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장관 “안전 전제되지 않은 원전은 없다”…고리2호기 현장 점검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5일 계속운전(수명 연장) 심의를 앞둔 고리 2호기 원자력발전소를 찾아 원전 안전운영 체계를 점검했다. 기후부 출범 이후 장관이 원전 현장을 시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고리 2호기는 1983년 4월 9일 상업운전을 시작한 685메가와트(MWe)급 원전으로, 2023년 4월 8일 40년 설계수명을 넘겨 가동이 중단됐다. 한국수력원자력은 고리 2호기 수명 연장을 위해 2023년 3월 계속운전에 필요한 운영변경 허가를 신청했고,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올해 7월 안전성 심사를 마쳤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지난달 25일 고리 2호기 계속운전 여부를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원안위는 오는 23일 회의를 열어 수명 연장 여부를 최종 심의할 예정이다. 이날 현장을 찾은 김 장관은 원전 안전성 확보를 거듭 ...
기사 본문
고리 2호기 '사고관리계획서 승인안·계속운전 허가안' 같이 올라 사고관리계획서 승인안부터 '난관'…위원들, 설명 부족 질타 사고관리계획서·계속운전안 병행 심사 비판도…일부 위원, "회의 비효율" 지적 25일 서울 중구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부산 기장 고리 원자력발전소 2호기 계속운전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회의가 열리고 있다. 원안위는 이날 회의에서 부산 기장군 고리 원자력발전소 2호기 계속운전에 대한 심의를 진행했으나 검토에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차기 회의에서 계속 심의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국내 원전 수명 연장의 바로미터가 될 부산 기장 소재 고리 2호기 계속운전 심사 경과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에서 고리 2호기 수명이 연장될 경우 앞으로 이어질 나머지 원전의 계속운전 물꼬도 트일 수 있다. 고리 2호기 계속운전 허가 안건은 지난달 25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상정됐으나 '검토가 더 필요하다'는 위원들의 의견에 따라 처리가 불발된 바 있다. 당시 회의에 참석한...
기사 본문
기후부 출범 이래 첫 원전 현장 방문…"안전성 담보로 연장 검토" 입장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5일 부산 기장군 고리 원전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제공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이 15일 부산 기장군 소재 고리 원전을 찾아 안전 운영을 위한 철저한 대비를 당부했다고 밝혔다. 고리 원전은 국내 최초 상업 원전으로 안정적 전력 공급과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해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1983년부터 2023년까지 가동한 뒤 현재는 '계속운전' 승인 절차가 진행 중이다. 계속운전은 운전허가기간 만료 원전에 대해 설비 수명·상태·개선계획 등 안전성을 평가해 운전허가기간 이후에도 계속운전하는 제도다. 전 세계 허가만료원전 91%(258기)가 계속운전을 시행 중이란 게 기후부 설명이다. 고리 2호기의 계속운전 허가 여부를 차기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심의할 예정이다. 이번 방문은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안전성을 전제로 원전을 합리적으로 섞어 사용하는 에너지 구성(믹스) 정책을 강...
기사 본문
기후에너지부 출범 뒤 첫 원전 방문 고리 2호기, 오는 23일 수명연장 심사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이 15일 부산 기장군 소재 고리 원전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제공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현재 수명연장 심사가 진행 중인 고리원자력발전소 2호기를 찾아 다시 한번 “원전의 안전성”을 강조했다. 김 장관은 전날인 기후부 첫 국정감사에 출석해 원전에 대해 “0.01% 때문에라도 위험성을 강조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김 장관은 15일 “안전성을 전제로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합리적으로 섞어 사용하는 에너지 정책 구상을 위한 것”이라며 취임 뒤 첫 원전 방문 일정으로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2호기를 방문했다. 고리 2호기는 1983년 7월 상업운전을 시작해 설계수명(40년)이 끝나 2024년 4월 가동이 중단된 국내 최장수 원전이다. 쌍둥이 격인 고리 1호기는 설계수명(30년+10년)을 마친 2017년 6월 가동이 중단된 뒤 지난 6월 최종 해체가 ...
