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공장 풀가동 효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분할 전 최종점검 '이상 無'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3분기 연결 매출 1.66조로 역대 최대치 경신…로직스 별도 매출도 지난해 누적치 육박 생산력·상업영역 확대 순항…삼성바이오에피스 분할 이후 '순수 CDMO' 도약 행보 청신호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올 3분기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경신했다. 인적분할을 앞둔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제외한 별도 기준 매출 역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며, 순수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한 최종점검을 성공적으로 마쳤다는 평가다. 28일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따르면 이 회사는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조6602억원·영업이익 728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39.9%·115.3% 증가는 물론, 나란히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갈아치웠다. 1~4공장 풀가동 효과를 기반으로 바이오시밀러 판매 호조 및 우호적 환율 환경이 맞물린 결과다. 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별도 기준으로도 3분기 누적 3조2713억원의 매출 달성, 지난해 전체 별도기준 매출액(3조4971억원)에 육박하는 실적을 기록했다. 대형 제약...
기사 본문
매출 1조6602억·영업익 7288억 1~4공장 풀가동·환율상승 등 힘입어 삼성바이오로직스 가 창립 이래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송도 1~4공장의 풀가동과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확대·우호적 환율 효과 등에 따른 결과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8일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6602억원, 영업이익 728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731억원으로 39.8%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3902억원, 115.2% 올랐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별도기준으로도 1~4공장의 풀가동을 통한 매출 기여 증대에 힘입어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3분기 별도기준 매출은 1조2575억원, 영업이익은 63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04억원, 1889억원 증가했다. 5공장은 신규 수주에 따른 기술이전과 함께 안정적인 램프업(Ramp-up·생산량 증대)이 진행 중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3분기 매출은 4410억원, 영업이익은 1290억원을 기록했다...
기사 본문
3분기 매출 1조6602억·영업이익 7288억원 로직스 별도, 역대 최대 매출 1조2575억원 별도 누적 3조2713억원…전년도 매출 육박 1~4공장의 풀가동을 통한 매출 기여 증대 불확실성 가운데 연매출 25~30%성장 전망 [서울=뉴시스]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전경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2025.10.2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승주 기자 = 삼성바이오로직스가 1~4공장의 풀가동을 통한 매출 기여 증대와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확대, 우호적 환율 효과 등에 따라 창립 이래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8일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6602억원, 영업이익 728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731억원, 영업이익은 3902억원 증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별도기준으로 1~4공장의 풀가동을 통한 매출 기여 증대에 힘입어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올해 3분...
기사 본문
(상보) 3분기 매출 1.66조·영업익 7288억…전년比 39.9%·115.3% 증가 1~4공장 풀가동 속 시밀러 판매 확대 및 우호적 환율 효과 배경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전경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1~4공장 풀가동 효과와 우호적 환율을 앞세워 창립 이래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6602억원, 영업이익 7288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39.9%, 115.3% 증가한 수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별도기준으로도 4공장 풀가동의 매출 증대 효과를 톡톡히 봤다. 3분기 삼성바이오로직스 별도기준 매출은 1조2575억원, 영업이익은 63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04억원, 1889억원 증가했다. 5공장은 신규 수주에 따른 기술이전과 함께 안정적인 램프업(Ramp-up)이 진행 중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3분기 매출은 4410억원, 영업이익은 1290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미국 신규 제품 ...
기사 본문
인천 송도에 위치한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올해 3분기 창립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를 대폭 상회한 결과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8일 공시한 3분기 실적(연결 기준)을 보면, 매출은 1조6602억원, 영업이익은 7288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9.9%(4731억원), 영업이익은 115.3%(3902억원) 증가했다. 국내 주요 증권사들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매출액을 약 1조5877억원, 영업이익을 약 5717억원으로 예측한 바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4공장의 풀가동 효과로 매출이 크게 증대했다고 밝혔다. 또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확대, 우호적 환율 효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별도 기준으로도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3분기 별도기준 매출은 1조2575억원, 영업이익은 63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8%(1904억원), 42.4%(1889억원) 증가...
기사 본문
3분기 매출 1조6602억원, 영업익 7288억원 매출 전년비 39.9% 증가, 영업익 어닝 서프라이즈 초격차 생산력 기반 호실적, 그룹 내 캐시카우 역할 삼성바이오로직스 본사 ⓒ삼성바이오로직스 [데일리안 = 이소영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올해 3분기 창사 이래 역대 최대 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삼성그룹은 반도체 업황 개선에 따른 주력 계열사 삼성전자의 실적 호조에 이어 미래 먹거리인 바이오 사업을 담당하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최대 실적 경신으로 겹경사를 맞게 됐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일찌감치 바이오를 그룹의 미래를 책임질 ‘포스트 반도체’로 낙점한 바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8일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6602억원, 영업이익 7288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9.9%, 영업이익은 115.3% 각각 오르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이번 삼성바이오로직스 3분기 영업이익은 증권가 전...
기사 본문
/사진 제공=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4공장 풀가동 효과로 분기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며 '완성형 위탁개발생산(CDMO) 체제'를 입증했다. 생산 효율화와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실적 호조가 맞물리며 성장세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다만 미국발(發) 관세 리스크와 인적분할을 앞둔 시장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향후 수주 안정성과 밸류 재평가가 최대 관문으로 떠오른다. 4공장 풀가동, 최대 실적 경신 어게인 /자료=삼성바이오로직스 IR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연결기준 3분기 잠정실적으로 매출 1조6602억원, 영업이익 7288억원, 당기순이익 574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9.9%, 115.3%, 117.2% 증가했다. 에프엔가이드 컨센서스와 비교했을 때도 각각 5.6%, 33.9%, 38.8% 상회한 수치다. 누적 실적 기준으로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9.1%, 70.1%, 67.3% 올라선 모습을 보였다. 시장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
기사 본문
28일 공시에서 연결 매출 1조6602억 전년동기比 4731억, 영업이익 3902억 증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1~4 공장의 풀가동을 통한 매출 기여 증대,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확대, 우호적 환율 효과 등에 따라 창립 이래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8일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6602억 원, 영업이익 7288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731억 원, 영업이익은 3902억 원 증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별도기준으로도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3분기 별도기준 매출은 1조2575억 원, 영업이익은 633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04억 원, 1889억 원 증가했다. 5 공장은 신규 수주에 따른 기술 이전과 함께 안정적인 램프업(Ramp-up·생산능력 증가)이 진행 중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3분기 매출은 4410억 원, 영업이익은 1290억 원을 기록했다. 올해 미국 신규 제품 출시 효과 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