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내수·수출 견인…3분기 성장률 1.2% 기록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13조 소비쿠폰’이 올해 3분기 경기를 밀어 올렸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ㆍ속보)은 전기 대비 1.2%(전년 동기 대비 1.7%) 성장했다. 지난해 1분기(1.2%) 이후 1년 반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올해 1분기에는 정치적 불확실성에 역성장(-0.2%)했고, 새 정부 출범을 계기로 2분기에 반등(0.7%)한 이후 2개 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28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기온이 다소 떨어진 추운 날씨에도 물건을 사기 위해 시장을 찾은 시민들로 북적댔다. 뉴스1 성장을 견인한 건 국내에서의 소비·투자(내수)다. 3분기 성장률(1.2%) 가운데 내수의 기여도는 1.1%포인트, 순수출(수출-수입)은 0.1%포인트였다.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민간 소비 등 내수가 성장을 주도했다”고 평가했다. 민간 소비는 3분기에 1.3% 늘었다. 2022년 3분기(1.3%) 이후 3년 만에 최고치다. 2분기(0.5%...
기사 본문
3분기 GDP 성장률 1.2% 민간소비, 3년만에 최대폭 성장 수출, 반도체·車 덕에 1.5% 증가 설비투자도 2.4% 늘어났지만 건설투자는 6분기째 마이너스 올해 3·4분기 한국 경제가 1.2% 성장하며 예상(1.1%)보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여파에도 반도체 중심으로 수출이 호조세를 이어가고, 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 등으로 민간소비가 3년래 최대폭으로 성장한 결과다. 이에 4·4분기에 0.1% 역성장을 하더라도 연간 기준 1% 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게 되면서 올해 국내 경제가 0%대 저성장 흐름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소비·투자 회복세에 수출도 호조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3·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은 전기 대비 1.2%로, 지난해 1·4분기(1.2%) 이후 1년6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1.7% 증가했다. 3·4분기 성장은 민간 소비 등 내수가 견인했다. 민간 소비·정부 소비·설비투자...
기사 본문
18개월래 최고… 한은 전망치보다 ↑ 소비쿠폰 덕에 민간 소비 늘고 반도체·車 중심 수출도 호조세 새 정부 출범 후 첫 분기인 3분기 우리 경제가 1.2%의 깜짝 성장률을 기록하며 연간 1%대 성장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소비쿠폰이 내수를 진작하고, 반도체·자동차를 중심으로 수출 호조세가 이어진 덕분이다. 사진=뉴시스 한국은행은 28일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1.2%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분기 기준 지난해 1분기(1.2%) 이후 1년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지난 8월 한은 전망치(1.1%)보다도 높다. 3분기 깜짝 성장은 민간소비 등 내수가 견인했다. 전체 1.2% 성장 중 내수가 1.1%포인트, 순수출이 0.1%포인트 기여했다. 내수 중에서도 민간소비가 1.3% 늘며 2022년 3분기(1.3%)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소비심리 개선 효과, 소비쿠폰·전기차 보조금 지원 등 정부 정책, 스마트폰...
기사 본문
3분기 GDP 1.2% 성장… 회복세 뚜렷 재정 마중물 역할, 민간이 성장 주도 정부, 온전한 첫 경제성적표에 고무 계속해서 내리던 전망치 상향 시사 연합뉴스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예상보다 높은 1.2%를 기록하면서 올해 1%대 성장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정부는 앞서 올해 0.9% 성장을 예상했지만 3분기 뚜렷한 경기 회복세를 확인하면서 전망치 상향 조정을 시사했다. 김재훈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28일 브리핑에서 “연간 성장률이 기존 전망보다 높아질 가능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정부 반응은 이날 한국은행이 3분기 GDP 성장률(전 분기 대비·속보치)이 1.2%로 집계됐다고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기재부는 기자들에게 배포한 ‘최근 경제동향 관련 설명자료’에서 “3분기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이후 6분기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며, 성장세가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최근 1년간 계속 하향 조정했다. 지난해 하반기 2.2%였던 전망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