기사 본문
'계속운전 준비 상황' 점검…원안위 심의 전 계속운전에 힘 싣기 풀이 부산 기장군 장안읍 월내 쪽에서 바라본 고리2호기(오른쪽 두 번째)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5일 부산 기장군 고리 원자력발전소 2호기를 찾아 '계속운전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김 장관이 원전을 방문하기는 기후부 출범으로 원전 주무 부처가 바뀌고 처음이다. 고리 2호기는 1983년 4월 9일 상업운전을 시작한 가압경수로 방식 전기출력 685메가와트(MEe)급 원전으로 2023년 4월 8일 설계수명(40년)을 넘겨 운전을 정지했다. 한국수력원자력이 계속운전을 신청, 현재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심의가 진행 중이다. 계속운전이 허가되면 고리2호기 수명은 2033년 4월까지로 늘어난다. 지난달 25일 원안위 222회 회의에서 고리 2호기 계속운전 허가 여부 심의가 한 차례 이뤄졌으나 결론이 나지 않았고 이달 23일 열릴 차기 회의에서 재논의하기로 했다....
기사 본문
'계속운전 대응상황’ 듣고 현장 점검 원안위 심의 전 ‘계속운전’에 힘 싣기 풀이 김성환(앞줄 오른쪽 두 번째)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이 15일 부산 기장군 소재 고리 원전 현장을 점검하고, 원전 안전 운영을 위한 철저한 대비를 당부하고 있다. 기후부 제공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5일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발전소 2호기를 찾아 '계속운전 대응상황'을 듣고 현장을 둘러봤다. 지난 1일 정부조직 확대개편에 따른 기후부 출범으로 원전 주무 부처가 기존 산업부에서 기후부로 바뀌고 나서 기후부 장관이 원전을 시찰하기는 처음이다. 김 장관은 중대사고와 지진·침수 등 외부재해 대응계획, 사이버 보안 등에 관해 질의하면서 원전 안전을 위한 철저한 대비를 주문했다. 김 장관은 고리 2호기 방문 현장에서 "안전이 전제되지 않은 원전은 없다"면서 "재생에너지 확대와 안전한 원전을 병행한 균형 잡힌 에너지믹스(구성)로 전력 수급 안정과 온실가스 감축, 산업경쟁력 확보를 함께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
기사 본문
기후부 출범 이후 첫 주무부처 장관 현장 점검 “원전 안전성·수용성 더욱 강화하도록 노력할 것” 고리2호기 계속운전 허가여부 원안위서 23일 심의 예정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과 탈원전 논란이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고리 2호기 원자력발전소 현장을 찾았다. 기후부 출범 이후 처음 갖는 주무부처 장관 현장 점검이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김성환 장관이 15일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 2호기 원전 현장을 방문해 원전 안전운영 체계와 계속운전 준비상황을 점검한다고 밝혔다. 이번 원전 방문은 이달 1일 기후부 출범 이후 처음 추진되는 주무 부처 장관 현장 점검으로,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안전성을 전제로 원전을 합리적으로 섞어 사용하는 에너지 구성(믹스) 정책을 강조하기 위해 마련됐다....
기사 본문
한수원, 국내 가동원전 10기 수명연장 신청해 심사 중 고리 2호기가 '첫 단추'…오는 23일이 '운명의 날' 탈원전이냐, 기존 원전 유지냐…李 정부 기조 판가름 전망 경북 경주 월성원전 전경. 매일신문 DB 국내 다수 원자력발전소의 수명 연장 여부를 판가름하게 될 운명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이달 말 부산 기장 소재 고리 2호기의 계속운전 안건을 두고 심사를 벌일 예정이다. 고리 2호기 수명이 늘어난다면 '새 정부가 신규 원전 건설엔 미온적이더라도 기존 원전은 최대한 활용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15일 원전 업계 등에 따르면 국내 원전 중 고리 2~4호기는 2023년~2025년에 걸쳐 순차로 가동이 중지됐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이들 원전에 대해 지난 2022년, 10년간 더 가동할 수 있게 해달라고 원자력안전위원회에 계속운전 신청을 했다. 전남 영광 한빛 1·2호기(2025년 12월, 2026년 9월), 경북 울진 한울 1·2호기(2027년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