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형적 회복 국면"…연간 성장전망 0.9%→1%대 상향 시사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반도체·자동차 수출 순풍에 재정확대가 민간소비 늘려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내수 회복과 수출 호조에 힘입어 1.2% 성장했다. 작년 1분기 1.2%를 기록한 이래 1년6개월 만에 가장 높은 분기 성장률이다. 한국은행이 지난 8월 전망한 예상치인 1.1%를 웃돈 것이다. 이에 올해 연간 경제성장률도 '0%대'를 피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28일 한국은행은 3분기 실질 GDP가 전기 대비 1.2%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에 비해서는 1.7% 증가했다. 이에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기 대비 0.7%, 전년 동기 대비 2.2% 성장했다. 경제가 '턴어라운드'했는지는 의견이 분분하다. 한국 성장률은 작년 1분기 1.2%를 찍었지만, 2분기에 -0.2%로 내려앉았다. 이후 3분기와 4분기에 각각 0.1%로 정체를 보이다가 올해 1분기에 다시 -0.2%를 기록했다. 하지만 2분기에 0.7%로 반등에 성공한 뒤 3분기에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번 분기 성장세는 민간소비와 ...
기사 본문
한은, 실질 경제성장률 발표 올해 '0%대' 성장 우려 탈피 민간소비 증가율 3년 만에 최대 재화·서비스 소비 모두 증가 '9조 소비쿠폰' 내수 진작 효과 반도체 호황에 투자·수출 회복세 구윤철 "새정부 온전한 성적표" 기재부, 年성장률 1% 이상 예상 통화·재정정책에 영향 미칠 전망 집값전망지수는 4년來 최고 규제에도 기대심리 안 꺾여 올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1.2%로, 시장 전망치(1.1%)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슈퍼호황에 정부 소비쿠폰 효과, 증시 호황 등으로 민간소비 증가율(1.3%)이 3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그동안 부진했던 건설투자도 살아날 조짐을 보여 우리 경제가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들어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소비쿠폰·반도체·증시 효과 한국은행은 28일 3분기 실질 경제성장률(속보치)이 1.2%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올해 1분기 -0.2% 역성장으로 출발한 성장률이 2분기 0.7%로 반등한 데 이어 3분기엔 상승 폭을 키웠다. ...
기사 본문
서울 강남구 강남역 인근 한 매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안내문이 붙어 있다.[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올해 3분기(7~9월)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1.2%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실질GDP는 2분기보다 1.2% 성장했다. 연율로는 4.7% 수준이다. 지난해 1분기에도 1.2% 성장률을 기록한 바 있지만 2분기에는 –0.2%로 오히려 후퇴했고 3분기와 4분기에도 각각 0.1% 성장률로 사실상 제자리 걸음을 했다. 올해 1분기에도 –0.2%를 기록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올해 2분기에는 0.7%로 반등에 성공했고 3분기에 그 폭을 확대했다. 3분기 성장률 1.2%는 한은의 전망치(1.1%)와 비슷한 수준이다. 한은은 지난 8월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3분기와 4분기 성장률이 각각 1.1%와 0.2%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종전보다...
기사 본문
[앵커] 우리 경제 3분기 성장률이 예상치보다 높은 1.2%를 기록했습니다. 민간 소비와 내수가 성장을 주도한 가운데 수출도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정부는 경기 회복세가 뚜렷해 연간 1% 성장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밝혔습니다. 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 [기자] 한국은행은 3분기 우리 경제가 전분기보다 1.2% 성장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 8월 전망치를 웃도는 성적표입니다. 1.2% 성장은 6분기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1분기 역성장 등으로 상반기 0.3% 성장에 그쳤지만 3분기 들어 성장세가 확대된 겁니다. 민간 소비가 1.3% 늘며 성장을 주도했습니다. 소비자심리개선과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추경 영향, 증시 활성화에 따른 자산 효과 등에 힘입어 3년 만에 최대 폭으로 늘었습니다. 정부 소비도 자재 구매와 건강보험 급여비 위주로 1.2% 성장했습니다. 성장 기여도는 민간이 0.8%, 정부는 0.4%로 민간이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이 동 원 / 한국은행 경제통계2국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