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경제 1.2% 성장..."4분기 -0.1% 넘으면 올해 1%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지난 3분기 우리 경제가 수출 호조와 소비 증가에 힘입어 한 분기 전보다 1.2% 성장했습니다. 이에 따라 4분기 -0.1% 이상만 성장해도 1%대 성장이 가능한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한국은행은 지난 3분기 우리나라 실질 GDP, 국내총생산이 수출과 설비투자, 소비 증가로 한 분기 전보다 1.2% 성장했다고 밝혔습니다. 1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분기 성장률이자 한은 전망치보다 0.1%p 높습니다. 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1.5% 늘었고, 설비투자가 2.4%, 소비쿠폰 덕에 민간소비가 1.3%, 그리고 정부소비가 1.2% 증가했습니다. 특히 민간소비 1.3% 증가는 3년 만에 최대 증가 폭입니다. 이에 따라 성장 기여도를 보면 내수가 1.1%p였고, 순수출이 0.1%p였습니다. 앞으로 전망에 대해 한은은 "4분기 성장률이 -0.1∼0.3%면 올해 연간 성장률 1%가 가능하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대미 무역 협상에 따른 자동차 등의 수출 흐름과 2차 소비쿠폰 효과, 안전사...
기사 본문
민간소비 3년 만에 최대폭 증가…설비투자도 플러스 전환 4분기 소비쿠폰 효과·건설 부진·관세 영향 등 주목 27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쌓여있는 모습. 2025.10.27/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세종=뉴스1) 전민 이철 이강 기자 = 올해 3분기 한국 경제가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1.2% 성장하며 6분기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같은 소비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민간소비가 3년 만에 최대 폭으로 증가하는 등 내수 회복이 성장을 이끌었다. 설비투자도 증가세로 전환하며 힘을 보탰다. 이에 따라 연간 1% 성장에도 청신호가 켜졌지만, 4분기 성장 경로에는 소비쿠폰 효과 약화, 건설투자 부진 지속, 미국 관세 등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한국은행은 28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서 3분기 실질 GDP가 전기 대비 1.2%(소수점 둘째 자리 1.17%) 성장했다고 밝혔다. 지난 2분기(0.7%...
기사 본문
3분기 민간소비 1.3% 증가…3년만에 최대치 건설투자 -0.1%로 마이너스폭 축소 수출은 반도체·자동차 중심 호조 지속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추이/그래픽=이지혜 올해 3분기 한국경제가 전기 대비 1.2% 성장했다. 소비쿠폰 효과가 반영되면서 민간소비는 3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수출도 반도체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양호한 성적을 거뒀다. 3분기 성장률이 한국은행 전망치(1.1%)를 웃돌면서 연간 1%대 성장 가능성도 높아졌다는 평가다. 한은은 4분기 성장률이 -0.1%보다 높게 나올 경우 연간 1%대 성장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한은 전망치(+0.2%)보다 낮은 성장을 거둬도 1% 달성이 가능해진 셈이다. ━ 내수가 끌어올린 GDP…수출도 선방 ━ 28일 한은에 따르면 지난 3분기 국내 실질 GDP는 전분기 대비 1.2% 증가했다.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보면 +1.17%다. 지난해 1분기(1.2%) 이후 1년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3분기 성장은...
기사 본문
지난해 1분기 이후 최고치 기록 내수 1.1%p 기여…민간소비·투자 반등 “4분기 –0.1~+0.3%면 연간 1%대 진입 가능” 이동원(왼쪽에서 2번째) 한국은행 경제통계2국장이 2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2025년 3/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기자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지난 3분기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1.2% 증가하며 지난해 1분기 이후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민간소비가 3년 만에 최대폭 증가하며 내수가 성장을 주도한 덕분이다. 특히 이는 지난 8월 한국은행이 제시한 3분기 성장률 전망치(1.1%)를 상회한 결과로, 연간 성장률 1% 달성 가능성에도 청신호가 켜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수출은 주춤, 소비는 급등…내수가 성장 이끌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GDP는 전기 대비 1.2%, 전년 동기 대비 1.7% 각각 성장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