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데헌’ 인기 등에 업은 K-푸드, 9년 연속 수출 신기록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1~9월 수출 84.8억달러…8.9% 늘어 경주 APEC 정상회의 효과 기대감도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넷플릭스 시리즈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인기를 등에 업은 K-푸드가 9년 연속 수출 신기록을 써내려가고 있다. 농심이 넷플릭스와의 협업으로 내놓은 ‘케데헌’ 식품. (사진=농심) 28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 1~9월 누계 K-푸드 수출액은 84억 8000만달러(약 12조 2000억원)로 지난해보다 8.9% 늘었다. 이변이 없는 한 연간으로도 역대 최대이던 지난해 실적을 넘어설 전망이다. K-푸드 수출은 지난 2016년 늘어나기 시작해 매년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해오고 있다. K-팝, K-영화, K-드라마 등 한국 문화의 세계적 인기와 함께 라면, 김 등 한국 식음료의 인기도 커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올해는 김밥, 라면 등 대표 K-푸드가 주요 소재로 등장한 ‘케데헌’이 미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흥행을 기록하면서 관심이 더 커지고 있다. 이 기간 라면은 24.5% 늘어...
기사 본문
9월 기준 작년보다 8.9% 증가한 84억8100만 달러 경주 APEC 정상회의, 한류 열풍에 수출 지속 확대 기대 [대전=뉴시스] 올 9개월간 케이(K)-푸드 수출액이 84억 8100만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사진=관세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 김양수 기자 = 농·축·수산물을 가리지 않고 한국산 음식(K-푸드)이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세청은 올 9월 기준 K-푸드의 수출 규모가 전년 동기 77억8700만 달러 대비 8.9% 증가한 84억8100만 달러를 기록, 동기간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28일 밝혔다. K-푸드 수출이 늘어나기 시작한 지난 2016년부터 9년 연속 증가한 뒤 올해 또다시 최고치 경신했다. 올 9개월간 농·축·수산물을 포함한 거의 모든 품목군에서 고른 상승세를 보였다. K-푸드 전체 수출액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가공식품이 전년 동기 대비 6.7% 증가한 52억 달러를 기록하며 수출 증가를 견...
기사 본문
관세청, K-푸드 수출 실적 공개 APEC 정상회의, 글로벌 홍보로 수출 확대 서울의 한 마트에 라면이 진열돼 있다.ⓒ뉴시스 [데일리안 = 김지현 기자] K-푸드 수출액이 올해 9월까지 84억 달러를 기록하며 동기간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28일 관세청에 따르면 1~9월 K-푸드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한 84억8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K-푸드 수출이 늘어나기 시작한 지난 2016년부터 전년도까지 9년 연속 증가한 데 이어 올해 또다시 경신한 최고치다. 특히 올해는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 ‘K-팝 아파트’를 잇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글로벌 흥행과 2005년 이후 20년 만에 경주에서 개최되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전세계의 시선이 우리나라로 집중되는 상황이 맞물리면서 K-푸드에 대한 관심과 브랜드 인지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농·축·수산물을 포함한 거의 모든...
기사 본문
올해 1~9월 수출액 84.9억 달러 역대 최고치 올해 'K-푸드'(한국 식품) 수출이 라면과 김, 믹스커피의 인기에 힘입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관세청이 오늘(28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9월 K-푸드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한 84억9천만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K-푸드 수출액은 2016년 이후 9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지난해 처음 돌파한 100억 달러 기록을 올해 다시 경신할 것으로 보입니다. 당국에선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수출 실적을 자세히 보면, 전체 수출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가공식품은 6.7% 늘어난 52억 달러로 집계돼 수출 증가를 주도했습니다. 품목별로는 '라면'이 24.5% 급증한 11억3천만 달러를 기록하며 K-푸드 대표 품목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김' 수출도 14.0% 증가한 8억8천만 달러, '믹스커피' 등...
