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美 쌀수입 쿼터 늘리는 건 불가능”

2025년 10월 28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9개
수집 시간: 2025-10-28 19:28:3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12개

헤럴드경제 2025-10-28 15:53:09 oid: 016, aid: 0002548762
기사 본문

농식품부 관세협상 ‘패싱’ 논란에는 “전혀 아냐”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미국산 쌀 수입 쿼터를 늘리는 것에 대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송 장관은 28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농식품부 종합감사에서 국민의힘 강명구 의원의 관련 질의에 “국가별 쿼터를 저희 마음대로 조정할 수는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8일 국회에서 열린 2025년도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 앞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조현 외교부 장관이 국정감사에서 “국가별 쌀 수입 쿼터를 늘릴 수 있다”고 했다면서 조 장관에게 사과를 촉구한 바 있다. 조 장관의 발언이 정부의 기존 입장과 다르다는 지적에는 “외교부 장관은 협상 주체가 아니다”라고 답했다. 송 장관은 농식품부가 관세 협상에서 패싱 당하는 것이 아니냐는 질의에는 “전혀 아니다”라며 “(정부는) 공식적인 협상...

전체 기사 읽기

프레시안 2025-10-28 17:04:17 oid: 002, aid: 0002411893
기사 본문

송미령, 趙외교 '쿼터 늘릴 수 있다' 발언 부인…김인호 산림청장 임명 여진도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8일 미국산 쌀 수입 확대 가능성과 관련 "불가능하다"며 "쌀·쇠고기는 '레드 라인'"이라고 못박았다. 송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농식품부 등 대상 종합국정감사에 기관증인으로 출석해, 지난 13일 외교부 국정감사에서 조현 외교부 장관이 '미국에 쌀 수입 쿼터를 늘릴 수 있다'고 답변했다며 이를 추궁하는 국민의힘 의원들의 질의에 이같이 말했다. 국민의힘 강명구 의원은 "한미 관세협상 마찰의 불똥이 우리 콩, 대두로 튈까 두렵다"며 "장관, 미국이 요구하면 수입쌀 미국 쿼터를 우리 마음대로 조절하고 늘릴 수 있는 것이냐"고 따졌다. 송 장관은 "불가하다", "불가능하다"고 즉답했다. 강 의원은 "외통위 국감에서 조현 외교장관이 '쌀 수입 관련 국가별 쿼터를 늘릴 수 있다'는 취지로 발언을 했다"며 "정부에서 지금까지 쌀과 소고기, 농축산물에 대해 추가적인 시...

전체 기사 읽기

KBS 2025-10-28 18:37:58 oid: 056, aid: 0012055402
기사 본문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미국산 쌀 수입 쿼터를 늘리는 데에 대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냈습니다. 오늘(28일) 열린 국회 농해수위 종합감사에서 송 장관은 “국가별 쿼터를 저희 마음대로 조정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야당 농해수위 위원들은 조현 외교부 장관이 국가별 쌀 수입 쿼터를 늘릴 수 있다고 밝힌 데에 대해 해명을 요구했습니다. 송 장관은 외교부 장관은 협상 주체가 아니라고 답하면서, “공식적인 협상에서 처음부터 쌀과 쇠고기는 레드라인이라고 강력하게 이야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추가 개방을 위한) 공식적인 협의를 한 적이 없다”면서, 미국의 쌀 개방 논의에 대해 논의한 바 없다는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또 미국산 대두 추가 수입 가능성에 대해서도 “전혀 아니다”라는 입장을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28 17:24:46 oid: 001, aid: 0015706975
기사 본문

농식품부 장관 "쌀·소고기는 '레드라인', 정부 일관된 입장" 농해수위 종합 국정감사에서 답변하는 송미령 장관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8일 국회에서 열린 2025년도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0.28 hkmpooh@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미국산 쌀 수입 쿼터를 늘리는 데 대해 "불가능하다"고 28일 말했다. 송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농식품부 종합감사에서 국민의힘 강명구 의원으로부터 조현 외교부 장관의 발언과 관련해 질문받고 이같이 답했다. 앞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조현 외교부 장관이 국정감사에서 국가별 쌀 수입 쿼터를 늘릴 수 있다고 했다면서 조 장관에게 사과하라고 한 바 있다. 송 장관은 "국가별 쿼터를 저희 마음대로 조정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한국은 저율관세할당물량(...

