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가 끌고 소비가 밀어 3분기 1.2% 성장… 올해 1%대 가능성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6분기 만 1%대, 내수가 1.1%p 기여 심리 개선, 소비쿠폰 등에 소비 회복세 수출 버팀목 반도체, 설비투자도 확대 4분기 -0.1~0.3% 달성 시 연간 1%로 2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반도체대전(SEDEX) 2025' 삼성전자 전시관에 6세대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4와 HBM3E 실물이 전시돼 있다. 연합뉴스 한국 경제가 3분기(7~9월) 1.2% 성장했다. 글로벌 반도체 호황과 국내 소비 회복세가 맞물린 결과다. 작년 말 불법 비상계엄 여파로 올해 마이너스(-) 성장으로 시작한 우리 경제가 서서히 저점을 벗어나고 있다는 조심스러운 평가가 나온다. 한국은행은 28일 우리나라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1.2% 증가 했다고 속보치를 발표했다. 지난해 1분기(1.2%) 이후 6분기 만에 1%대 회복이다. 성장률은 지난해 2분기 -0.2%를 기록한 후 0.1%→ 0.1%→ -0.2%→ 0.7%로 0%대에 머물렀다. 이번 4분기(10~12월)에 전기...
기사 본문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기자설명회 내수가 성장주도…"하반기도 흐름 이어갈 듯" 연 1% 성장하려면…"美관세·소비쿠폰·건설투자가 변수" 한국은행은 올해 3분기 경제성장률에 대해 민간소비 등 내수가 성장을 주도했다고 평가했다. 4분기에도 이같은 흐름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올해 연간 기준 1% 성장률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산술적으로 4분기 최소 -0.1%의 성장을 해야 한다고 봤다. 이동원 한국은행 경제통계2국장이 2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기자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은 제공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28일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속보치)' 기자설명회에서 "9·10월 소비심리가 하락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어서 심리가 꺾였다고 보긴 어렵다"며 "소비쿠폰은 4분기에 더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그는 수출과 관련해선 "수출 호조에는 반도체뿐 아니라 미국 관세를 받은 품목 중 우리기업이 다른 국가로 ...
기사 본문
민간소비 1.3% 성장, 3년來 최고…심리 개선·소비 쿠폰 효과 내수가 성장 주도…부진했던 건설투자, 3분기 '성장 중립적 역할' 개선 "올해 1% 성장, 4분기 성장률 -0.1~0.3% 시 달성 가능" 올해 3분기(7~9월) 우리나라 경제가 1.2% '깜짝 성장'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1.2%) 이후 6분기 만의 최고치로, 지난 8월 한국은행의 전망치(1.1%)를 웃돌았다. 민간소비가 큰 폭으로 개선되며 3분기 성장세를 견인했다. 소비심리가 살아난 데다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이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폰·전기차 등 신제품 출시 효과와 주가 상승에 따른 부(富)의 효과도 작용했다. 수출은 2분기 높은 증가율에 이어 3분기에도 반도체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견조한 흐름을 이어갔다. 3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망치를 웃돌면서 시선은 올해 성장률 1% 달성 여부에 쏠렸다. 한은은 단순 계산 시 4분기 성장률이 -0.1~0.3% 수준이면 올해 1% 성장이...
기사 본문
민간소비 3년 만에 최대폭 증가…설비투자도 플러스 전환 4분기 소비쿠폰 효과·건설 부진·관세 영향 등 주목 27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쌓여있는 모습. 2025.10.27/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세종=뉴스1) 전민 이철 이강 기자 = 올해 3분기 한국 경제가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1.2% 성장하며 6분기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같은 소비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민간소비가 3년 만에 최대 폭으로 증가하는 등 내수 회복이 성장을 이끌었다. 설비투자도 증가세로 전환하며 힘을 보탰다. 이에 따라 연간 1% 성장에도 청신호가 켜졌지만, 4분기 성장 경로에는 소비쿠폰 효과 약화, 건설투자 부진 지속, 미국 관세 등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한국은행은 28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서 3분기 실질 GDP가 전기 대비 1.2%(소수점 둘째 자리 1.17%) 성장했다고 밝혔다. 지난 2분기(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