기사 본문
[2025 APEC] 정상회의 무대에 대거 오르는 K푸드 케이(K)푸드가 올해 1월부터 9월 말까지 누적 수출액 100억달러(약 14조3000억원)를 돌파했다. K푸드는 오는 31일 경주에서 공식 개막하는 2025 APEC(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전후해 대거 무대에 오른다. 일러스트 = 챗gpt달리 28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식품수출정보(KATI)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 말까지 농림수산식품 수출액은 101억1000만달러(약 14조5000억원)를 기록했다. 2023년 1~9월 수출액은 88억7000만달러, 2024년 1~9월 수출액은 94억3000만달러였다. 수출액 증가세는 라면과 김이 주도했다. 라면 수출액은 11억1600만달러(약 1조60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24.7% 증가했다. 같은 기간 김(해조류)은 8억8200만달러(약 1조2662억원)로 14.1% 늘었다. 가공식품 비중이 전체 수출 농림수산식품의 64.6%로 원물 수출을 앞질렀다. 식품업계 관...
기사 본문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K-푸드’ 수출액이 84억달러를 돌파하며 같은 기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라면이 전년보다 24% 이상 증가하며 상승세를 지속한 가운데 김과 전통한과 등 모든 품목 군에서 고른 상승세를 보였다. 관세 당국은 올해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글로벌 흥행 등에 힘입어 향후 K-푸드 수출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28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9월 누계 기준 K-푸드 수출액은 84억8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9% 늘었다. K-푸드 수출 증가세는 2016년부터 9년 연속 계속되고 있다. K-푸드 수출은 2017년 70억2000만달러로 70억달러를 넘어선 이후 2018년 74억2300만달러, 2019년 76억7500만달러, 2020년 79억8500만달러로 점진적으로 증가한 뒤 2021년 94억5800만달러로 껑충 뛰었다. 이후 2022년 99억1900만달러, 2023년 99억6600만달러를 나타낸 뒤 지난해에는 106억6300만달러...
기사 본문
K-푸드 1~9월 수출 84억8000만달러…전년比 8.9%↑ 라면·김·커피조제품 등 전 품목 호조…美·中·日이 절반 차지 경주 APEC 계기로 글로벌 홍보 ‘탄력’…K-푸드 브랜드 파워 확산 ◆ 뉴욕한국문화원 청사 1층에서 한강 미디어월을 배경으로 현지 소비자들이 신라면을 먹고 있다(농심 제공). 한국의 대표 먹거리 'K-푸드'가 글로벌 시장에서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특히 올해는 넷플릭스 시리즈 케이팝 데몬 헌터스(K-Demon Hunters)의 흥행과 오는 31일부터 내달 1일까지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K-푸드 브랜드 인지도가 더 올라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관세청은 올해 1~9월 기준 K-푸드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한 84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 관세청 제공 ■ 품목별: 가공식품이 전체 60% 차지, 수산물·축산물 급증 농·축·수산물을 포함한 거의 모든 품목군에서 고른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K-푸드 수출의 ...
기사 본문
올해 9월까지 전년 대비 8.9% 증가 라면·김 ‘쌍두마차’ 견인 2025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주간 시작 첫날인 27일 경북 경주 APEC 국제미디어센터 인근 K-푸드 홍보관에 마련된 농심 부스가 외국인 방문객을 맞이하기 위한 막바지 준비로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뉴스1 한국산 식품의 수출이 올해 9월까지 80억달러를 돌파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라면과 김이 ‘쌍두마차’로 수출을 이끌면서 ‘K푸드’가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굳혔다는 평가다. 관세청은 28일 올해 9월 누계 기준 K푸드 수출액이 84억8100만달러(약 12조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77억8700만달러)보다 8.9% 증가한 금액으로, 같은 기간 기준 역대 최대치다. K푸드 수출은 2016년 60억5800만달러부터 지난해까지 9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온 데 이어 올해도 최고치를 경신했다. 품목별로는 전체 수출액의 61.3%를 차지하는 가공식품이 52억...