전체 기사 읽기

부산일보 2025-10-28 19:40:12 oid: 082, aid: 0001350999
기사 본문

28일 국회 국감에서 의원 질의받고 답변 조현 외교부 장관 발언에 “전혀 아니다” “쌀과 쇠고기는 레드라인 일관된 입장”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8일 국회에서 열린 2025년도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미국산 쌀 수입 쿼터를 늘리는 데 대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송 장관은 28일 국회에서 열린 농식품부 종합감사에서 국민의힘 강명구 의원으로부터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다. 앞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국민의힘 의원들은 조현 외교부 장관이 국정감사에서 국가별 쌀 수입 쿼터를 늘릴 수 있다고 말했다면서 조 장관에게 사과하라고 한 바 있다. 송 장관은 “국가별 쿼터를 저희 마음대로 조정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낮은 관세(저율관세할당물량)로 미국 중국 호주 태국 베트남 등 5개국에서 연간 40만 8700t(톤)의 쌀을 의무적으로 수입해야 한다. 대신 우리나라는 나머지 쌀에는...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8 16:30:04 oid: 003, aid: 0013564109
기사 본문

국회 농해수위 종합감사 출석해 질의에 답변 김인호 청장 셀프추천 논란엔 "유능한 인사"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0.28. kgb@newsis.com [세종=뉴시스]임소현 임하은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8일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 선정과 관련해 국회 심의를 경청해 추가 선정 여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미 관세협상 관련 미국산 쌀 수입 쿼터 조정 가능성이 나온 데 대해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고 콩(대두) 역시 논의 대상이 아니라며 미국산 대두 수입확대 가능성을 일축했다. 송미령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종합감사에서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 지역 선정 관련 질문에 "효과 측면에 어느 지역이 더 나은지 판단했을 때 그 차이가 상당히 경미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부터 시행되는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에는 인구감...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0-28 17:32:17 oid: 015, aid: 0005203185
기사 본문

농식품부 장관 "쌀·소고기는 '레드라인', 정부 일관된 입장"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미국산 쌀 수입 쿼터를 늘리는 데 대해 "불가능하다"고 28일 말했다. 송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농식품부 종합감사에서 국민의힘 강명구 의원으로부터 조현 외교부 장관의 발언과 관련해 질문받고 이같이 답했다. 앞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조현 외교부 장관이 국정감사에서 국가별 쌀 수입 쿼터를 늘릴 수 있다고 했다면서 조 장관에게 사과하라고 한 바 있다. 송 장관은 "국가별 쿼터를 저희 마음대로 조정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한국은 저율관세할당물량(TRQ)으로 미국과 중국, 호주, 태국, 베트남 등 5개국에서 연간 40만8700t의 쌀을 수입하는데 이 중 미국산은 13만t이 넘는다. 송 장관은 조 장관의 발언이 정부의 기존 입장과 다르다는 지적에는 외교부 장관은 협상 주체가 아니라고 답했다. 또 농식품부가 관세협상에서 패싱(건너뜀)당한 것 아니냐는 ...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28 11:38:17 oid: 001, aid: 0015705823
기사 본문

"쌀·소고기는 '레드라인', 정부 일관된 입장" 농해수위 종합 국정감사에서 답변하는 송미령 장관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8일 국회에서 열린 2025년도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0.28 hkmpooh@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미국산 쌀 수입 쿼터를 늘리는 데 대해 "불가능하다"고 28일 말했다. 송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농식품부 종합감사에서 국민의힘 강명구 의원으로부터 조현 외교부 장관의 발언과 관련해 질문받고 이같이 답했다. 앞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조현 외교부 장관이 국정감사에서 국가별 쌀 수입 쿼터를 늘릴 수 있다고 했다면서 조 장관에게 사과하라고 한 바 있다. 송 장관은 "국가별 쿼터를 저희 마음대로 조정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조 장관의 발언이 정부의 기존 입...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28 21:57:31 oid: 003, aid: 0013564527
기사 본문

