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소비 날았다" 韓 3분기 깜짝 성장… 올해 1% 달성 관건은(종합)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민간소비 1.3% 성장, 3년來 최고…심리 개선·소비 쿠폰 효과 내수가 성장 주도…부진했던 건설투자, 3분기 '성장 중립적 역할' 개선 "올해 1% 성장, 4분기 성장률 -0.1~0.3% 시 달성 가능" 올해 3분기(7~9월) 우리나라 경제가 1.2% '깜짝 성장'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1.2%) 이후 6분기 만의 최고치로, 지난 8월 한국은행의 전망치(1.1%)를 웃돌았다. 민간소비가 큰 폭으로 개선되며 3분기 성장세를 견인했다. 소비심리가 살아난 데다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이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폰·전기차 등 신제품 출시 효과와 주가 상승에 따른 부(富)의 효과도 작용했다. 수출은 2분기 높은 증가율에 이어 3분기에도 반도체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견조한 흐름을 이어갔다. 3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망치를 웃돌면서 시선은 올해 성장률 1% 달성 여부에 쏠렸다. 한은은 단순 계산 시 4분기 성장률이 -0.1~0.3% 수준이면 올해 1% 성장이...
기사 본문
한은, 3분기 GDP 속보치 전기比 1.2%↑ 반도체 수출과 내수 소비, 설비투자 호조 “1% 되려면 4Q 성장률 -0.1~+0.3% 나와야” 한은, 4Q 성장률 0.2% 전망…연 1% 달성 긍정적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3분기 경제성장률이 1.2%로 전망치 1.1%를 웃돌며 연간 1%대 성장률 달성에도 ‘청신호’가 커졌다. 그간 한국 경제를 이끌어온 수출은 호조를 이어가고 있고, 그간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해온 민간소비가 본격적인 회복세를 나타내며 성장을 전반적으로 이끌면서다. 한국은행은 올해 4분기 성장률이 전망치인 0.2%에 부합할 경우 연간 성장률 1%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2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2025년 3/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기자설명회. 왼쪽부터 이현영 지출국민소득팀장, 이동원 경제통계2국장, 박창현 국민소득총괄팀장, 김선임 국민소득총괄팀 차장(사진=한국은행) 소비·수출·설비투자 3박자 호조…3분기 성장 ‘쑥’ 28일 한국은행이 ...
기사 본문
3분기 민간소비 1.3% 증가...3년래 최대폭 상승 미 관세에도 반도체 중심 수출 1.5%↑ "4분기 -0.1% 이상이면 연 1% 성장률 가능" <앵커> 3분기 실질 GDP가 전분기보다 1.2% 성장하며, 1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연간으로 0%대 성장률을 벗어날 수 있다는 희망이 생겼지만, 민생회복지원금이 영향을 미친 만큼 4분기 결과를 지켜봐야 합니다. 한국은행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들어봅니다. 김예원 기자, 3분기 성장률이 생각보다 좋았던 배경 어디에 있습니까? <기자> 네, 올해 3분기 성장을 주도한 건 내수였습니다. 성장률에 1.1%p를 기여했는데요. 9조 2천억 원 규모의 1차 소비쿠폰 지급 효과로 민간 소비가 1.3% 늘어난 영향이 컸습니다. 이는 2022년 3분기 이후 3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입니다. 소비쿠폰은 음식점, 병원, 안경점, 미용 등 다양한 업종에 사용된 걸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은 "소비쿠폰 지급이 3분기 민간소비 ...
기사 본문
한은, 3분기 실질 GDP 속보치…전기비 1.2% 성장 전망치 상회…"수출·소비·투자 모두 예상보다 호조" 정부 "관세 불확실성 있지만 연간 1% 달성 가능성 ↑"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올해 3분기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전기대비 1.2%를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1.2%) 이후 1년 반 만에 최고치로, 미국처럼 연율로 환산하면 4.7%다. 민간소비와 설비투자가 크게 늘면서 내수가 성장세를 견인한 가운데 수출도 2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면서 경제가 빠른 속도로 반등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지난 7~9월 성장률은 전기대비 1.2%로 추산됐다. 우리 경제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1.2%의 ‘깜짝 성장’을 기록한 이후 △2분기 -0.2% △3분기 0.1% △4분기 0.1% △올해 1분기 -0.2% 등 부진을 면치 못하다 올해 2분기 0.7%로 회복세를 보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