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조 소비쿠폰, 경기 살렸다… “지갑이 움직이니 성장도 달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민간소비 3년 만 최고치… 경제 회복 중심축으로 부상 4분기 “효과 연장” 과제… ‘정책→지속 소비’ 전환 승부 3분기 경제 반등의 핵심 단어는 단연 ‘소비쿠폰’이 꼽혔습니다. 정부가 13조 원 규모의 소비쿠폰을 전방위로 투입하자 지갑이 열렸고 성장률이 뛰었습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3분기 실질 GDP 성장률은 전기 대비 1.2%로 나타났습니다. 그중 민간 기여도가 0.8%포인트(p), 정부 기여도가 0.4%p로 집계됐습니다. 정책이 소비 심리를 일으키고, 소비가 성장의 속도를 올린 흐름입니다. ■ 쿠폰 공급… 음식점·의료·통신까지 소비 확산 민간소비는 1.3% 증가했습니다. 2022년 3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승용차를 비롯한 내구재뿐 아니라 외식, 의료, 통신 등 생활 소비가 고르게 회복됐습니다. 소비쿠폰이 특정 업종에만 머물지 않고, 폭넓은 수요 진작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정부는 3분기 동안 1차 소비쿠폰 9조 원대 집행, 2차 쿠폰 약 4조 원 지급...
기사 본문
‘13조 소비쿠폰’이 올해 3분기 경기를 밀어 올렸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ㆍ속보)은 전기 대비 1.2%(전년 동기 대비 1.7%) 성장했다. 지난해 1분기(1.2%) 이후 1년 반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올해 1분기에는 정치적 불확실성에 역성장(-0.2%)했고, 새 정부 출범을 계기로 2분기에 반등(0.7%)한 이후 2개 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28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기온이 다소 떨어진 추운 날씨에도 물건을 사기 위해 시장을 찾은 시민들로 북적댔다. 뉴스1 성장을 견인한 건 국내에서의 소비·투자(내수)다. 3분기 성장률(1.2%) 가운데 내수의 기여도는 1.1%포인트, 순수출(수출-수입)은 0.1%포인트였다.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민간 소비 등 내수가 성장을 주도했다”고 평가했다. 민간 소비는 3분기에 1.3% 늘었다. 2022년 3분기(1.3%) 이후 3년 만에 최고치다. 2분기(0.5%...
기사 본문
반도체·자동차 수출 순풍에 재정확대가 민간소비 늘려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내수 회복과 수출 호조에 힘입어 1.2% 성장했다. 작년 1분기 1.2%를 기록한 이래 1년6개월 만에 가장 높은 분기 성장률이다. 한국은행이 지난 8월 전망한 예상치인 1.1%를 웃돈 것이다. 이에 올해 연간 경제성장률도 '0%대'를 피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28일 한국은행은 3분기 실질 GDP가 전기 대비 1.2%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에 비해서는 1.7% 증가했다. 이에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기 대비 0.7%, 전년 동기 대비 2.2% 성장했다. 경제가 '턴어라운드'했는지는 의견이 분분하다. 한국 성장률은 작년 1분기 1.2%를 찍었지만, 2분기에 -0.2%로 내려앉았다. 이후 3분기와 4분기에 각각 0.1%로 정체를 보이다가 올해 1분기에 다시 -0.2%를 기록했다. 하지만 2분기에 0.7%로 반등에 성공한 뒤 3분기에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번 분기 성장세는 민간소비와 ...
기사 본문
한은, 실질 경제성장률 발표 올해 '0%대' 성장 우려 탈피 민간소비 증가율 3년 만에 최대 재화·서비스 소비 모두 증가 '9조 소비쿠폰' 내수 진작 효과 반도체 호황에 투자·수출 회복세 구윤철 "새정부 온전한 성적표" 기재부, 年성장률 1% 이상 예상 통화·재정정책에 영향 미칠 전망 집값전망지수는 4년來 최고 규제에도 기대심리 안 꺾여 올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1.2%로, 시장 전망치(1.1%)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슈퍼호황에 정부 소비쿠폰 효과, 증시 호황 등으로 민간소비 증가율(1.3%)이 3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그동안 부진했던 건설투자도 살아날 조짐을 보여 우리 경제가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들어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소비쿠폰·반도체·증시 효과 한국은행은 28일 3분기 실질 경제성장률(속보치)이 1.2%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올해 1분기 -0.2% 역성장으로 출발한 성장률이 2분기 0.7%로 반등한 데 이어 3분기엔 상승 폭을 키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