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분야 취업한 고령자 100만 '훌쩍'... 농업도 추월했다

2025년 10월 2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5개
수집 시간: 2025-10-28 22:07:27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한국일보 2025-10-28 16:09:09 oid: 469, aid: 0000894290
기사 본문

노노케어 수요 늘어난 여파 농업은 기후위기 등 직격탄 청년은 내수 관련 취업자↓ 14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경기도 5070 일자리박람회'에서 한 어르신이 이력서를 작성하고 있다. 연합뉴스 60세 이상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가 100만 명을 넘어섰다. 부동의 고령 취업자 수 1위였던 농업마저 앞질렀다. 고령자가 고령자를 돌보는 '노노(老老)케어' 일자리가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청년층은 음식·주점업과 소매업 등 내수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줄었다. 국가데이터처가 28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에 따르면 상반기(4월) 60세 이상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는 108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96만 명) 대비 12만9,000명 급증했다. 고령층 사회복지서비스 취업자가 100만 명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 이다. 전체 취업자는 2,888만7,000명으로 같은 기간 19만4,000명 늘었다. 고령층 일자리 시장...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28 12:00:01 oid: 001, aid: 0015705925
기사 본문

내수 부진에 건설·소매·외식업 취업자는 줄어…농가도 급감 필수 노동자 (PG)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세종=연합뉴스) 송정은 기자 = 고령화의 영향으로 돌봄을 제공하는 비거주 복지시설 운영업 종사자가 올해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로, 산업 소분류 중 첫 1위를 기록했다. 반면 건설업, 소매·외식업과 같이 내수와 밀접한 분야에서는 고용이 부진했다. 국가데이터처는 28일 이런 내용의 '202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 조사 :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을 발표했다. 돌봄 일자리가 취업시장 이끌어…'노노케어' 확산 올해 상반기(4월) 기준 비거주 복지시설 운영업 취업자는 168만8천명으로 작년보다 13만5천명 증가했다. 신산업 분류가 적용된 2017년 이후 상반기 기준 가장 많은 수준이다. 234개 산업 소분류 가운데서 취업자 규모로 처음 1위를 기록했다. 비거주 복지시설 운영업은 요양보호사, 간병인 등 방문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에 일하는 이들을 뜻한다. 거주 복지시설 운영업 종...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28 12:00:00 oid: 277, aid: 0005670612
기사 본문

취업자 산업 및 직업별 특성 발표 15~29세 음식점및주점업 주로 종사 노령층은 사회복지서비스업 15.8% 고령화로 돌봄 수요가 늘면서 노인 주간 돌봄 시설이나 방문 복지 등을 포함하는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 취업자가 상반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168만8000명을 기록했다. 국가데이터처는 28일 이런 내용의 '2025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을 발표했다. 지난 9월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 인근에서 시민들이 이동하는 모습. 연합뉴스 상반기에 산업 소분류 기준으로 취업자 규모를 보면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이 168만8000명(5.8%), 음식점업이 166만2000명(5.8%), 작물재배업이 126만명(4.4%) 순으로 나타났다.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13만5000명)과 거주복지시설운영업(3만2000명) 등이 늘어난 반면 작물재배업(-11만5000명), 건물건설업(-6만9000명) 등은 감소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 취업자는 2017년 ...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28 12:37:50 oid: 421, aid: 0008567522
기사 본문

돌봄·복지 일자리 늘고 농업·건설은 감소…전체 취업자 2889만 명 전문직·정보통신·금융업 고임금 비중 50% 육박…저임금층은 감소세 (국가데이터처 제공) (세종=뉴스1) 이강 기자 = 올해 상반기 임금근로자는 2241만 5000명으로 전년보다 27만 6000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월 400만 원 이상 고임금 근로자가 27.5%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증가했고, 500만 원 이상 고임금 근로자 비중도 1.4%포인트(p) 상승해 고임금층이 확대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국가데이터처가 28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전체 취업자는 2888만 7000명으로 전년 동기(2869만 3000명)보다 19만 4000명 증가했다. 산업소분류별 취업자는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 168만 8000명(5.8%), 음식점업166만 2000명(5.8%), 작물재배업 126만 명(4.4%) 순으로 많았다. 특히 비거주복지시설운영업에...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