평등 수준을 측정한 것이다. 발표는 김기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연구실 부실장이 맡았다. 연구에 따르면 최근 13년 간(2011~2023년) 다차원적 불평등 지수는 0.176에서 0.190으로 상승했다. 수치가 높을수록 한국 사회의 불평등이 심화됐음을 의미한다. 2011년에는 소득(38.9%) 격차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자산(20.8%), 교육(20...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타임스 2025-10-28 11:22:27 oid: 029, aid: 0002989718
기사 본문

최근 13년간 소득 격차는 완화됐지만 부동산 등 자산 격차가 벌어져 전반적인 불평등 수준은 오히려 심해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불평등 지수 기여도가 높은 요인을 두고 노인 세대는 ‘교육’을, 젊은 세대는 ‘자산’을 꼽았다. 국회입법조사처는 2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이 같은 내용의 ‘다차원적 불평등 지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다차원 불평등 지수는 국회가 처음 공개하는 것으로, 불평등을 한 가지 요인으로만 분석하지 않고 소득·자산·교육·건강 등 관계된 영역을 두루 살펴 지수를 연구하고 제시한 것이다. 연구 결과 최근 13년간(2011∼2023년) 다차원적 불평등 지수는 2011년 0.176에서 2023년 0.190으로 상승했다. 지수가 높을수록 불평등이 더 심화했다는 의미다. 분야별로 보면 소득 불평등은 점진적으로 줄고 있으나, 자산·교육·건강 등 3개 분야의 불평등은 모두 심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소득 불평등 수준을 보여주는 처분가능소득 지니계수는 2011년 0.387에서 202...

전체 기사 읽기

농민신문 2025-10-28 18:01:11 oid: 662, aid: 0000080796
기사 본문

입법조사처, 첫 다차원 지수 발표 불평등 핵심요인으로 '자산' 부상 응답자 81.5% “경제 양극화 심각” 국회가 주도한 첫 ‘다차원 불평등 지수’ 결과가 발표된 가운데 소득에만 초점을 둔 불평등 대응 정책은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클립아트코리아 최근 국민 사이에서 ‘부의 양극화’와 ‘자산 격차’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국회가 주도한 첫 ‘다차원 불평등 지수’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조사에서는 소득 불평등은 완화됐지만 자산을 비롯한 사회 전반의 불평등은 오히려 심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입법조사처는 28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다차원적 불평등 지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국회가 주도한 최초의 불평등 종합 분석으로 소득, 자산, 교육, 건강 등 여러 요인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지수를 산출했다. 조사 결과 처분가능소득 지니계수는 2011년 0.387에서 2023년 0.323으로 낮아져 소득 불평등은 완화된 것...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0-28 14:29:13 oid: 015, aid: 0005203019
기사 본문

부동산 등 자산 격차 커지며 불평등 수준 심화 사진=연합뉴스 최근 13년간 한국의 소득 격차는 완화됐지만, 부동산 등 자산 격차가 커지면서 전반적인 불평등 수준은 오히려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입법조사처는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발표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다차원적 불평등 지수'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지수는 국회가 처음 공개한 것으로, 소득·자산·교육·건강 등 여러 영역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한국 사회의 불평등을 측정했다. 연구에 따르면 최근 13년간(2011~2023년) 다차원 불평등 지수는 0.176에서 0.190으로 상승했다. 지수가 높을수록 불평등이 심하다는 뜻이다. 소득 불평등은 점진적으로 완화되는 반면 자산·교육·건강 등 다른 영역의 불평등은 심화됐다. 소득 불평등을 나타내는 처분가능소득 지니계수는 2011년 0.387에서 2023년 0.323으로 낮아졌다. 그러나 순자산 지니계수는 2012년 0.625에서 2017년 0.589로 떨어진 뒤 2018년부터...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