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월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 6.27%…10년만에 최고치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서울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매물 정보가 붙어 있다. [연합뉴스 제공] 대출규제 등의 여파로 전세의 월세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수도권 아파트 월세 가격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8일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KB국민은행 월간 시계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9월 기준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은 6.27%로 조사됐다. 지역별 상승률은 서울 7.25%, 경기 5.23%, 인천 7.8%였다. 같은 기간 아파트 전세 가격은 서울 2.08%, 경기 0.99%, 인천 0.39% 상승하는 데 그쳤다. 연도별 월세 가격 추이를 보면, 2016년부터 2019년까지는 소폭 등락을 반복하다 임대차 3법이 시행된 2020년 1% 상승에 이어 2021년에는 4.26% 올랐다. 포스트코로나 이후 금리 인상 영향으로 아파트 전세 가격이 2022년 0.04% 상승, 2023년 6.66% 하락했지만 월세는 2022년 5.54%, 2023년 5.25% 각각 상승하며 전세 시장과 무관하게 강세를...
기사 본문
서울 월세 상승률 10년來 최고 서울 반전세 3개월새 16%→20% 경기 토허구역도 11%→13.5%로 금리인하 역행···전월세전환율 상승 갭투자 막겠다더니 실수요자만 피해 [서울경제]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한강변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6·27 대출 규제 이후 반전세 수요가 많이 늘었습니다. 전세대출이 안나오니까요. 월세 수요가 증가한 만큼 전월세 전환율도 월세에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경기 성남 분당구 A 공인중개사) 정부의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 이후 월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갭 투자가 차단되며 전세 공급 자체가 줄었고 6·27 대책으로 전세대출도 까다로워지면서 집을 구하려는 수요자들이 월세로 눈을 돌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울 내 아파트 구입 시 실거주 의무로 월세 물건조차 줄 가능성이 높아 월세도 급등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8일 직방에 따르면 서울의 임대차 계약 중 반전세 비중은 7월 16.45%에서 10월 20.28%로 뛰었다. ...
기사 본문
2016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 상승률 올 1~9월 서울 아파트 월세 7.25% 상승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화하면서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이 2016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래픽=정서희 28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하우스가 국민은행 월간 시계열자료를 집계한 결과 올해 1~9월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은 6.27%를 기록했다. 지역별 상승률을 보면 서울이 7.25%, 경기가 5.23%, 인천이 7.8%였다.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6년부터 2019년까지는 소폭 변동하는 데 그쳤다. 2020년부터 임대차 3법이 시행되면서 상승폭이 커지기 시작했다. 2020년 1% 상승에 이어 2021년 4.26%, 2022년 5.54%, 2023년 5.25%, 2024년 4.09%로 꾸준히 4~5%대 상승률을 유지했다. 아파트 월세가 상승을 이어갈 동안 전셋값은 등락을 보였다. 2018년 0.17% 내리고 2019년 1.04% 하락했다. 2021년에는 1...
기사 본문
서울 도심. 문재원 기자 최근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이 최근 10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곳의 ‘갭투자(전세 낀 매매)’가 원천 봉쇄되면서 월세 상승세는 더 빨라질 전망이다. 부동산 평가업체 리얼하우스가 28일 KB국민은행 월간 시계열 통계를 분석한 결과, 올해 1~9월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은 6.27%로 2016년 이후 가장 높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7.25%, 경기 5.23%, 인천 7.8% 상승했다. 수도권 아파트 월세는 2020년 상승 전환해 2022년 5.54%, 2023년 5.25% 등 오름세를 이어왔는데 지난 10년간 올해처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적은 없었다. 반면 아파트 전셋값은 금리 인상 여파로 2022년 0.04% 상승, 2023년 6.66% 하락에 그치며 등락을 반복했다. 아파트 월세 상승은 점차 빨라지고 있는 ‘전세의 월세화’ 영향이다. 전세 시장이 축소하고 월세로 수요가 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