국회 농해수위 종합감사 출석해 답변 정부 "쌀·쇠고기 '레드라인' 일관된 입장" 농어촌기본소득 추가 "국회 논의 경청" 산림청장 셀프추천 논란엔 "유능한 인사"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0.28. kgb@newsis.com [세종=뉴시스]임소현 임하은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8일 한미 관세협상 관련 미국산 쌀 수입 쿼터 조정 가능성이 나온 데 대해 "불가능하다"고 못박았다. 콩(대두) 역시 논의 대상이 아니라며 미국산 대두 수입확대 가능성을 일축했다.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 선정과 관련해서는 국회 심의를 경청해 추가 선정 여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송미령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종합감사에서 미국산 쌀 수입 쿼터 조정 가능성이 나온 데 대해 "불가능하다"며 "농식품부를 통하지 않고 쌀 개방이 있을 수 없다"고...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0-28 15:11:01 oid: 032, aid: 0003404912
기사 본문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장관(왼쪽)이 28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8일 미국산 쌀 수입 쿼터를 늘리는 방안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송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국정감사에서 “국가별 쿼터를 저희 마음대로 조정할 수는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조현 외교부 장관은 국정감사에서 국가별 쌀 수입 쿼터를 늘릴 수 있다고 발언했다. 그간 쌀 시장 개방은 없다는 정부의 입장과는 결이 다른 답변에 국민의힘 의원들은 조 장관에서 사과를 요구했다. 송 장관은 외교부 장관이 협상의 주체가 아니라며 “정부는 공식적인 협상에서 처음부터 쌀과 쇠고기는 레드라인(한계선)이라고 강력하게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농식품부가 관세협상에서 ‘패싱’당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전혀 아니다”라며 “추가 개방을 위한 공식적인 협의를 한 적이 없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송 장관은 ‘비공식 협상에서도 쌀 개방이 논...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0-28 12:20:18 oid: 014, aid: 0005425608
기사 본문

국감서 외교부 발언 논란 일축 “국가별 수입량 임의 조정 불가...대두 수입 확대 검토 안 해”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미국산 쌀 수입 쿼터 확대 요구에 대해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송 장관은 28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농식품부 종합감사에서 국민의힘 강명구 의원 질의에 답하며 “국가별 쿼터를 저희 마음대로 조정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앞서 조현 외교부 장관이 국정감사에서 “국가별 쌀 수입 쿼터를 늘릴 수 있다”고 언급해 논란이 일자 이를 일축한 것이다. 한국은 현재 쌀에 513%의 고율 관세를 매기면서, 40만8700t만 저율관세할당물량(TRQ)으로 정해 5% 관세로 수입하고 있다. TRQ는 미국·중국·호주·태국·베트남 등 5개국에 배분돼 있으며, 각국별 수입량 변경 시 5개국 모두의 동의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28 17:32:01 oid: 008, aid: 0005269522
기사 본문

(서울=뉴스1) 신웅수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대한 종합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10.28/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신웅수 기자 28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종합감사에선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을 둘러싼 공정성 논란이 일었다. 한미 관세협상 과정에서 미국산 쌀 수입 쿼터 조정 가능성도 도마 위에 올랐다. 임호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농해수위 종합감사에서 "시범사업의 목적은 지역 특성에 따라 어떤 정책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실험하고 검증하는 것이라며 "지금의 선정 방식은 배분에 가깝다"고 질타했다. 임 의원은 "옥천군은 댐 수몰 지역이라 83.5% 정도가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고 피해가 8조9000억원에 달한다"며 "다만 사회적기업이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